[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곡의 어원, rd1=히페리온, other2=여타 동음이의어, rd2=히페리온(동음이의어))] [목차] == 개요 == || 최초 수록 || [[오투잼 아날로그]] || || 장르 || Techno Pop || || 작곡 || [[M2U]] || || 작사 || TOTO (S.I.D Sound) || || 보컬 || Vin || || BPM || 145 || [[M2U]]가 [[오투잼 아날로그]]에 처음으로 공개한 곡으로, Techno Pop이라는 장르를 들고 나왔다. 과거 [[DJMAX 시리즈]]의 [[메트로 프로젝트]]에서 보여줬던 테크노 장르의 곡들[* ReX 명의로 작곡한 [[Airwave(DJMAX)|Airwave]], Sphazer 명의로 작곡한 [[Access]]와 [[Area 7]].]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퀄리티를 자랑한다. 피쳐링으로 참여한 [[시드 사운드]]의 보컬리스트 [[Vin]]의 시원시원한 보컬이 일품. 초반부 기타 리프가 과거 M2U가 [[DJMAX 시리즈]]에 투고했던 [[NB Ranger]]의 메인 기타 리프와 유사하다. === [[오투잼 아날로그]]에서 === ||<-4> [[오투잼 아날로그]] || || 난이도 || 2Key || 4Key || 5Key || || EZ || 03 || 04 || 05 || || NM || 07 || 13 || 14 || || HD || 15 || 22 || 23 || || 가격 ||<-3> 무료 || [youtube(6unU4ri04fw)] 5키하드 공식 플레이 영상. 플레이어는 [[Memme]]. 오투잼 아날로그 게임 내에서는 5k HD 패턴이 23레벨이다. 중간의 기타음 작렬 구간이 이 패턴의 하이라이트. 특히 롱노트 작렬 구간도 나오는데 은근히 치기 어렵다. 그래도 전체적으로는 레벨 값에 해당하는 난이도를 보여주고 있다. ~~같은 레벨에 [[Angeli Brucia|이런 녀석]]이 있다 보니 인지도는 높지 않다만~~ === [[오투잼 U]]에서 === ||<-4> [[오투잼 U]] || || 난이도 || 2Key || 4Key || 5Key || || EZ || 03 || 04 || 05 || || NM || 07 || 13 || 14 || || HD || 15 || 22 || 23 || || 가격 ||<-3> 3P / NO SALE || [include(틀:navervid, vid=3477A7EFAA19D5A9ECF20298BD90FA246E42, outkey=V127118eb6089dc0f4b354bb787e326d1cc69d0ff7bb4a77e8dd74bb787e326d1cc69, width=740, height=416)] 2013년 5월 30일에 [[오투잼 U]]에 이식되었다. 동일 작곡가의 다른 오투잼 곡들에 비해 늦게 나온 편. ~~그래도 Jump to Summer보다는 낫다.~~ 문제는, 레벨 표기는 21인데 패턴은 '''오투잼 아날로그에서의 패턴 그대로다!''' 게다가 변속도 들어가서, 실질적으로 난이도가 더 올라간 편. ~~23레벨 그대로 했어도 사기곡 소리 들었겠다 이놈들아.~~ 결국 23레벨로 상향되었다. ~~하긴 그 채보가 21레벨일리가 없잖아~~ === [[펌프 잇 업]]에서 === * [[펌프 잇 업/수록곡]]으로 돌아가기 || 최초 수록 버전 ||<-2> [[펌프 잇 업 PRIME 2]] || || 아티스트 ||<-2> [[M2U]] || || BPM ||<-2> 145 || || 비주얼 ||<-2> Irelriser || || 채널 ||<-2> Xross / Prime 2 || ||<-5> 레벨 데이터 ※[[펌프 잇 업 PHOENIX|PHOENIX]] 기준 || || 타입 ||<-2> 레벨 || ||<|2> Normal || {{{#white Single}}} || 05 / 09 / 14 / 17 || || {{{#white Double}}} || 11 / 18 / 20 || ||<|3> Short Cut || {{{#white Single}}} || 16 / 20 || || {{{#white Double}}} || 21 || ||<-5> 채보 제작자 || || 타입 ||<-2> 레벨 및 제작자 || ||<|3> Normal || {{{#white S5 / S9 / S14 / S17}}} ||<|2> OSING || || {{{#white D11 / D18 / D20}}} || || {{{#white DP4}}} || Z_AL || ||<|2> [[펌프 잇 업/숏컷·풀 송|Short Cut]] || {{{#white S16 / S20}}} || [[EXC(게임 개발자)|EXC]] || || {{{#white D21}}} || [[NIMGO]] || [youtube(kKp4H5tcbjk)] D20 [[채보]] 영상. 프라임 2 1.03.0 [[업데이트]]로 콜라보레이션 수록되었다. ==== 아케이드 ==== S5 S9 S14 S17 D11 D18: 그다지 어렵지는 않다. 후반 폭타의 경우에는 허리틀기 강도가 어느정도 있는데 [[Move That Body!]] D18에 비해 약한 편이다. D20: [[Gargoyle]] D20의 상위호환급 체력곡. 특히 초반 폭타는 가고일과 유사한 가운데 틀기를 강화하였다. 후살의 경우 체력의 압박으로 인해 다소 까다로울 수 있으나 20레벨을 그다지 벗어나는 수준은 아니고 후살 이전에 쉬는 구간이 있다는 게 다행이다. ==== 숏 컷 ==== S16 - 폭타가 쉬지않고 떨어지는 채보. 허리틀기도 간간히 섞여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프라임 2에서는 15레벨이었다. S20 - 위 S16을 90도 회전시켜 복붙한 채보. 처음과 두번째 소절 시작 전의 화살표는 몸이 틀어져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화살표 방향대로 몸을 틀어놓고 플레이 하면서 반대방향으로 몸이 틀어지지않게 신경써서 하도록 하면 좋다. --펌프계의 STELLAR WIND-- D21 - 대각틀기와 계단같은 어려운 틀기들이 모아져 있는 채보로 BPM은 느리지만 틀기 각도들이 상당해서 짧지만 쉽지는 않은 곡. 몸이 한쪽으로 쏠려서 자세가 흐트러져 놓쳐 죽기 쉬우므로 몸을 어느정도 낮춰서 중심을 잘 잡고 플레이하면 도움이 된다. ==== 퀘스트 존 전용 채보 ==== S21: [youtube(n0YKIFJ1big)] 프라임 2 1.07.0 패치로 추가된 퀘스트 존 전용 채보로 부제는 Operion. === [[VELUCITY]] === == 가사 == ||찢어진 공간 그 속에 스미는 붉은 눈빛 가려진 순간들 속에 밀려오는 작은 기억 태양을 쫓고 있는 잊었던 미소 어디엔가 대답을 뒤로 또 한 번의 날개를 달아 가녀린 어깨 짓누르는 빛 그 무게를 딛고 날아 어두운 구름이 날 삼켜도 이 두 눈은 감지 않아 타 버린 날개 할퀴는 바람 그 상처를 딛고 날아 서툰 부림에 날 해쳐도 이 심장은 놓지 않아 || [[분류:오투잼 시리즈/수록곡]][[분류:펌프 잇 업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