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휘트니 휴스턴)] ||
<-5><#C0C0C0> '''{{{#fff 휘트니 휴스턴의 싱글}}}''' || || ''[[I'm Every Woman]]'' [br] (1993) ||<|2> → ||<#fafad2> ''' ''I Have Nothing'' '''[br](1993) ||<|2> → || ''[[Run to You]]''[br](1993) || ||<-2>
<#c0c0c0> {{{+2 '''I Have Nothing'''}}} || ||<-2><#fff>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whitney_ihn_front.jpg|width=100%]]}}} || || '''수록 앨범''' ||'''[[The Bodyguard: Original Soundtrack Album|The Bodyguard OST]]''' || || '''발매일''' ||'''1993년 2월 20일''' || || '''아티스트''' ||'''[[Whitney Houston]]''' || || '''길이''' ||'''4분 48초''' || || '''장르''' ||'''[[컨템퍼러리 R&B|R&B]] · [[팝 음악|팝]] · [[소울 음악]]''' || || '''작사 · 작곡''' ||'''[[David Foster]] · Linda Thompson''' || || '''프로듀서''' ||'''[[David Foster]]''' || || '''B-Side''' ||"[[All the Man That I Need]]" [br] "Where You Are" [br] "Lover for Life" || || '''레이블''' ||Arista Records || ||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100]]]] ||'''4위 (피크) / 17주 차트인''' || ||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100]]]] ||'''3위 (피크) / 12주 차트인''' || || '''[[Spotify|[[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100]]]]''' ||'''3.7억 회'''[* 2023년 8월 9일 기준] || || [[YouTube|[[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100]]]] ||'''7억 회'''[* 2023년 2월 25일 기준]|| [목차] == 개요 == [[1993년]]에 발매된 《[[The Bodyguard: OST]]》의 세 번째 싱글이다. 발매 당시 세계 각국의 차트 30~40위권에 차트인하여 이전 싱글인 "[[I'm Every Woman]]"보다는 덜한 성공을 거두었지만, 발매된 지 30년이 다 되어가는 시점에서는 미국 내에서 2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여 RIAA 2×플래티넘 인증을 받고[* [[https://twitter.com/chartdata/status/1425570218655379459|자료]]],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수도 '''7억'''에 달하는 등 오히려 "[[I'm Every Woman]]"보다 더 인기를 얻고 있다. [[빌보드 R&B 차트]]에서 4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93년 4월 첫째 주부터 5월 첫째 주까지 5주 연속 4위를 기록했고 [[1993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30위, 1993년 빌보드 R&B 연말 차트에서 32위에 올랐다. 뮤직비디오의 3분 45초 ~ 3분 55초에서 [[휘트니 휴스턴]]의 고음이 이 음악의 하이라이트. 이때의 고음은 나무위키의 [[고음/노래 목록/해외]]에도 정리되어 있다시피 F#5(3옥타브 파#)인데, 작곡가이자 프로듀서인 데이빗 포스터에 따르면 [[휘트니 휴스턴]]은 이 음이 벅차 키를 낮춰달라고 했다. 녹음 당시 휘트니가 임신 6개월 차였기 때문에 이 고음을 버거워 했던 듯하다.[* 이때 임신한 아이는 유산했다.][* 휘트니의 유작 "Sparkle"에 출연했던 배우가 휘트니와 산책하면서 직접 들었다고 한다.] '93년 이후 항상 라이브로도 2키를 낮추어 불렀는데,[* 최고음 3옥타브 파#(F#5)를 3옥타브 미(E5)로 낮추어 불렀다. 물론 상당히 높은 음인건 여전하다.] 이는 이때쯤부터 시작된 보컬 악화에 영향을 받은 탓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 음역대가 확 낮아져 중저음이 이전보다 훨씬 보강이 되어서 더 깊은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93-94년도의 휘트니 음색을 제일 좋아하는 팬들도 많다.] 거기다가, 이 노래는 메조 포르테, 포르티시모 등 여러 셈여림을 제대로 이용하지 않으면 호흡조절이 제대로 안되어 음정 불안이 자주 일어날 정도로 굉장히 어려운 노래다. 참고로 최저음은 1옥타브 솔(G3)이다. 이렇게 어려운 난이도로 인해 가창력에 자신 있는 여가수들이 자주 커버하기도 했다. "[[Run to You]]"와 함께 [[1993년]] [[아카데미 시상식]] 주제가 상에 후보지명 되었다. 수상에는 실패했다.[* "[[A Whole New World]]"가 수상함] == 뮤직비디오 / 오디오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xYw0XPEoKE)]}}}|| || '''뮤직비디오'''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VakY0T2CJo)]}}}|| || '''공식 오디오''' || == 가사 == || {{{#000000 '''I Have Nothing'''}}} || || Share my life Take me for what I am Cause I'll never change All my colors for you Take my love I'll never ask for too much Just all that you are And everything that you do I don't really need to look Very much further I don't wanna have to go Where you don't follow I won't hold it back again This passion inside Can't run from myself There's nowhere to hide Don't make me close one more door I don't wanna hurt anymore Stay in my arms if you dare Or must I imagine you there? Don't walk away from me I Have Nothing Nothing Nothing, if I don't have you (you-oo, you-oo, you) You see through Right to the heart of me You break down my walls With the strength of your love (mm...) uhh, I never knew Love like I known it with you Will our memories survive? uhh, One I can hold on to I don't really need to look Very much further I don't wanna have to go Where you don't follow I won't hold it back again This passion inside Can't run from myself There's nowhere to hide You're the love I'll remember forever Don't make me close one more door I don't wanna hurt anymore Stay in my arms if you dare Or must I imagine you there? Don't walk away from me I have nothing Nothing Nothing Don't make me close one more door I don't wanna hurt anymore Stay in my arms if you dare Or must I imagine you there? Don't walk away from me Don't walk away from me Don't you dare to walk away from me I have nothing Nothing Nothing, if I don't have you You, if I don't have you || == 라이브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pQ0fE0MRWQ)]}}}|| || '''[[1993년]] [[빌보드 뮤직 어워드|Billboard Music Awards]] 공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7khCeevfdk)]}}}|| || '''[[1994년]] The Bodyguard World Tour - [[남아프리카 공화국]] 엘리스 파크 스타디움'''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Japy7VzocE)]}}}|| || '''[[1996년]] [[브루나이]] Jerudong Park 공연''' || == 커버 == [[휘트니 휴스턴]]의 곡들 중 "[[I Will Always Love You]]" 다음으로 커버가 많이 된 듯하다. 이 곡을 커버한 가수들이 대표적으로는 [[아리아나 그란데]], [[제시 제이]]가, [[대한민국]]에서는 [[손승연]], [[소향]]이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iSUlWyeslY)]}}}|| || '''[[2015년]] [[아리아나 그란데]]의 [[백악관]]에서의 커버공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rQt8v-DMok)]}}}|| || '''[[2018년]] [[제시 제이]]의 커버공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MWcjLo4hOw)]}}}|| || '''[[2015년]] [[손승연]]의 커버공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FtRUSPxcas)]}}}|| || '''[[2015년]] [[소향]]의 커버공연''' || [[분류:휘트니 휴스턴]][[분류:빌보드 핫 100 4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4위 노래]][[분류:빌보드 어덜트 컨템퍼러리 차트 1위 노래]][[분류:1992년 노래]][[분류:1993년 싱글]][[분류:사운드트랙 싱글]][[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팝]][[분류:소울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