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엘튼 존 노래]][[분류:2001년 노래]][[분류:2001년 싱글]][[분류:팝]][[분류:소프트 록]] [include(틀:엘튼 존)] ||<-2><#fff> [[파일:external/www.disca.nl/52247.jpg|width=100%]] || ||'''수록 앨범'''||[[Songs from the West Coast]]|| ||'''앨범 발매일'''||[[2001년]] [[10월 1일]]|| ||'''녹음 기간'''||[[2001년]] [[1월 30일]] ~ [[2월 23일]][br][[2001년]] [[2월 27일]] ~ [[3월 2일]], [[3월]] ~ [[4월]]|| ||'''녹음실'''||[[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소니 스튜디오[br]로스앤젤레스 조니 유마 레코딩[br][[영국]] [[런던]] 타운하우스 스튜디오|| ||'''장르'''||[[팝 음악|팝]], [[소프트 록]]|| ||'''싱글 발매일'''||[[2001년]] [[8월 20일]] {{{-3 (US)}}}[br][[2001년]] [[9월 24일]] {{{-3 (UK)}}}|| ||'''싱글 B면'''||[[God Never Came Here]] {{{-3 (CD)}}}[br][[The North Star]] {{{-3 (카세트, CD)}}}|| ||'''재생시간'''||4:35|| ||'''작사가'''||[[버니 토핀]]|| ||'''작곡가'''||[[엘튼 존]]|| ||'''프로듀서'''||패트릭 레너드|| ||'''발매사'''||Rocket, Mercury|| [목차][clearfix] == 개요 == [youtube(fak7rJx2pVA)] [[엘튼 존]]의 2001년 정규 28집 [[Songs from the West Coast]]의 7번 트랙이자 리드 싱글이다. == 곡 구성 == 피아노와 밴드 연주로 간결하면서도 진중한 분위기를 이끄는 [[비틀즈]] 풍의 발라드 곡이다. 조성은 가장조(A 장조)이고 브리지에서는 잠시 다장조(C 장조)로 전조한다. 가사는 누군가와 나누고 싶은 진정한 사랑을 원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그렸으며, 결혼과 연애사에 풍파가 많았던 버니 토핀의 삶을 나타낸 자전적 곡이다. 엘튼 존은 버니 토핀이 자신에 대해 쓴 곡이며, 이혼을 몇 번 한 중년 남성이 다시 사랑에 빠질 수 있는지 궁금해하는 곡이라고 2019년 5월 [[더 가디언]] 인터뷰에서 설명했다.[* [[https://www.theguardian.com/global/2019/may/26/elton-john-in-my-own-words-exclusive-my-life-and-making-rocketman|Elton John: 'They wanted to tone down the sex and drugs. But I haven’t led a PG-13 life']]] 2001년 1월 30일과 2월 23일 사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소니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곡들 중 하나이다. 앞서 2000년 9월 18일부터 10월 12일까지 로스앤젤레스의 첼로 스튜디오에서 《Songs from the West Coast》 녹음을 시작했을 때 미국의 작곡가이자 프로듀서 패트릭 레너드가 섭외한 세션 뮤지션들이 연주를 맡았지만, 이후 소니 스튜디오에서 녹음 일정을 잡았을 때 엘튼 존은 백업 밴드 [[엘튼 존 밴드]]의 기타리스트 데이비 존스턴과 드러머 나이절 올슨을 불렀고 "I Want Love"를 포함한 여러 곡들에서 백업 연주를 맡았다. 백 보컬을 맡은 가수들 중 한 명은 엘튼 존 밴드의 백 보컬리스트였던 쿠디산 카이(과거 본명 나탈리 잭슨)이고, [[빌리 프레스턴]]은 이 곡에서 일렉트릭 오르간을 연주했다. 리드 보컬은 2001년 2월 27일과 3월 2일 사이 영국 런던의 타운하우스 스튜디오에서 녹음했다.[* Songs from the West Coast 라이너 노트[br][[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버니 토핀은 가사 1절의 "A man like me is dead in places / Other men feel liberated (저 같은 남자는 죽은 거나 다름없어요 / 다른 남자들이 자유로움을 느끼는 곳에서 말이죠)" 구절은 자신이 쓴 가장 우수한 가사들 중 하나이며, 좋은 곡이라고 2018년 4월 [[CBC(캐나다)|CBC]] 라디오 인터뷰에서 밝혔다.[* [[https://www.cbc.ca/radio/q/thursday-april-19-2018-bernie-taupin-brad-peyton-and-more-1.4625092/elton-john-s-co-writer-bernie-taupin-on-50-years-of-hits-and-what-their-perfect-song-is-1.4625132|Elton John's co-writer Bernie Taupin on 50 years of hits and what their 'perfect song is]]] == 발매 == 미국에서는 2001년 8월 20일 리드 싱글로 발매했고 영국에서는 그해 9월 24일 리드 싱글로 발매했다. 미국에서는 B면 곡이 없는 라디오 싱글로 발매한 반면 영국에서는 CD 싱글로 발매했고, 《Songs from the West Coast》를 작업했을 때 녹음한 발라드 곡들 [[God Never Came Here]]와 [[The North Star]]를 수록했다.[* [[https://web.archive.org/web/20211120213548/https://worldradiohistory.com/Archive-RandR/2000s/2001/RR-2001-08-17.pdf|2001년 8월 17일자 Radio & Records (74 페이지)]][br][[https://www.discogs.com/ko/master/129343-Elton-John-I-Want-Love|I Want Love 싱글들 - 디스콕스]]] 영국 9위, 캐나다 7위, 이탈리아 14위, 네덜란드 31위, 벨기에 15위, 아일랜드 34위, 스위스 31위 등 기록했다. 많은 국가에서 차트 40위권 진입했고 영국과 캐나다에서는 10위권 진입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110위를 기록하는 데 그치면서 1970년 곡 [[Border Song]]부터 2000년 곡 [[The Road to El Dorado(음반)#s-7.2|Someday Out of the Blue]]까지 31년간 이어지던 빌보드 핫 100 연속 진입 기록이 멈추었다. 2021년 싱글 [[The Lockdown Sessions#s-6.1|Cold Heart]]를 발매하기 전까지 빌보드 핫 100에 진입한 싱글은 21년간 없었다.[* [[https://www.billboard.com/music/elton-john/chart-history/HSI|엘튼 존의 빌보드 핫 100 차트 기록]]] 2002년 제44회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남성 팝 보컬 부문 후보에 지명되었다.[* [[https://www.cbsnews.com/news/complete-list-of-grammy-nominees/|2002년 그래미 어워드]]]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작사/작곡 협업 50년을 기념한 2018년 헌정 앨범 [[Restoration: Reimagining the Songs of Elton John and Bernie Taupin]]에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크리스 스테이플턴의 커버곡이 수록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UHMSVOHddE|크리스 스테이플턴 - I Want Love (2018)]]] 2019년 6월 개봉한 뮤지컬 전기 영화 [[로켓맨(영화)|로켓맨]]에 삽입되었다. 이 영화에 삽입된 유일한 2000년대 곡이기도 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RlhercG-qYA|로켓맨 - I Want Love (2019)]]] == 뮤직비디오 == [youtube(ufbexgPyeJQ)] 뮤직비디오는 《Songs from the West Coast》의 앨범 아트를 촬영한 영국의 사진가이자 영화감독 샘 테일러존슨(당시 테일러우드)이 제작을 맡았고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출연했다. 텅 빈 저택을 돌아다니며 노래에 맞추어 립싱크를 한다. 당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잇단 마약 소지와 복용 혐의로 수감되거나 마약 치료 센터에 수시로 다니며 정신없는 삶을 보냈는데, 엘튼 존과 버니 토핀도 과거 약물 복용으로 재활원에서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노래에서 전달하는 내용과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사연이 특별히 와닿다는 평가를 받았다. 뮤직비디오는 2001년 7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베벌리힐스의 그레이스톤 맨션에서 촬영되었다.[* [[http://www.mtv.com/news/1445963/elton-john-casts-robert-downey-jr-in-his-new-video/|Elton John Casts Robert Doweny Jr. In His New Video]][br][[https://m.imdb.com/title/tt6779544/?ref_=m_tttr_tt|I Want Love 뮤직비디오 - IMDb]][br]Elton John: The Biography, 362~363 페이지] 엘튼 존은 자신이 뮤직비디오에 주역으로 나오기에는 나이에 맞지 않다고 생각했고 1980년대부터 자신의 곡들 뮤직비디오에 출연하는 걸 싫어하기 시작했다. 뮤직비디오에 대신 출연할 배우를 섭외하려고 했을 때 엘튼 존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를 골랐다. 당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상황을 이해하고 있었던 엘튼 존은 적합한 배우라고 생각했고 재활원에 있었던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에게 이메일을 보내 연락했다고 밝혔다.[* [[https://www.youtube.com/watch?v=LNXpXLvSe00|2001년 10월 8일자 레이 마틴 쇼]]] "I Want Love"의 뮤직비디오가 2001년 처음 방영했을 때 일부 음악 방송에서는 엘튼 존의 곡이라는 표시가 없었다고 한다.[* Elton John: The Biography, 362~363 페이지] 이후 제작한 뮤직비디오들에서도 젊은 배우를 고용하여 주역을 시켜 출연하는 방식을 유지했다. 샘 테일러우드는 뮤직비디오를 16번 촬영했고 마지막 테이크를 사용했으며,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재활원에서 나와 처음으로 연기한 작품이라고 밝혔다. 처음에는 팔과 다리를 요란하게 흔들어 디스코 버전처럼 보였기에 테이프로 손을 호주머니에 딱 붙여서 동작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가르쳐야 했다고 밝혔다.[* Elton John: The Biography, 362~363 페이지] == 참여자 == * 보컬, 작곡, 피아노 - 엘튼 존 * 작사 - 버니 토핀 * 일렉트릭 기타 - 데이비 존스턴 * 어쿠스틱 기타 - 브루스 게잇치 * 베이스 - 폴 부시넬 * 드럼 - 나이절 올슨 * 일렉트릭 오르간 - 빌리 프레스턴 * 퍼커션 - 제이 벨레로즈 * 백 보컬 - 나이절 올슨, 데이비 존스턴, 폴 부시넬, 쿠디산 카이 * 프로듀싱 - 패트릭 레너드 == 가사 == >I want love, But it's impossible >나는 사랑을 원해요, 하지만 불가능하죠 >A man like me So irresponsible >저 같은 남자에겐 너무 무책임해요 >A man like me Is dead in places >저 같은 남자는 죽은 거나 다름없어요 >Other men feel liberated >다른 남자들이 자유로움을 느끼는 곳에서 말이죠 > >I can't love, Shot full of holes >저는 사랑을 할 수 없어요, 총에 맞아서 구멍투성이죠 >Don't feel nothing, I just feel cold >아무것도 느끼지 못해요, 그저 추위만 느낄 뿐이죠 >Don't feel nothing, Just old scars >아무것도 느끼지 못해요, 그냥 오래된 상처들이 >Toughening up Around my heart >점점 강해져서 제 마음 주변에 남아 있죠 > >But I want love, Just a different kind >하지만 전 사랑을 원해요, 그저 다른 종류의 사랑 >I want love, Won't break me down >사랑을 원해요, 아프게 하지 않은 사랑 >Won't brick me up, Won't fence me in >벽돌로 막지 않고, 울타리 안으로 몰아넣지 않는 사랑 >I want a love that, Don't mean a thing >저는 사랑을 원해요, 어떤 것도 의미하지 않는 사랑 >That's the love I want, I want love >그게 바로 제가 원하는 사랑이죠, 전 사랑을 원해요 > >I want love on My own terms >제 방식 대로의 사랑을 원해요 >After everything I've ever learned >내가 모든 것은 배우고 난 후에 >Me, I carry too Much baggage >저라는 사람은, 너무 많은 짐들을 지니게 되죠 >Oh man I've seen So much traffic >전 너무나 많은 수송량을 보았어요 > >But I want love, Just a different kind >하지만 전 사랑을 원해요, 그저 다른 종류의 사랑 >I want love, Won't break me down >사랑을 원해요, 아프게 하지 않은 사랑 >Won't brick me up, Won't fence me in >벽돌로 막지 않고, 울타리 안으로 몰아넣지 않는 사랑 >I want a love that, Don't mean a thing >저는 사랑을 원해요, 어떤 것도 의미하지 않는 사랑 >That's the love I want, I want love >그게 바로 제가 원하는 사랑이죠, 전 사랑을 원해요 > >So bring it on, I've been bruised >그러니 가게 내버려 두죠, 저는 상처받아 왔어요 >Don't give me love, That's clean and smooth >저한테 그런 순수하고 부드러운 사랑을 주지 마세요 >I'm ready for The rougher stuff >저는 좀 더 힘든 사랑에 준비가 되었어요 >No sweet romance, I've had enough >달콤한 로맨스, 이제 질렸답니다 > >A man like me Is dead in places >저 같은 남자는 죽은 거나 다름없어요 >Other men feel liberated >다른 남자들이 자유로움을 느끼는 곳에서 말이죠 > >But I want love, Just a different kind >하지만 전 사랑을 원해요, 그저 다른 종류의 사랑 >I want love, Won't break me down >사랑을 원해요, 아프게 하지 않은 사랑 >Won't brick me up, Won't fence me in >벽돌로 막지 않고, 울타리 안으로 몰아넣지 않는 사랑 >I want a love that, Don't mean a thing >저는 사랑을 원해요, 어떤 것도 의미하지 않는 사랑 >That's the love I want, I want love >그게 바로 제가 원하는 사랑이죠, 전 사랑을 원해요 > >I want love, Just a different kind >나는 사랑을 원해요, 그저 다른 종류의 사랑 >I want love, Won't break me down >사랑을 원해요, 아프게 하지 않은 사랑 >Won't brick me up, Won't fence me in >벽돌로 막지 않고, 울타리 안으로 몰아넣지 않는 사랑 >I want a love that, Don't mean a thing >저는 사랑을 원해요, 어떤 것도 의미하지 않는 사랑 >That's the love I want, I want love >그게 바로 제가 원하는 사랑이죠, 전 사랑을 원해요 == 라이브 == 2001년부터 2020년까지 가끔씩 불렀다. 2001년 10월 20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9.11 테러]]의 희생자들을 추모한 자선 공연 〈The Concert for New York City〉에서 부른 곡들 중 하나였다. 2009년 순회공연 이후로 8년간 부르지 않았으나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대부분의 공연들에서 불렀다. 2017년 순회공연에서는 [[2017년 맨체스터 경기장 테러]]와 [[2017년 런던 브리지 테러]] 등 테러 사건들의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의미로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I+Want+Love|I Want Love 라이브 목록]]] * [[https://www.youtube.com/watch?v=gcxppXUN7ls|2001년 9월 26일 BBC 탑 오브 더 팝스]] * [[https://www.youtube.com/watch?v=5CZT0lNqZyk|2001년 10월 1일 레이트 나잇 위드 데이비드 레터맨]] * [[https://www.youtube.com/watch?v=7jfYYv5N5C0|2001년 11월 13일 일본 도쿄]] * [[https://www.youtube.com/watch?v=jNXOFpNGnVI|2001년 12월 10일 투나잇 쇼]] * [[https://www.youtube.com/watch?v=pcS8bWF-aoc|2002년 3월 26일 라스트 콜 위드 카슨 댈리]] * [[https://www.youtube.com/watch?v=5s0jbk0nc64|2002년 4월 26일 호주 시드니]] * [[https://www.youtube.com/watch?v=Puo5-bKh2ss|2003년 11월 14일 미국 버지니아주 노퍽]] * [[https://www.youtube.com/watch?v=gdW8E-_UDuc|2006년 9월 1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 [[https://www.youtube.com/watch?v=jk1Ire0aYi0|2009년 6월 21일 스웨덴 보로스]] * [[https://www.youtube.com/watch?v=dQTMK5EfYbg|2009년 7월 8일 크로아티아 풀라]] * [[https://www.youtube.com/watch?v=7_yxap59Rts|2017년 6월 4일 영국 더비셔]] * [[https://www.youtube.com/watch?v=Slyetp4D9sM|2017년 7월 7일 독일 베를린]] * [[https://www.youtube.com/watch?v=96UnXfq8h1g|2017년 12월 5일 독일 함부르크]] * [[https://www.youtube.com/watch?v=jCEcv69GCfU|2017년 12월 10일 레바논 베이루트]] * [[https://www.youtube.com/watch?v=Ms4tB0gjwSk|2018년 6월 30일 조지아 바투미]] * [[https://www.youtube.com/watch?v=hj_WO3ycRH0|2019년 11월 8일 미국 필라델피아]] * [[https://www.youtube.com/watch?v=pUwgDsnxTi8|2019년 12월 21일 호주 시드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