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Eiknd-7FZUk)]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DJ Mass|DJ Mass MAD Izm*]]이 작곡했다. [[199024club -Re:BounceKiller-]]와 비슷하게 곡명이 길어 [[IDC]]로 줄여 부른다. DJ Mass의 곡 중에선 처음으로 보컬이 채용된 곡이다. == 가사 == ||ABC to XYZ Hey!! Say!! Yeah!! and make some noise Everybody in the house, hands up heads up!! Lazy daisy juice up yeah! Rolling shaking hanging out Stomp! you are making noise Stomp! you are making noise Jump! and you are in the air Jump! you are in the air Dance dance dance dance together (Let's) dance dance dance together (Jump) jump jump jump together (Let's) jump jump jump together Move your body, Move your body Move your body, Move your body Move your body, Move your body IDC Noddin' my head like yeah Movin my hips like yeah Let me see your hands up ahh Put your hands up to the sound Don't matter what you say No matter what they do Are you ready? Bring it back Jump! and you are in the air Jump! and you are in the air Clap! and you are making noise Clap! and you are making noise IDC how fancy IDC how messy IDC si merci IDC 我愛你 Let's jump jump jump together|| == [[beatmania IIDX]] == ||<:>장르명||||||<:>TECH BREAKS[BR]테크 브레익스||<:>[[BPM]]||||<:>140|| || 전광판 표기 ||||||||||||||<#454545> '''{{{#FF5A00 IdC FEAT.REVERBEE }}}''' || ||||||||||||||||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blue 노멀}}}||||<:>{{{#orange 하이퍼}}}||||<:>{{{#red 어나더}}}|| ||<:>싱글 플레이||<:>{{{#blue 7}}}||<:>{{{#blue 557}}} [include(틀:CN)] ||<:>{{{#orange 9}}}||<:>{{{#orange 818}}} [include(틀:CN)] ||<:>{{{#red 11}}}||<:>{{{#red 1145}}} [include(틀:CN)] || ||<:>[[더블 플레이]]||<:>{{{#blue 7}}}||<:>{{{#blue 553}}} [include(틀:CN)] ||<:>{{{#orange 10}}}||<:>{{{#orange 779}}} [include(틀:CN)] ||<:>{{{#red 11}}}||<:>{{{#red 1017}}} [include(틀:CN)]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26 Rootage|26 Rootage]] ~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vol.18) * [[단위인정]] 수록 * 싱글 노멀 : 3단 (28 BISTROVER), 2단 (29 CastHour ~) [[beatmania IIDX 26 Rootage]] 통상 악곡으로 공개되었다. 작곡가의 아이덴티티답게 당연히 [[스크래치곡]]이지만 어나더가 11레벨이고 루티지 폴더 내에서는 [[Level One]]이나 [[花冠 feat.Aikapin]] 등 더 어려운 스크래치곡들의 존재로 인해 상대적으로 위상이 높진 않은 편. 그래도 11레벨 곡 중에서는 최상위권에 속한다. 그의 다른 11레벨 스크래치곡인 [[SAMURAI-Scramble]] 어나더와 비교하면 지속적인 스크래치로 플레이어를 괴롭히는 사무라이와는 달리 본 곡은 비교적 스크래치 물량은 적은 대신 까다로운 스크래치 박자가 특징으로 11레벨임에도 24비트 스크래치가 꽤나 들어가 있고 노트 배치 또한 [[naughty girl@Queen's Palace]]†급으로 동시치기 및 엇박노트 등이 배치되어 있어서 사무라이와 비교해 스크래치 구간이라고 노트가 약하게 나오지 않는다. 차지노트 표기가 되어 있지만 건반 차지노트는 없고 백 스핀 스크래치가 2회 나온다. BGA는 전용 BGA를 사용한다. 비주얼 아티스트는 [[Music is The Answer]]와 [[Back Spin Sweeper]]의 BGA를 제작했던 cap이다. === 싱글 플레이 === [youtube(KuaCVGZ9tBg)] 싱글 어나더 영상 정배치임에도 원핸드를 사용하기 어렵게 노트가 배치되어있다. 스크래치 구간에 세로연타나 동시치기가 등장하는 점이 [[BLACK.by X-Cross Fade]]의 하위호환성이다. 다만 스크래치가 깔끔하게 배치되어있는 블랙바이와 다르게 스크래치 박자가 12박, 24박 등으로 상당히 변칙적임에는 주의하여야 한다. === 더블 플레이 === [youtube(f9Hjzk9qoQ8)] 더블 어나더 영상 특정 구간의 스크래치 연사가 SPA에서 몇개씩 빠지거나 더해져 있기 때문에 싱글과는 별도로 스크래치 박자를 숙지해야 한다. 후반부까지는 스크래치 박자가 11레벨 치고는 변칙적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무난하지만 후반의 속칭 쌍접시 구간이 길이가 은근히 길기 때문에 이 부분이 더블 어나더의 최고 난관이다. 비공식 난이도는 11.4. === 아티스트 코멘트 === ||Sound / DJ Mass MAD Izm* 역시 Technotronic한 HIP HOUSE를 좋아합니다.|| ||Vocal / REVERBEE '저희 너무 인기가 많아서 오락실에 못 가게 되면 어쩌나~'하고 생각했었는데 그건 아니었네요~ ㅋㅋㅋㅋ 어쨌든 집에서 스마트폰으로 녹음한 것이 좋은 소리로 오락실에 흐르고 있어서 깜짝 놀라 짝짝짝~ 했습니다~ ㅎㅎ [[https://www.youtube.com/watch?v=_CMAelhUCiw|REVERBEE 버전]]으로도 만들었습니다!|| ||Movie / cap 다크한 팝 악곡의 세계에 하마터면 휩쓸려 버릴 것 같았습니다만, 무사히 살아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분류:beatmania IIDX 26 Rootage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