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국제 화학 기구]][[분류:학회]] [include(틀:국제 이공학 기구 및 학회)]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9422b 20%, #e6a807 20%, #e6a807 40%, #9ea807 40%, #9ea807 60%, #3d8a8c 60%, #3d8a8c 80%, #593d61 80%, #593d61)" {{{#fff {{{-1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br]{{{+2 '''IUPAC'''}}}[br]'''국제 순수 및 응용화학 연맹 | 國際純粹&應用化學聯盟'''}}}}}} || ||<-2> [[파일:IUPAC 로고 2.sv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파일:IUPAC 로고.svg|width=100%]]}}} || || '''약어''' || IUPAC || || '''설립''' || [[1911년]](IACS)[br][[1919년]](IUPAC로 개편) || || '''본부''' || [[스위스]] [[취리히]][br][[미국]] [[시카고]] || || '''공용어''' || [[영어]] || || '''홈페이지''' || [[https://iupac.org/|링크]] || ||<-2> {{{#fff 핵심직위와 인물}}} || || '''의장''' || 나탈리야 트라소바([[러시아]]) || || '''사무총장''' || 리처드 M. 하트숀([[뉴질랜드]]) || || '''부의장''' || 저우치펑([[중국]]) || || '''회계담당자''' || 콜린 험프리스([[영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1919년 창설된, 각 국의 화학자들을 대표하는 조직들의 연맹이다.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52개국이 회원국으로 등록되어있다. 국제 학술 연합([[ICSU]])의 회원조직이었지만 2018년 국제사회과학협의회([[ISSC]])와 합쳐져서 현재는 국제과학협의회([[국제과학협의회|ISC]]) 소속이다. IUPAC은 주기율표상의 새로운 [[원소]]들의 명명을 포함하여 화학적 명명법과 용어설정, 측정방법의 표준화, 원자량 등에 세계적인 권위를 가진 집단이다.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과학적 기반 기구이다. 1919년 학계와 산업 화학자들은 협력 및 자유로운 과학 정보 교환을 통한 화학 발전을 위하여 IUPAC을 설립하였다. IUPAC은 화학분야 명명법의 표준화[* 대표적인 예로 [[알케인]] 등의 [[유기화합물 명명법]]. 사실 이걸로 가장 유명한 곳이다.]로 잘 알려졌다. 그러나 화학을 포함한 생물학과 물리학 분야에서도 명명법을 만들었는데, 대표적인 예로 [[아미노산]]과 [[염기(화학)|염기]]의 기호가 있다. 또한 환경화학, 물리학 등의 분야의 서적도 출판한다. == 역사 == 화학의 국제 표준화의 필요성은 1860년, 세계 최초의 유기화합물의 명명 회의의 의장이자 독일의 유기화학자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케쿨레 폰 슈트라도니츠|아우구스트 케쿨레]]에 의해 제기되었다. 이 제안은 IUPAC의 유기 화학 명명법의 시초가 되었다. IUPAC은 이 회의의 산유물로서 촉발되었고 이는 화학사회의 역사적인 국제 협력중의 하나이다. 이후로 IUPAC은 유기화합물 명명법의 유지와 개선에 공식적인 책임을 가지게 되었다. [[독일]]은 초기 연맹의 가입에서 배제되었는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로 [[연합군]]의 독일에 대한 편견 때문이다. 독일은 결국 1929년에 가입되어졌으나 [[제2차 세계 대전]]과 함께 [[나치 독일]]은 다시 배제 되어졌다. 2차 세계 대전 동안 IUPAC은 연합군과 관계를 맺었으나 거의 개입하지 못하였다. 전쟁 이후, [[동독]]과 [[서독]]은 다시금 연맹에 가입할 수 있게 되었다. 2차 대전 이후로 IUPAC은 명명법과 방법의 표준화에 주력해왔다. 2016년, IUPAC은 화학무기금지기구([[OPCW]])에 보낸 성명서에서 [[시리아]]의 [[염소(원소)|염소]]의 화학적 무기로서의 사용에 관하여 우려를 표명했다. 화학무기금지협약(CWC)에 따르면, [[생화학무기|화학 무기]]의 사용, 비축, 유통, 개발 또는 저장은 192개 당사국 서명국 중 어느 누구도 허용하지 않고 있다. == 구조 == 총 8개의 부문(과)로 이루어진 사업부, 자문위원회와 운영위원회로 이루어진 상임위원회 그리고 이들의 재정지원과 총괄적 업무를 규제하는 국(Bureau)으로 운영되고 있다. === 사업부 === 총 8개의 부문으로 이루어져있다. IUPAC의 모든 과학적 활동들은 부문들에 의해 이끌어진다. 각 부문은 그 부문 명칭이 나타내는 화학분야를 대표하고 사무국이 책임을 진다. 각 부문은 임시회원, 준회원들, 필수 전문 지식을 갖춘 국가대표들에 의해 관리되어진다. * 물리 및 생물물리화학 부문 (Division 1, Physical and Biophysical Chemistry) * 물리 및 생물물리 화학 분야의 과학자들과 관련 분야의 국제 협력을 증진. * 무기화학 부문 (Division 2, Inorganic Chemistry) * 무기 및 무기재료 화학, [[동위원소]]와 원자량, [[주기율표]] 등을 다룬다. 무기화합물 및 물질을 다루는 문제에 대해 부문 8에 조언한다. 대중적으로 가장 눈에 띄는 결과는 새로운 원소들에 대한 IUPAC명과 기호를 주기율표에 추가 한 것이다. * 산하 4개의 소위원회인 동위원소 존재도 측정 소위원회, 재료화학에 대한 부문 간 소위원회(ISMC), 안정 동위원소 표준 물질 평가 소위원회, 동위원소 존재도와 원자량에 대한 분과위원회가 있다. * [[유기화학|유기]] 및 생물분자화학 부문 (Division 3, Organic and Bimolecular Chemistry) * 유기 및 생물분자화학 분야에서 IUPAC의 목표를 촉진 도모. * 산하 6개의 소위원회인 유기 합성 소위원회, 생물분자 화학 소위원회, 환경 화학 소위원회, 광화학 소위원회, 구조 및 기계적 유기화학 소위원회, 생명 과학 소위원회가 있다. * [[고분자]] 부문 (Division 4, Polymer) * 교육 및 회의 그리고 사회적 평가를 포함한 국제 수준에서 거대분자와 고분자 과학기술의 홍보를 담당한다. 또한 거대분자 및 고분자 과학기술의 표준과 전문용어를 정의하고 국제과학교류 증진, 다른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도모한다. 부문 4 는 부문 1, 부문 2 와 함께 ISMC에 포함되어져있다. * 산하 4개의 소위원회인 고분자 용어 소위원회, 중합 동역학과 프로세스 소위원회, 고분자 교육 소위원회가 있다. * [[분석화학]] 부문 (Division 5, Analytical Chemistry) * IUPAC내의 분석 화학 사업부는 과학계 및 분석방법론 사용자 및 데이터, 분석결과의 수혜자 (예를 들어 국제기구([[IAEA]], [[OECD]], [[WHO]]), 승인 기구([[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화 기구([[BIPM]], [[NIST]]), 화학계와 사회)들의 상호 작용을 촉진한다. 분석 화학 부문의 관심은 분석화학의 일반적인 측면, 분리 방법, 분광 화학적 방법, [[전기 화학]]적 방법, [[핵 화학]]적 방법, [[인간]] [[건강]]과 [[환경]]에의 응용에 있다. * [[화학]]과 환경 부문 (Division 6, Chemistry and the Environment) * 음식과 환경에서 [[화합물]]의 거동에 대한 비편파적, 권위적 평론을 제공하며, 환경 문제 해결과 전세계적 식량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기초 평가와 적용 평가를 수행한다. * 산하 2개의 소위원회인 작물 보호 화학 소위원회, 화학 및 생물물리적 프로세스 소위원회가 있다. * 화학과 인간 건강 부문 (Division 7, Chemistry and Human Health) * 치료 [[약|약물]]의 개발, [[임상시험]] 방법의 표준화 및 잠재 유해물질로부터 인간의 보호를 도모한다. * 산하 3개의 소위원회인 물성 및 단위에 관한 전문용어를 위한 소위원회(SC-NPU), 약제 발견과 개발을 위한 소위원회, [[독성학]] 및 위험성 평가를 위한 소위원회가 있다. * 화학 명명법과 구조 표현 부문 (Division 8, Chemical Nomenclature and Structure Representation) * 기존의 [[IUPAC 명명법]] 및 컴퓨터 기반 시스템을 포함하여 화학적 구조 지정을 위한 표준 시스템의 유지 및 개발을 담당한다. * 산하 3개의 소위원회인 [[JCBN]](Joint Co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8 부문 상임 위원회, IUPAC 국제 화학 식별자에 관한 소위원회가 있다. === 위원회 === 각 위원회는 각 국가의 각 국가규약협의체(NAO)에서 온 회원들로 구성되며,총 11개의 위원회가 있다. IUPAC의 상임위원회는 이사회가 IUPAC 의장과 집행위원회의 자문역할을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현행 위원회는 아래와 같다. * 국제 화학 편집위원회 (CI, Chemistry International Editorial Board) * IUPAC의 정보와 소식들을 발행한다. 정보, 소식들과 특집기사를 전세계 회원, 과학계, 화학사회, UN 및 지역등에 쌍방향 교류를 목표로 삼는다. * CHEMRAWN (Committee on Chemical Research Applied to World Needs) * 1973년에 수립되었다. 다각적 측면에서 화학이 세계에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목표로 한다. IUPAC CHEMRAWN Conference 라는 이름으로 대외 활동도 하고 있다. 최근의 활동은 도시의 고체 폐기물에 관한 주제로 2016년 4월 6일부터 8일까지 이탈리아의 로마에서 열렸다. [[https://iupac.org/event/solid-urban-waste-management-xxi-iupac-chemrawn-conference/|관련링크]] * 화학 및 산업화학 위원회 (COCI, Committee on Chemistry and Industry) * 세계 산업화학의 중요한 이슈들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 외에 지역 워크숍[* 제 1차 2008년 [[독일]] 말(Marl), 제 2차 2009년 [[일본]] [[가와사키시|가와사키]], 제 3차 2010년 [[쿠웨이트]], 제 4차 2012년 6월 [[캐나다]] [[토론토]], 제 5차 2016년 [[중국]]]을 개최하고 탈레스 나노 화학상이라 불리는 독자적인 수상식 또한 개최한다[* 2016년 9월 [[베이징]]에서 열렸으며 수상자는 Flow Chemstry의 Volker Hessel 교수이다.[[https://iupac.org/volker-hessel-is-awarded-the-2016-iupac-thalesnano-prize-for-flow-chemistry/]]]. 또한 [[개발도상국]]에서 각 기관의 환경 및 건강 그리고 안전프로그램의 보완을 위하여 매년 1~2명의 인원이 독자적인 IUPAC 안전교육프로그램(STP)을 교육 받고 있다. 최근, 2015년 8월 부산에서 열린 IUPAC 정기 총회에서는 실험실 안전뿐만 아니라 산업안전 또한 중점에 두었다. * 간행물 및 화학 정보 데이터 표준위원회(CPCDS, Committee on Publications and Cheminformatics Data Standards) * IUPAC 간행물 및 전자 출판물의 디자인등 모든 측면을 주관 * 화학 교육에 대한 위원회 (CCE, Committee on Chemistry Education) * 화학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포함하여 화학 교육 관련 사안을 IUPAC 총장과 집행위에 조언. * IUPAC의 교육 프로젝트를 유지하고 교육 활동을 조정. * 평가위원회 (EvC, Evaluation Committee) * 모든 프로젝트의 평가를 담당하고 이를 집행위원회에 통보한다. * 집행위원회 (Ec, Executive Committee) * IUPAC 모든 행사의 계획 및 토론, 재정 심사, 다른 위원회의 업무를 심사. * 재정위원회 (FC, Finance Committee) * 다른 위원회들의 예산 관리 업무, IUPAC 근무자들에게 투자 조언. * 명명법, 용어 및 기호에 대한 부문 간 회의 (ICNTS, Interdivisional Committee on Nomenclature, Terminology and Symbols) * [[IUPAC 명명법|화학명명법]], 용어, 측정 방법의 표준화, 원자량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가지고 있는 IUPAC의 핵심 위원회이다. 2002년 1월 ICNDS(Inter-divisional Committee on Nomenclature and Symbols)로부터 재편되었다. * 이 회의에는 국제도량형국([[BIPM]]),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 분자생물학 및 생화학 연합([[IUBMB]]), 국제결정학연합([[IUCr]]), 국제영양학연맹([[IUNS]]), 국제약리학연합([[IUPHAR]]), 국제 순수 및 응용물리학 연맹([[IUPAP]])이 참석한다. * Project Committee (PC) * 프로젝트에 대한 보조금 적절성 평가및 외부 기금 출현 추천 * Pure and Applied Chemistry Editorial Advisory Board (PAC-EAB) * IUPAC의 공식 월간 저널인 PAC(Pure and Applied Chemistry)를 발간. 이 저널은 위원회 회의에서 나온 권장사항, 기술적 보고서 및 강연들을 포함한다. === 거버넌스 === == 회원국 == [[한국]]을 포함하여 52개국이 회원국으로 등록되어있다. [[뉴질랜드]], [[한국]], [[말레이시아]], [[대만]], [[아일랜드]], [[자메이카]], [[그리스]], [[프랑스]], [[미국]], [[푸에르토 리코]], [[요르단]], [[모잠비크]], [[포르투갈]], [[세네갈]], [[인도]], [[불가리아]], [[영국]], [[칠레]], [[쿠바]], [[체코]],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슬로베니아]], [[튀르키예]], [[벨기에]], [[오스트레일리아 연방|호주]], [[슬로바키아]], [[스위스]], [[헝가리]],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노르웨이]], [[네팔]], [[네덜란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쿠웨이트]], [[이스라엘]], [[폴란드]], [[스페인]], [[나이지리아]], [[이집트]], [[중국]], [[태국]], [[러시아]], [[브라질]], [[일본]], [[캐나다]], [[핀란드]], [[이탈리아]], [[스웨덴]], [[가나 공화국|가나]], [[크로아티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