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로레슬링 챔피언십]][[분류:신일본 프로레슬링]] [include(틀: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챔피언십 타이틀)]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WGP_United_States_Heavyweight_Championship.jpg|width=100%]] |||| || '''현재 타이틀 명칭''' || '''[[IWGP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 || '''현재 챔피언''' || '''[[윌 오스프레이]]''' || || '''챔피언 등극''' || 2023년 6월 25일 [br] [[포비든 도어 2023]] || || '''이전 챔피언''' || [[케니 오메가]] || || '''소속 단체''' || '''[[신일본 프로레슬링]]'''[br]''New Japan Pro Wrestling'' || || '''벨트 창설일''' || 2017년 5월 21일 || |||| [[http://www.njpw.co.jp/data/list_category.php?cat=6|공식 홈페이지]] || [목차] == 개요 ==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챔피언십]] 가운데 하나로,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이 폐지되고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2인자 격 챔피언십이다. == 역사 == 2017년 7월 1일과 2일, [[G1 스페셜 in USA]]에서 8인 토너먼트를 통해 초대 챔피언이 결정되는 방식으로, 1일에 승리한 4명이 2일에 준결승 및 결승 경기를 가졌다. G1 스페셜 in USA 2일차 흥행 토너먼트 결승에서 [[케니 오메가]]와 [[이시이 토모히로]]가 대결해서, 테이블로 에이프런 드래곤 수플렉스를 시전하는 등 살벌한 31분 20초 간의 경기 끝에 케니 오메가가 외날개의 천사로 이시이 토모히로를 꺾고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 1일차 8강 대진은 [[마이클 엘긴]] VS [[케니 오메가]], [[제이 리썰]] VS [[애덤 페이지|행맨 페이지]], [[쥬스 로빈슨]] VS [[잭 세이버 주니어]], [[나이토 테츠야]] VS [[이시이 토모히로]]였다. 준결승과 결승이 모두 치러지는 2일차 준결승 대진은 제이 리썰 VS 케니 오메가, 잭 세이버 주니어 VS 이시이 토모히로였다.] [[파일:external/www.njpw.co.jp/TOP00.jpg]] 타이틀 이름이나 역대 챔피언들을 보면 알 수 있듯 외국인 선수 전용 타이틀이라는 느낌이 매우 강하다는게 특징이다. 하지만 IWGP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이 사라진 시점에서 새로운 2인자 타이틀 역할로 자리잡아 [[타나하시 히로시]]를 시작으로 일본인 선수들과 영국인 챔피언 [[윌 오스프레이]] 등이 탄생하기 시작하고 있다. 2023년 8월 12일 오스프레이가 후술할 IWGP UK 헤비급 벨트로 변경했다. (아직 정식으로 타이틀이 변경되진 않았다) == 벨트 디자인 변천사 == [[파일:IWGP UK.jpg]] 2023년 8월 12일에 [[윌 오스프레이]]가 공개한 신 벨트로 기존 벨트가 미국을 상징하는 것에 불만을 가지고 고향인 영국의 유니온 잭을 딴 '''IWGP UK 헤비급''' 벨트로 변경했다. == 기록 == || '''초대 챔피언''' ||<-2> [[케니 오메가]] || || '''최다 획득 챔피언''' || [[타나하시 히로시]] [br] [[쥬스 로빈슨]] || 3회 || || '''최장기간 챔피언''' || [[존 목슬리]] || 564일 || || '''최단기간 챔피언''' || [[타나하시 히로시]] || 13일 || || '''최고령 챔피언''' || [[타나하시 히로시]] || 44세 || || '''최연소 챔피언''' || [[제이 화이트]] || 25세 || || '''최중량급 챔피언''' || [[랜스 아처]] || 120kg || || '''최경량급 챔피언''' || [[KENTA]] || 85kg || || '''최다 연속 방어''' || [[존 목슬리]] || 5회 || || '''통산 최다 방어''' || [[존 목슬리]] [br] [[케니 오메가]] || 5회 || == 역대 챔피언 목록 == *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 '''#''' || '''이름''' || '''챔피언 횟수''' || '''등극한 날 [br] (챔피언 방어 기간)''' || '''방어전 승리 횟수''' || '''비고''' || || '''1''' || [[케니 오메가]] || 1회 || 2017년 7월 2일 (210일) || 4회 || [* [[G1 스페셜 in USA]] 2일차 흥행 토너먼트 결승에서 [[이시이 토모히로]]를 꺾고 챔피언에 등극] || || '''2''' || [[제이 화이트]] || 1회 || 2018년 1월 28일 (160일) || 3회 || || || '''3''' || [[쥬스 로빈슨]] || 1회 || 2018년 7월 7일 (85일) || 0회 || || || '''4''' || [[코디 로즈|코디]] || 1회 || 2018년 9월 30일 (96일) || 0회 || || || '''5''' || 쥬스 로빈슨 || 2회 || 2019년 1월 4일 (152일) || 3회 || || || '''6''' || [[존 목슬리]] || 1회 || 2019년 6월 5일 (131일) || 0회 || || || '''-''' || 공석 || - || 2019년 10월 14일 || - || [* [[존 목슬리]]가 10월 14일 [[킹 오브 프로레슬링 2019]]에서 방어전을 [[쥬스 로빈슨]]을 상대로 치뤘어야 하나, 출국해야 하는 날에 9호 태풍 하기비스가 몰아쳐 미국을 떠나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다. 비행기가 결항되어 일본에 들어오지 못했기 때문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내부 규정에 따라 US 챔피언십을 반납한다. 대신 10월 14일 당일 예정되어있던 타이틀 매치를 쥬스 로빈슨 vs. [[랜스 아처]]로 재조정해 챔피언을 다시 선정한다.] || || '''7''' || [[랜스 아처]] || 1회 || 2019년 10월 14일 (82일) || 1회 || || || '''8''' || 존 목슬리 || 2회 || 2020년 1월 4일 '''(564일)''' || '''5회''' || || || '''9''' || 랜스 아처 || 2회 || 2021년 7월 21일 (24일) || 1회 || || || '''10''' || [[타나하시 히로시]] || 1회 || 2021년 8월 14일 (84일) || 1회 || [* 최초의 일본인 IWGP US 헤비급 챔피언] || || '''11''' || [[KENTA]] || 1회 || 2021년 11월 6일 (60일) || 0회 || || || '''12''' || 타나하시 히로시 || 2회 || 2022년 1월 5일 (45일) || 0회 || || || '''13''' || [[SANADA]] || 1회 || 2022년 2월 19일 (49일) || 0회 || || || '''-''' || 공석 || - || 2022년 4월 9일 || - || [* SANADA가 [[뉴 재팬 컵 2022]] 3라운드 [[윌 오스프레이]]와의 경기에서 왼쪽 안와골절 부상을 얻게 되면서 방어전을 치를 수 없게 되자 챔피언을 반납했다.] || || '''14''' || 타나하시 히로시 || '''3회''' || 2022년 5월 1일 (13일) || 0회 || [* 원래는 [[윌 오스프레이]]와의 챔피언 결정전이 예정되어있었으나, 윌 오스프레이가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결장하게 되면서 [[이시이 토모히로]]와의 챔피언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챔피언십을 획득] || || '''15''' || 쥬스 로빈슨 || '''3회''' || 2022년 5월 14일 (28일) || 0회 || || || '''-''' || 공석 || - || 2022년 6월 11일 || - || [* [[쥬스 로빈슨]]이 맹장 수술을 이유로 들면서 [[도미니언 6.12 in 오사카-조 홀]]에서의 방어전을 거부했기 때문에 박탈] || || '''16''' || [[윌 오스프레이]] || 1회 || 2022년 6월 12일 (206일) || 4회 || [* [[SANADA]]와의 챔피언 결정전에서 승리] || || '''17''' || 케니 오메가 || 2회 || 2023년 1월 4일 (172일) || 1회 || || || '''18''' || '''윌 오스프레이''' || 2회 || 2023년 6월 25일 ([dday(2023-06-25)]일) || || [*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타이틀이 WCW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타이틀이었을때 랜스 스톰이 WCW 캐네디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비공식 개명한 것처럼 오스프레이도 비공식적으로 IWGP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으로 개명해버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