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Ib)] [include(틀:스포일러)] [목차] == 개요 == Ib의 OST 목록이다. MIDI 시퀀스로 작곡한 것 같으며[* OST puppet이 MIDI 시퀀스로 되어있다. 참고로 이 곡은 [[메리(Ib)|메리]]의 테마이다.] 일부를 제외하면 전부 [[MP3]] 형식으로 되어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이라고 해도 엔딩 크레딧에 출처가 된 사이트가 쓰여있다~~ 일부 곡을 제외한 상당수의 음악은 무료 소재 사이트에서 가져온 것들이다.[[https://ameblo.jp/katti8/entry-11257647765.html|#]] 그래서 하술된 대로 방송에 나온 적도 있으며, 심지어 90년대 일본야동(...)에도 이 BGM이 등장하기도 한다. 즉, 이 BGM들은 원래 이 게임 BGM이 아니라, 원래 있는 BGM을 제작자가 이브에 사용한 것이다. 리메이크 소식이 나오고 음악이 일부 바뀔 것이라는 [[https://twitter.com/monomu_kouri/status/1444642274625736710|제작자의 트윗]]이 있었다.[* 메리의 테마도 새로 만들었다고 한다.] 음악이 변경되는 이유는 아마도 저작권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 OST 목록 == === 캐릭터 테마 === ==== 기억 / 최후의 무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ebi2O4uL7E)]}}} || || '''Memor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T53k7DxIIg)]}}} || || '''Final stage''' || [[이브(Ib)|이브]]의 테마이자 타이틀곡으로도 사용되는 곡이다. 타이틀곡 버전은 뒷부분이 깡그리 잘려있다. 느린 버전은 '외톨이 이브' 최후의 무대 엔딩에서 들을 수 있다. [[http://home.ebs.co.kr/baddog/board/10/10060645/view/10007862899?hmpMnuId=102|#1]] 일부가 [[EBS]]에 나왔다. [[https://youtu.be/qdLkqrEqoqQ?t=603|#2]] 10:04에 이 노래가 나온다. [[https://youtu.be/VH5V1DkLqmc?t=767|#3]] 12:48에 일본판도 마찬가지. ==== 숨바꼭질 / 슬픔의 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tsGvVBwiYA)]}}} || || '''HideAndSeek'''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OEgZY8-yhA)]}}} || || '''BlindAlley''' || [[게리(Ib)|게리]]의 테마. 숨바꼭질은 [[EBS]] [[세계테마기행]] [[https://youtu.be/FLPLqOHlDgU|생명의 땅, 이집트편(3분 20초부터)]]에 나온 적이 있다. ~~먼저 나오는 [[열정적인 듀얼리스트들|함정 브금]]은 무시하자~~ ==== 꼭두각시 / 메리의 테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xYtrDFqVrI)]}}} || || '''puppet''' || [[메리(Ib)|메리]]의 테마. MIDI 시퀀스로 되어 있는 곡이다. 때문에 다른 기기에서 들으려면 파일 변환이 필요하다. 멜로디에 가사를 붙인 2차 창작도 있다. [[https://youtu.be/4sEfeTmj7dw|영어 가사 원본 추정 버전]] [[https://youtu.be/MWw3sfZn33E|한국어 커버]]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t7O7p8oiMQ)]}}} || || '''Mary's Theme''' || 리메이크판에서 바뀐 메리의 테마곡이다. === 상황 테마 === ==== 게임 오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dhSnZpDX0A)]}}} || || '''Doll''' || 게임 오버시 나오는 OST. 원곡은 [[아구스틴 바리오스 망고레|Agustín Barrios Mangoré]]의 El sueño de la muñeca[[https://youtu.be/jdYIdgzCmaw|#]] 제목 자체가 원제를 영어로 직역한 의미다.(인형의 꿈) ==== 엔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Gjtib7dWNM)]}}} || || '''Departure''' || '재회의 약속' 엔딩 후 크래딧에서 나오는 곡. ==== 프롤로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70LCERf20o)]}}} || || '''Departure''' || 프롤로그 시 나오는 곡. 원곡은 Agustín Barrios Mangoré의 Prelude in C Minor[[https://youtu.be/GaWd3gy78E0|#]] ==== 움직이는 그림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fcVYynGR6Q)]}}} || || '''OldDoll''' || [[https://www.youtube.com/watch?v=inanvAnszxw&spfreload=10|깜빡씨와 갈레트데로와 (うっかりさんとガレット・デ・ロワ)]] [[https://www.youtube.com/watch?v=SZqM0pA5DJc|'깜빡씨와 갈레트 데 로와' 한국어판]] '어서 오세요 게르테나의 세계에' 엔딩의 메인 테마곡. 작중작 동화 '깜빡씨와 갈레트 데 로와' 에서는 앞부분이 끊긴 버전이 나온다. ==== 위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rOeh3RkQ9g)]}}} || || '''Uneasiness''' || 위험한 상황일 때의 맵의 테마. 유튜브 영상 댓글들을 보면 게이머들은 게리가 붉은 눈 인형의 방에서 열쇠 찾는 장면 전용 브금으로 보고있다. === 장소 테마 === ==== 게르테나 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Orv5KM3m6Q)]}}} || || '''La Folia''' || 미술관의 테마. 미술관이 정전되기 전까지 계속 들린다. La Folía는 16세기에 시작된 바로크 풍 멜로디이다. 150명이 넘는 작곡가가 변주하였으나 대중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아래는 가장 유명한 작곡가들의 예시들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VHRdFILo_Yw|[[아르칸젤로 코렐리]]]] [[https://www.youtube.com/watch?v=7v8zxoEoA_Q|[[안토니오 비발디]]]] [[https://www.youtube.com/watch?v=ZDBs5fEIPyc|[[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https://www.youtube.com/watch?v=tzgSMXKfJl4|[[안토니오 살리에리]]]] [[https://youtu.be/vZTSzvcW9q8|[[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라흐마니노프]]]] ==== 파란색 ~ 노란색 에어리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V4SSATaLSw)]}}} || || '''Inquiry''' || 맵의 테마 1 작품 안에 들어오게 되면 가장 처음으로 듣는 음악이다. ==== 빨간색 ~ 회색 에어리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AJ5uvRqWfI)]}}} || || '''Disappearance''' || 맵의 테마 2 ==== 보라색 ~ 갈색 에어리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OiIkmdLhmo)]}}} || || '''DiningRoom''' || 맵의 테마 3 ==== 스케치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CkJeuKjq88)]}}} || || '''No One in Sight''' || 맵의 테마 4 스케치북의 공간에서 나온다. ==== 주황색 에어리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WmuXaqyvpw)]}}} || || '''Noise''' || 맵의 테마 5 추가 던젼 1[* 주황색 공간]에서 나온다. ==== 심해 에어리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yzDXvd2q1E)]}}} || || '''Goofball''' || 맵의 테마 6 추가 던젼 2[* 청록색 공간]에서 나온다. === 기타 OST === ==== BGM00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KSDEID33H4)]}}} || || '''BGM008''' || 플라스틱 열쇠를 사용하고 들어간 집의 BGM, 추가 던전 입구의 BGM이다. [[분류:Ib]][[분류:게임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