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DJMAX TRILOGY 엔딩곡, rd1=꿈속에서 본 것은)]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MHDW5pK2q4)]}}} || ||<-2> {{{-1 '''Full V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3zXNZaHfA8)]}}} || ||<-2> {{{-1 '''BGA'''}}}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Black Square]]}}} {{{-3 (2008)}}} || || {{{-1 '''장르'''}}} ||{{{-1 Mental Metal}}} || || {{{-1 '''BPM'''}}} ||{{{-1 140}}} || || {{{-1 '''작곡'''}}} ||{{{-1 [[ND Lee]]}}} || || {{{-1 '''BGA'''}}} ||{{{-1 Weltol(원화), Latte(모션)}}} || == 개요 == > 대중적인 곡과 Hardcore를 모두 소화하는 ND Lee의 Mental Metal 곡! 유명 기타 세션이 소화한 솔로 파트는 신들린 기타의 울림을 들려준다. [[DJMAX Portable Black Square]]의 수록곡. 약칭은 '''인마드'''. [[DJMAX 시리즈]] 이후에는 대중적인 곡을 주로 작곡하던 [[ND Lee]]가 오랜만에 하드코어를 작곡했다[* 나머지 하나는 [[복수혈전(DJMAX)|복수혈전]].]. [[메트로 프로젝트]]내의 또다른 신곡인 [[In My Heart]]와 제목이 아주 비슷하지만 제목만 비슷할 뿐이지 음악이나, 비주얼이나, 난이도나 거의 180도로 다른 곡이다. 과거 DJMAX TECHNIKA의 주간 코스 업데이트 공지에서 In My Heart가 In my Dream 으로 잘못 표기가 되는 바람에 꽤나 떡밥이 된 적이 있었다. 해당 공지는 1시간도 지나지 않아 수정되었지만. 더불어 [[DJMAX Trilogy]]에 [[꿈속에서 본 것은|동명이곡]]이 있으니 주의. [[DJMAX Portable Black Square]]의 수록곡들 중 [[SON OF SUN]]을 제외한 모든곡들 가운데 보스 대접을 받고있는 고난이도의 곡이었지만, [[DJMAX TECHNIKA]] 시리즈에서는 달랑 노멀(PP)패턴 하나만 오래도록 존재하였기 때문에, 한참 후 EX패턴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제발 상위패턴을 달라'''는 성토가 많았던 곡. BGA의 내용은 세 사람 사이의 원한으로 인한 '''살인'''을 그리고 있다. 가장 마지막의 문구인 BORN 24th February in 2000 ~ DIED 9th June 2032를 생각하면 흠좀무. == [[DJMAX Portable Black Square]] == BS의 모든 해금 컨텐츠 가운데 이곡의 6BFX MX 패턴이 가장 마지막에 해금되며 [[Fermion]]의 MX 패턴과 함께 최고 레벨인 15레벨의 자리를 꿰차고 있다. 하지만 Nightmare에 비해 포스가 한참 밀리는것은 마찬가지라는 평이었고, 그나마 DMP BS에서 흔하게 물렙 소리를 듣고 있는 [[Fermion]] 보다는 전체적으로 어려운 편. 일단 BS 신곡 중에서는 가장 어려운 패턴중 하나. == [[DJMAX TECHNIKA]] 시리즈 == [youtube(jIbXvm1PrM0)] NM 패턴(테크니카 1 기준 SP) |||||||||||| [[DJMAX TECHNIKA 3]]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FFB0B0> Star || C || 50 Max || || || || ||<#FFFF00> Normal || C || 150 Max || 6 || 4박 스크롤 || [[Metronom|미션 - Senza Tempo]] 수록 || ||<#B400FF> {{{#white Extra}}} || ? || ? || ? || 4박 스크롤 || [[Summer Special Mission (DJMAX)|Summer Special Mission 미션 - Summer Special HARD]] 수록 || 테크니카 시리즈 내에서의 난이도는 노멀(PP)패턴은 등장당시 6. 이후 테크니카2에서 5레벨로 표기가 내려갔지만 사기렙 소리를 많이 들었던지라, 3에 와서는 노멀 패턴이 다시 6레벨로 상승했다. [[DJMAX TECHNIKA|테크니카1]] 당시 Evolution EP 업데이트 후, 곧 조만간 업데이트 될것이라는 [[떡밥]]이 돌았다. 11월 24일 1주년 업데이트 파일 목록 중 이 곡의 이름이 있었기 때문. 결국 사실로 드러나 2월 9일자 업데이트에 LP, PP 패턴이 추가되었다. BS에서의 난이도에 걸맞지 않게 심심한 패턴으로 나와 실망한 유저가 많았지만 아직 [[키음]]을 제대로 쓰지 않았기 때문에 후에 나올 TP, SP 패턴에서 제대로 된 기타음을 연주할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품었다. 하지만 테크니카1이 지나고 테크니카2가 될때까지 하드 이상의 패턴은 나올기미가 없었다. 이후 테크니카3 발매 후로도 소식이 없어 많은 유저들이 이 곡의 HD/MX 패턴을 만들어 달라는 요청을 했으나 테크니카 공식 트위터쪽에서는 키음 배분의 문제로 HD이상의 패턴을 만들기가 어렵다는 답변만이 왔을 뿐이었다. [[http://twitter.com/#!/DJMaxTechnika/status/188163816415166466|테크니카 공식 계정의 트윗]] [youtube(Y5-L0rwBfHA)] (EX 패턴) 이대로 [[Get Down]], [[Desperado]]등과 함께 비운의 버려진 곡 취급을 받다가, 갑자기 7월 10일 [[Summer Special Mission (DJMAX)|여름 스페셜 미션]]의 하드 미션에서 EX패턴이 등장했다. 노멀 패턴에서는 그냥 정박으로 뚱땅거릴 뿐인 초중반 기타 부분의 키음이 제대로 구현되었고 후반의 기타음까지 적잘하면서도 난이도 있게 키음으로 구현되었다. 단순히 난이도만 높은 패턴인게 아니라 패턴 자체의 평도 좋은 편. == [[TAP SONIC]] == TAP SONIC에서도 6라인 레전드 기준 9레벨로 등장, 기타 폭타를 하나도 빠짐없이 전부 다 구현했다! 때문에 9레벨 값어치를 제대로 하고 있다. 다만 그 기타 구간을 넘기면 나머지 구간은 그래도 괜찮게 진행이 가능하다. == [[DJMAX RAY]] == |||||||||| [[DJMAX RAY]]의 Next Wave 팩 수록곡 || || [[Someday(DJMAX)|Someday]] || [[Love is Beautiful]] || [[Good Bye(DJMAX)|Good Bye]] || '''In my Dream''' || [[Dark Ages]] || |||||||||||| [[DJMAX RAY]] 난이도 체계 || || 패턴 || 난이도 || 비고 || ||<#FFFF00> NM || 7 || || ||<#0000FF> {{{#white HD}}} || 8 || || ||<#FF0000> MX || 10 || || [youtube(-bB7W2198cs)] == [[DJMAX TECHNIKA Q]] == ||<-4>
[[DJMAX TECHNIKA Q|{{{#7df12a '''DJMAX TECHNIKA Q'''}}}]] || || {{{#7df12a '''라인/난이도'''}}} ||<#fff344> '''NM''' ||<#058cf4> '''{{{#white HD}}}''' ||<#e64119> '''{{{#white EX}}}''' || || {{{#7df12a '''2 LINE'''}}} || 4 || 7 || '''{{{#red 10}}}''' || || {{{#7df12a '''3 LINE'''}}} || 4 || '''8''' || '''{{{#red 10}}}''' || [youtube(uvornufiXfQ)] 3L EXPERT (Lv. 10) 아케이드와는 다르게, 기타 속주도 모자라서 이 구간이 시작할 때 나오는 피크 스크래치 구간까지 모조리 노트로 박아놓았다. 기타 연주 특성상 항상 정박 16비트가 된다는 보장이 없어 노트로 구현했을 때 처리가 상당히 까다로운 편.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BS)]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 my Dream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c1b49, #7a1023)" '''{{{#black BLACK SQUARE}}}'''}}} || ||<-4>'''{{{+5 In my Dream}}}'''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1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49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1.15 패치에서 15 → 14로 하향.] [br] {{{-5 766}}}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953}}}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0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57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1.22 패치에서 13 → 14로 상향.] [br] {{{-5 782}}}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937}}}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3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61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1.22 패치에서 13 → 14로 상향.] [br] {{{-5 797}}}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1155}}}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40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59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1.22 패치에서 14 → 15로 상향.] [br] {{{-5 929}}}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1176}}} || ||<-5> 특수 패턴 || || {{{-1 XB SP}}} ||<-4> [[DJMAX RESPECT/미션/DLC#s-6.2.5|End of Metro Project]] || || {{{-1 5B FX}}} ||<-4> [[DJMAX RESPECT V/미션/DLC#s-5.2.3|Metro Project vol.2]]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91010, #621524, #BD234B)"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4B MX 패턴은 등장 당시 15레벨이었으나 기존에 같은 15레벨에 있던 패턴들과는 한참 모자란 난이도를 보여주며 이후 업데이트로 14레벨로 강등되었으며, 1.22 패치 이후 4버튼을 제외한 MX 난이도가 모두 상향 조정되었다. 이후 [[DJMAX RESPECT V|V]]에서는 5B와 6B에 SC 패턴이 추가되었으며, 시즌 10 업데이트로 4B와 8B에도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이로써 5B를 제외한 모든 SC 패턴이 '''14레벨'''이라는 고난이도를 기록하면서, 사실상 [[Heart of Witch]]와 더불어 블랙 스퀘어 DLC의 양대 보스곡 포지션에 등극했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ZjVdnfP84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Cc6Sl7RzA)]}}}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IW2NqoOlLQ)]}}}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Kf35AijyIM)]}}} || 4B SC 패턴은 최후살에 [[Zeroize]]를 떠오르게 하는 4번 노트 9연타 패턴이 등장하지만 오히려 가장 어려운 구간은 최후살 돌입 직전 등장하는 '''겹연타 구간'''으로, 마치 [[Zero-Break]]의 중살이 짧게 등장하는 듯한 구성으로 짜여져 있기에 겹연타에 약한 유저라면 정확하게 처리하기가 쉽지 않은 패턴이다. 그나마 길이가 짧기 때문에 퍼펙트를 목표로 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적당히 비비면 어느정도 레이트를 유지하면서 무난하게 넘어갈 수 있고, 그 뒤에 등장하는 최후살도 그닥 어려운 편이 아니기 때문에 14레벨 내에서는 상당히 쉬운 편이라고 평가받는다. 특히 패턴의 전체적인 밀도 자체가 다른 SC 14레벨 곡들에 비하면 상당히 낮기 때문에 클리어 난이도만큼은 14레벨 중에서 가장 쉽게 느껴질 수 있다. 초반부의 기타 리프와 함께 등장하는 즈레가 까다롭지만, 디맥의 판정이 후한데다가 6B나 8B SC에 비하면 그래도 쉬운 구성으로 짜여져 있기에 해당 구간 또한 적당히 비비며 넘어가면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NB RANGERS - 운명의 Destiny]]와 마찬가지로 특정 패턴의 처리력과 '플레이 목표 지점이 어디까지인가'에 따라 체감 난이도가 상당히 갈리는 패턴이다. 상술했듯 앞부분의 즈레와 난이도가 밀집되어있는 겹연타 구간을 적당히 비비면서 넘어가는 것이 가능하기에 S랭크~99.5% 수준의 플레이를 목표로 하는 유저들에게는 13레벨 수준의 [[물렙곡|물렙]] 패턴으로도 평가될 정도이지만, 퍼펙트를 노리고 있는 유저들에게는 상당한 난관이 될 수 있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yAlB_mtfK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Ro5me8uWds)]}}}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Sfkh91h65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N38qTOdtHg)]}}} || 5B MX에서는 3번 롱노트가 나오는 도중에 1+5 동시치기가 등장하는 준무리배치가 나온다. 3번 롱노트를 오른쪽 3번으로 잡았다면 엄지로 5번을 처리하는 식으로 이을 수 있겠지만 왼쪽 3번으로 잡았다면 무조건 틀릴 수밖에 없는 배치. 하지만 직전 배치에서 왼손 엄지가 1번 노트에 가도록 배치했기에 3번 롱노트는 어지간해선 오른손 엄지로 잡게 된다. 또한 3번 트릴 중에 16비트로 1번 다음 5번이 끼는 콤보를 잇기 매우 까다로운 부분도 존재한다. 이 3번 트릴은 키보드로도 처리하기 껄끄러워서 MX 패턴임에도 PC판에서 14레벨 상위권을 점하고 있다. 5B SC는 초반부까지는 평범하지만 초중반부부터 곡 특유의 괴상한 박자가 모조리 계단으로 구현되어 16비트 계단 도중 24비트의 노트가 섞이기도 하는 괴이한 채보가 등장하며 후반부에는 꼬인 배치의 겹폭타가 등장하기 때문에 [[배드밀림]]이 발생하거나 판정에서 손해보기 좋다. 다만 일반적으로는 본 곡의 SC 패턴들 중에서는 가장 쉽다는 평이 많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lnYBiLABy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aCr3gCNffE)]}}}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eYwdWvq6M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VpoTVWWYiY)]}}} || 6B SC 패턴은 등장 당시부터 지금까지 '''준 15층급'''에 위치하는 고난이도 패턴으로, 초반의 한손트릴+잡노트, 중반 기타 속주 구간의 어긋난 노트들, 그리고 [[화룡점정]]으로 최후반의 거미줄과 연타를 동반한 [[후살]]까지 어느 하나 쉬운 구간이 없어 클리어든 스코어링이든 악명 높은 난이도를 보인다. 6B 최상위권 곡들 중에선 그나마 할만하다는 평이 많지만, 최상위권 패턴의 킬링 파트는 종합곡 성질을 띄는 [[ANiMA]]나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를 제외하면 난이도를 올리는 요소가 달라 결국 개인차가 갈린다. 후살이 너무 어렵다면 하프 랜덤으로 적당히 풀 수는 있으나, 초반부 계단/트릴이나 중반부 기타속주 패턴이 굉장히 난해하게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호불호가 갈린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DXzPUleGv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CO5XLbtlc0)]}}}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TkXVo4mj2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AxKCqIfVCY)]}}} || 8B MX는 블랙 스퀘어 패턴의 상위호환. [[STALKER]]의 중반 폴리리듬을 연상시키는 난해한 기타 리프 구간은 블랙 스퀘어 때 그대로 이식되었으며, 후반 베이스 슬랩 구간은 블랙 스퀘어 때와는 비교도 안 되게 강화되었다. 게다가 646, 132 등등 엄지 움직임이 굉장히 까다로운 패턴이 시작부터 끝까지 포진해 있어서 정확도가 뭉개지기도 쉽다. 이 때문에 블랙 스퀘어 DLC 내에서 퍼펙트 플레이가 나오기까지 가장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 DLC 발매 이후 무려 한달이 넘도록 퍼펙트가 보고되지 않았다. 8B SC 또한 중반부의 기타 리프가 상당히 까다롭게 구성되어 있고, 드럼 키음에 배당된 트리거와 기타 키음에 배당된 키 파트가 괴상하게 꼬여 있어 리딩 난이도도 매우 높다. 특히 트리거 연타 사이에 345로 끼어들어가는 부분은 맥스 콤보 시에도 상당한 난관으로 다가온다. 후살은 6B SC와 같이 거미줄 패턴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데, L2-13, L-123 등 손꼬임을 유발하는 배치가 가득한데다 마지막에 양손 8연타까지 있다. SC 14레벨에서도 손에 꼽을 난이도의 패턴으로 평가받는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In my Dream, version=101, paragraph=1)]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