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에미넴 디스코그래피)] ||
<#000><-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20b0b, #0f0f0f 40%, #0f0f0f 60%, #820b0b)" '''[[에미넴|[[파일:EminemShop.png|height=50]]]][br]에미넴의 역대 스튜디오 앨범'''}}} || || || → ||<#2c3089> '''[[Infinite(음반)|{{{#fff {{{-2 1996년 11월 12일}}}}}}[br]{{{#fff 1집 Infinite}}}]]''' || → ||<#736b91> '''[[The Slim Shady LP|{{{#fff {{{-2 1999년 2월 23일}}}[br]2집 {{{#fff The {{{#6799FF Sl}}}{{{#E65940 i}}}{{{#ffa500 m}}} {{{#921FCC Sh}}}{{{#6799FF a}}}{{{#9FC93C dy}}} {{{#fff LP}}}}}}}}}]]''' || ||||<#0F1110> '''{{{#fff {{{+1 ''Infinite''}}}[br]인피니트}}}'''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EInfinite.jpg|width=100%]]}}}|| ||<#0F1110> '''제목''' || Infinite || ||<#0F1110> '''아티스트''' || [[에미넴]] || ||<#0F1110> '''발매''' || [[1996년]] [[11월 12일]] || ||<#0F1110> '''녹음''' || [[1995년]] [[12월]] ~ [[1996년]] [[6월]] || ||<#892A84> '''장르''' || [[힙합 음악|힙합]] • 중서부 힙합 • [[붐뱁]] • [br] 컨셔스 힙합 • [[재즈 랩]] || || '''길이''' || 37:54 || || '''트랙''' || 11 || || '''프로듀서''' || 에미넴, 미스터 포터 || || '''레이블''' || Web || [목차][clearfix] == 개요 == ||
<#000><-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820b0b, #0f0f0f, #0f0f0f, #820b0b)" || [[에미넴|[[파일:EminemShop.png|height=60]]]]||'''[[틀:에미넴 디스코그래피|{{{#820b0b {{{+3 EMINEM}}}}}}[br] {{{#820b0b {{{+1 Chronology}}}}}}]]''' ||}}} || || || → ||<#2c3089> '''[[Infinite(음반)|{{{#fff {{{-2 1996년 11월 12일}}}}}}[br]{{{#fff 정규 Infinite}}}]]''' || → ||<#000> '''[[Slim Shady EP|{{{#A287A8 {{{-2 1997년 12월 6일}}}}}}[br]{{{#!html EP Slim Shady EP}}}]]''' || [[1996년]] 언더그라운드 시절때 발매한 [[미국]]의 [[래퍼]] [[에미넴]]의 첫 번째 정규 앨범이다. == 상세 == 지금과 많이 다른 랩 스타일과 1번 트랙부터 11번 트랙까지 전부 조용하고 비슷한 분위기로 흘러가는 앨범. 미스터 포터의 무겁고 둔탁한 비트에 에미넴의 앳된 하이톤 목소리가 이 앨범의 전부를 차지하고 있다. 에미넴이 있는 돈 없는 돈 다 모으고 털어서 발매한 앨범이지만 판매량이 1,000장밖에 되지 않았다고 한다. [[1997년]]부터 에미넴의 매니저를 맡고 있는 폴 로슨버그에 따르면 한 장에 6달러로 팔았다고 하니 약 6,000달러, 즉 한화로 670만원 정도를 번 것이다[* 670만원이면 많은거 아니야? 라고 생각 할 수도 있지만 넣은 제작비도 크고, 세금도 내고, 수익도 분배하면...[[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는 별 볼일 없던, 그저 그런 디트로이트의 언더그라운드 래퍼가 낸 앨범이었지만 지금은 레전드가 낸 첫 정규앨범이 되어서 사고 싶어도 못 사는 엄청 희귀한 앨범이 된게 아이러니.[* 물론 에미넴이 유명해진 후 재발매가 2번 돼서 부담없는 가격으로 살 수 있지만 Infinite의 초판은 어마어마한 가격으로 거래된다고 한다. 당시 초판은 테이프와 LP로만 발매됐다. 즉, 현재 유통되고 있는 CD는 모두 추후 발매된 버전이거나 짜집기 부틀렉인 경우다.] 2013년에 [[https://www.discogs.com/fr/Eminem-Infinite/release/4466909|리미티드 에디션]]이 발매되었다. == 트랙리스트 == ||||||||<#06182e> '''{{{#fff 트랙리스트}}}''' || || '''#''' || '''제목''' || '''프로듀서''' || '''길이''' || || 1 || [[Infinite(1996)|Infinite]][* 2016년에 리마스터 후 싱글로 재발매] ||<|5> {{{-3 Mr. Porter}}} || 4:01 || || 2 || W.E.G.O. (Interlude)[* 프루프(Proof)와 DJ 헤드(DJ Head)의 스킷] || 0:26 || || 3 || It's O.K.[br]{{{-1 (feat. Eye-Kyu)}}} || 3:29 || || 4 || Tonite || 3:43 || || 5 || 313[br]{{{-1 (feat. Eye-Kyu)}}} || 4:11 || || 6 || Maxine[br]{{{-1 (feat. Denaun Porter & 3)}}} || {{{-3 Mr. Porter[br]Eminem}}} || 3:55 || || 7 || Open Mic[br]{{{-1 (feat. Thyme)}}} ||<|4> {{{-3 Mr. Porter}}} || 4:02 || || 8 || Never 2 Far || 3:38 || || 9 || Searchin'[br]{{{-1 (feat. Denaun Porter)}}} || 3:45 || || 10 || Backstabber[* 언더 시절, 에미넴이 일원이었던 힙합 그룹 [[Soul Intent(그룹)|Soul Intent]]의 마지막 음반 '[[Soul Intent(음반)|Soul Intent]]'을 샘플링.] || 3:24 || || 11 || Jealousy Woes II || {{{-3 Mr. Porter[br]Eminem}}} || 3:19 || == 기타 == * 에미넴은 이 앨범을 발매함으로써 자신이 어떻게 랩을 해야 하는지 알게 되었다고 한다. * 에미넴은 이 앨범이 흥행 대실패를 하자 이제는 희망이 없다고 생각해서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직접적 원인은 딸 헤일리의 만 1세 생일을 앞둔 [[1996년]] [[12월 24일]] 자신이 일하던 레스토랑에서 잘렸기 때문이라고. * '''이 앨범에서 에미넴은 'Fuck'이란 단어를 총 7번 썼다.''' 어찌 보면 가장 흥미로운 여담. * 3번, 5번 트랙에 Eye-Kyu(아이-큐)라는 래퍼가 피쳐링을 했는데 D12의 극초창기 멤버였다고 한다. 이후 탈퇴하였다. * 이 앨범이 에미넴의 초창기 앨범이지만 라이밍은 지금과 다를 게 없다. 아니, 더했다면 더 했다. 특히 'Never 2 Far', 'Infinite'에서 에미넴의 라이밍을 들어보면 예나 지금이나 라이밍 센스는 엄청난 것을 알 수 있다. * 힙합LE에서 리뷰를 했다. [[http://hiphople.com/index.php?mid=review&category=1514759&document_srl=1546103|#]] * 친구의 배신을 다룬 'Backstabber'에서는 친구가 에미넴에게 자신의 잘못을 사과하고 이제 깨끗해지겠다고 용서를 빌자, 마치 슬림 셰이디의 등장을 예고한 듯 "난 칼을 뺏어서 녀석의 비장에 쑤셔넣었지. 그리고 성기 아래 피부를 도려낸 다음에 집으로 끌고 와서 전화기로 녀석의 머리를 두들겨 팼어"[* I took his butcher knife and jabbed it into his spleen[br]Cuffed him at the scene, then dragged the fella home[br]Beating him over the head with the telephone]라는 구절이 나온다. * 'Backstabber'의 코러스[* Come here, you fuckin' backstabber![br](Why I oughta) beat a bitch nigga from the hood[br]Haha, come here, you fuckin' backstabber![br](Why I oughta) stay away from him, he ain’t no good!]는 에미넴이 언더그라운드 시절 소속되어 있던 그룹 [[Soul Intent]]가 낸 Fuckin' Backstabber에 있는 코러스를 그대로 가져온 것. 그리고 이 구절을 부른 사람이 바로 프루프이다. * 에미넴이 인터뷰에서 직접 밝힌 이 앨범을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테마는 "나 돈 없고 배고프고 너무 가난해서 나중에 꼭 성공해서 부자가 되고 싶어."라고 한다. '''그리고 지금은 현실이 되었다.''' * 에미넴은 Infinite 수록곡이 라디오에 나올 거라는 기대와 함께 나오면 듣기 좋으라고 일부러 차분하고 조용한 목소리로 녹음을 했다고 한다. * 에미넴이 낸 첫 정규 앨범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지만, 언더시절때 낸 탓인지 2집인 [[SSLP]]를 첫 정규앨범으로 착각하는 사람이 '''매우''' 많다. 에미넴의 팬들 중에서도 이 앨범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지만, 리마스터링 후 에미넴 공식 유튜브 계정에도 올라옴으로써 지금은 이전보다는 많이 알려진 편이다. * 래퍼 [[로직(래퍼)|로직]]이 진정한 자기 자신을 찾으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던 때에 이 앨범을 들으며 많은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 7번 트랙 "Open Mic"의 코러스는 [[조이 배드애스]]의 믹스테입 ''1999''의 수록곡인 "World Domination"의 코러스로 샘플링되었다. == 앨범 커버 == * 이 앨범이 처음 발매되었을 때는 카세트 테이프와 LP로만 유통되었다. 이후 CD로 재발매되었을 땐 앨범 표지가 하나로 통일이 되지 않아서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그 중 가장 유명한 표지가 이 문서의 예전 버전에도 걸려있었던 아래 사진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nfinite_(1996),_by_Eminem.png|align=center&width=400]] ---- * 한정반 앨범 표지 [[파일:Einfinite.jpg|align=center&width=400]] ---- * LP판 그림 [[파일:EILP.jpg|align=center&width=400]] == 관련 문서 == * [[Infinite(1996)]]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Infinite(BEMANI 시리즈),version=25)] [[분류:1996년 데뷔 음반]][[분류:미국 힙합 음반]][[분류:에미넴의 음반]]][[분류:중서부 힙합]][[분류:컨셔스 힙합]][[분류:재즈 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