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경호)]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dec 15%,#007dec 50%, #009dec 85%)" [[김경호|[[파일:김경호로고.png|height=30]]]]''' [[김경호|{{{#fff 김경호}}}]]의 [[김경호/음반|{{{#fff 음반}}}]]'''}}}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16px -11px"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10140F; font-size: 0.865em; color: #fff" '''정규 8집'''}}}}}} {{{-1 '''[[Unlimited|{{{#000,#fff Unlimited}}}]]'''}}} {{{-3 2006. 02. 23.}}} ||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 font-size: 0.865em; color: #fff" '''정규 9집'''}}}}}} {{{-1 '''Infinity'''}}} {{{-3 2007. 11. 28.}}} ||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96561C; font-size: 0.865em; color: #fff" '''일본 미니 1집'''}}}}}} {{{-1 '''[[Chapter Zero(김경호 음반)|{{{#000,#fff Chapter Zero}}}]]'''}}} {{{-3 2009. 04. 10.}}} ||}}} || ||<-5><^|1>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정규 음반 목록 [ 펼치기 · 접기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10140F; font-size: 0.865em; color: #fff" '''정규 8집'''}}}}}} {{{-1 '''[[Unlimited|{{{#000,#fff Unlimited}}}]]'''}}} {{{-3 2006. 02. 23.}}} ||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0; font-size: 0.865em; color: #fff" '''정규 9집'''}}}}}} {{{-1 '''Infinity'''}}} {{{-3 2007. 11. 28.}}}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908F8C; font-size: 0.865em; color: #fff" '''비정규 9.5집'''}}}}}} {{{-1 '''[[Alive(김경호 음반)|{{{#000,#fff Alive}}}]]'''}}} {{{-3 2009. 06. 25.}}} ||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김경호/9a.png|width=100%]]}}} || ||<-4> '''{{{#000 Infinity}}}''' || || '''{{{#000 트랙}}}''' || '''{{{#000 곡명}}}''' || '''{{{#000 작사}}}''' || '''{{{#000 작곡}}}''' || || '''1''' || [[독(김경호)|독(毒)]] || 김태훈 || 홍동표 || || '''2''' || 마치 너인 것처럼 ^^{{{#red,#ff0000 후속곡}}}^^ || 이세준 || 이상준 || || '''3''' || '''[[습관(김경호)|습관]]'''^^{{{#red TITLE}}}^^ || 이세준 || 이상준 || || '''4''' || 젊은 날의 초상 || 표건수 || 표건수 || || '''5''' || Sad Song || 양재선 || 전해성 || || '''6''' || 널 잊지 못하는 내가 || 이경 || 김승우 || || '''7''' || 불면증 || 정은경 || 박세준 || || '''8''' || [[비가 되어 흐르는 너]] || 권지희 || 박정식 || || '''9''' || 나나나 || 표건수 || 표건수 || || '''10''' || Make It Go Away || 김은아 || 오광석 || || '''11''' || 터널 || 정은경 || 홍동표 || [목차] == 소개 == ||
{{{#000 '''한국 Rock의 자존심, 김경호 9집 [INFINITY]''' 김경호는 이번 9집 앨범 [INFINITY]에서 좀 더 부드러운 발라드를 완성함과 동시에 완숙한 보컬 톤으로 색다른 감동을 줄 수 있는 곡들로 구성하였다. 그만큼 이번 앨범에서는 기존에 느낄 수 없었던 무한 감성과 다양한 장르의 발라드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냈다는 평을 받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런 다양한 시도는 8집에 이어 9집에서도 프로듀서를 맡은 김경호와, 완숙한 보컬 김경호에 의해 성공적으로 다듬어졌다고 할 수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iZZPERhMtQ)]}}} || ||<#fff> {{{#000 '''습관 라이브'''}}} ||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록/얼터너티브 베스트)] 2007년 11월 28일에 발매된, [[김경호]]의 정규 9집. 8집의 연장선이라 보면된다. 이전의 앨범보다 훨씬 소프트해진 발라드 곡들이 많아졌다. 'Make It Go Away', '터널', '독', '나나나' 정도가 록 넘버인 발라드가 편중된 앨범이다. 현재는 9집 음반 자체는 품절되어 희귀음반이 되었고, 음원으로만 들을수 있다. 대략 3만장정도 팔렸다고 한다. == 앨범 수록곡 == === [[독(김경호)|독(毒)]] === '독(毒)' 은 랩이 들어 있는 랩메탈 형식의 하드록 넘버이다. 물론 본인이 한 것이 아니라 전문랩퍼가 피처링한 곡으로, 특유의 공격적인 창법으로 팬들이 듣고 싶어하는 노래 중 하나이다. 2012년 원주 콘서트 이후로 한동안 선곡하지 않다가 2021 락 크리스마스 콘서트에서 불러주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독(김경호))] === 마치 너인 것처럼 === ||<-2> '''{{{#000 마치 너인 것처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qVgDtRyp_g)]}}}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394651254?service=daum_blog)]}}} || ||<-2> {{{#!folding [ 가사 ] ||
'''{{{#000 마치 너인 것처럼}}}''' || || 차가운 바람이 부는 거리 스치는 얼굴 하나 우리 추억을 함께 채워준 너의 친구였지 소리 질러 부르고 말았어 창피한 줄도 모르고 니가 아닌데 너인 것처럼 얼마나 좋았는지 관심도 없는 얘기로 한참을 빙빙 돌아 다들 잘 있냐는 말로 너의 얘길 물었지 정말 다행이야 그 누구보다 행복하다는 니 소식에 좋은 사람과 좋은 곳에 잘 있다며 친군 웃었지 가끔 아주 가끔씩은 내 얘길 묻기도 한단 말에 오래 전 처음 그날처럼 가슴이 설레어와 때 맞춰 내려준 비를 피해 급히 찾아온 이곳이 마침 너와의 추억 가득한 바로 이곳이었어 관심도 없는 얘기로 한참을 빙빙 돌아 다들 잘 있냐는 말로 너의 얘길 물었지 웃고 있었지만 많이 애썼어 고이는 눈물 들킬까봐 이렇게 기쁜 소식인데 왜 자꾸 눈물이 나던지 멀리 저기 멀리 사라져가는 친구의 뒷모습에 오래 전 마지막 밤처럼 가슴이 또 아파와 널 만났던 것도 아닌데 마치 너인 것처럼 || }}} || '마치 너인 것처럼'은 '습관'과 마찬가지로 '이상준'이 작곡하고 '이세준'이 작사한 발라드 곡이다. 이세준이 코러스를 하기도 했으며, 김경호 특유의 거친 창법을 배제하고 클린톤을 내세웠다. 김경호의 또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다. 9집 발매 후, 디지털싱글로 한 번 더 발표되기도 했다. === [[습관(김경호)|습관]] === ||
{{{#000 타이틀 곡인 ‘습관’은 기존 김경호의 대표곡들에 비하면 팝 적인 느낌이 한층 가미된, 좀 더 대중의 입맛에 맞는 락 발라드 곡이다. 작사는 인기 그룹 '유리상자'의 멤버 이세준이 맡았으며, 그의 애절하고 절규하는 듯한 가사 내용은 '습관'의 멜로디 전개에 딱 들어맞아 곡의 분위기와 완성도를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키는데 일조했다. 특히 후렴부분은 중독성이 강한 멜로디로 누구나 쉽게 귀에 익숙해질 수 있는 곡이다.}}} || '습관'은 9집의 타이틀곡으로, 8집의 '상실의 계절'을 작곡한 '이상준'이 작곡했고, '[[유리상자]]'의 '[[이세준]]'이 작사한 메이저 발라드곡이다. 8집의 중음역대를 기반으로 한 발라드곡의 연장선상에 있는 곡이다. 2016년 돌발 콘서트에서 마지막으로 불러주었다가 2020년 서울 콘서트에서 오랜만에 불러주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습관(김경호))] === 젊은 날의 초상 === ||<-2> '''{{{#000 젊은 날의 초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Gco-2TEU_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poo1kp7eeI)]}}} || ||<-2> {{{#!folding [ 가사 ] ||
'''{{{#000 젊은 날의 초상}}}''' || || 1. 두려운게 없었던 그 날들 타오르는 별을 쫓던 그 날들 그땐 몰랐어 너무 멀리 와 버렸단 걸 그땐 사랑의 사슬에 구속되긴 싫었어 소설 같은 사랑은 원하지 않아 길고 긴 밤 날 기다린 너 이젠 볼 수 없어 빛 바랜 사진만이단 하루도 단 한번도 널 품안에 안지 못한 날 철없던 지난날 후회만 가득한 날들 알아 천년을 기다려도 되돌릴 수 없단 걸 너 떠난 후에 이미 늦어버린 후에 화살처럼 지나간 시간들 이젠 너무 철이 들어버린 나 그땐 몰랐어 시간은 잔인하다는 걸 그땐 눈물의 의미를 알고 싶지 않았어 이별의 쓰라림도 두렵지 않아 길고 긴 밤 날 기다린 너 이젠 볼 수 없어 빛 바랜 사진만이 단 하루도 단 한번도 널 품 안에 안지 못한 날 철없던 지난날 후회만 가득한 날들 알아 천년을 기다려도 되돌릴 수 없단 걸 너 떠난 후에 이미 늦어버린 후에 그땐 보이지 않았어 저 하늘의 저 별이 너 란걸 눈이 멀어 단 하루도 단 한번도 널 품 안에 안지 못한 날 철없던 지난날 후회만 가득한 날들 알아 천년을 기다려도 되돌릴 수 없단 걸 너 떠난 후에 이미 늦어버린 후에 || }}} || '젊은 날의 초상'은 9집의 숨겨진 명곡이다. 중고음역대가 많이 나와 노래가 상당히 어렵다.[* 최고음 '''3옥타브 도(C5).''' 이게 총 14번 나오고 파사지오 구간도 많이 나오니 어지간한 [[엠씨더맥스]] 노래와 비슷하다.] 노래가 좋아 많은 팬들의 사랑을 받는 곡이며, 2018년 락크리스마스 콘서트에서 팬들의 요청에 의해서 불러주었다가 2019년 돌발 콘서트까지 무대에서 불러주었다가 2022년 돌발 콘서트에서 3년 만에 다시 불러주었다. [[태진노래방]]과 [[금영노래방]]모두 수록되지 않았다. === Sad Song === ||<-2> '''{{{#000 Sad Son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CdhLoAZg0A)]}}}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rlj_moUqzM)]}}} || ||<-2> {{{#!folding [ 가사 ] ||
'''{{{#000 Sad Song}}}''' || || 한숨은 자꾸만 넘쳐 빈병은 자꾸만 쌓여 네 이름 입술에 담을 때 마다 자꾸만 눈물이 따라와 안녕, 뜨겁게 뛰던 가슴아 안녕, 사랑에 웃던 날들아 안녕, 혼자만 멈춘 시간아 다시는 오지 않을 많은 밤들아 모두 다 이렇게 사나 아픈 듯 아닌 듯 사나 소란한 사람들 웃음소리가 나에겐 멀게만 느껴져 안녕, 뜨겁게 뛰던 가슴아 안녕, 사랑에 웃던 날들아 안녕, 혼자만 멈춘 시간아 다시는 오지 않을 많은 밤들아 가슴이 부딪쳤던 상처가 왜 이리 아물지 않는 걸까 다 하는 거라서 다 겪는 거라서 난 쉽게 잊을 것만 같은데… 아닌가봐 Sad Song 부른다 사랑한다고 Sad Song 부른다 보고싶다고 Sad Song 부른다 돌아오라고 하루종일 난 슬픈 너를 부른다 Sad Song 삼킨다 사랑한단 말 Sad Song 참는다 보고 싶은데 Sad Song 웃는다 눈물이 나도 너를 못 잊어 슬픈 나를 잊는다 하루 종일 난 슬픈 노랠 부른다 || }}} || 'Sad Song'은 잔잔한 발라드로 부르기가 쉽고 9집중에서 유일하게 자주 불러주는 노래이다. 김경호도 이 곡을 상당히 아끼는지 나중에 리메이크를 해서 싱글앨범을 내기도 했다. === 널 잊지 못하는 내가 === ||<-2> '''{{{#000 널 잊지 못하는 내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4-Xuyh6o4Y)]}}}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TqaJmZO9rc)]}}} || ||<-2> {{{#!folding [ 가사 ] ||
'''{{{#000 널 잊지 못하는 내가}}}''' || || 삶이 천개라도… 숨이 수 만개라도 널 향한 내 가슴은 단 하나야 무엇을 하겠니… 또 뭘 할 수 있겠어 널 잊지 못하는 내가 지운 척 할 때마다… 니가 더 생각나 숨막히는 그리움 되어 목이 메어 왜 말 안했어… 사랑 잃은 후엔 세상도 멈출 수 있다고 살아도 사는게 아니야 오늘도 난… 웃는 척 사는 건 너 없이 남은 세월 보내려… 연습하는거야 널 잊지 못하는 내가 너를 볼 때 처럼… 너를 안을때처럼 머리도 옷차림도 그대로야 조금만 변해도… 안올까봐 겁이나 널 잊지 못하는 내가 두눈이 뜨거워져… 니 이름 뇌이면 기억 앞에 하루가 다시 또 무너져 사진을 꺼내… 얼굴 보기 전에 눈물이 또 소용돌이 쳐 언젠간 꼭 돌아 올거라 스스로 난 주문을 걸어봐 너없는 반쪽 가슴 달래려… 연습하는거야 널 잊지 못하는 내가 널 보낸 이 바보가 오늘도 세상에 웃는 척 사는 건 너 없이 남은 세월 보내려… 연습하는 거야 널 잊지 못하는 내가 || }}} || '널 잊지 못하는 내가'는 2008년 발렌타인 콘서트에서 불렀다가 그 이후로 14년만에 2022년 서울 콘서트에서 다시 불러주었다. === 불면증 === ||
'''{{{#000 불면증}}}'''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ZOSn3H6OBk)]}}} || || {{{#!folding [ 가사 ] ||
'''{{{#000 불면증}}}''' || || 시끄러운 전화 소리에 깨어 밀린 작업들을 하네요 시간에게 쫓겨 하룰 보내고 여태 내가 이렇죠 요즘 들어 잠이 오지 않아요 끊었던 담배 생각이 나 나를 다그치며 걱정할 그대 아직도 내게 올 것 같은데 수많은 기억의 전부인 한 사람 비워도 비울 수가 없어 뒤척이죠 날 떠난 뒤 애써 묻어둔 사랑이 다시 차오르면 또 그리워요 그래도 두 번은 안될 사랑이라서 불러보네요 그대 한 사람 평범한 사랑을 줄 수 없어서 자꾸 그댈 외롭게 했죠 불안했던 내 맘 상처가 되도 말없이 감춰왔을 그댄데 Bridge) 수많은 기억의 전부인 한 사람 비워도 비울 수가 없어 뒤척이죠 날 떠난 뒤 애써 묻어둔 사랑이 다시 차오르면 또 그리워요 그래요 내 남은 사랑도 이제는 소용없겠죠 오~ 오랜 시간 그댈 알고 죽을 만큼 사랑하고 평생토록 이별을 앓죠 나 다시 태어나 사랑한다면 단 한번 그대 한 사람을 만나기를 날 스쳤던 그대가 아닌 사랑과 이별은 모르겠죠 상관없죠 그 때엔 모른 척 말고 돌아와줘요 그대 한 사람 그대 한 사람 다시 그대죠.. || }}} || === [[비가 되어 흐르는 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비가 되어 흐르는 너)] === 나나나 === ||<-2> '''{{{#000 나나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hXaghMuwt4)]}}}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jxbA0oB0o)]}}} || ||<-2> {{{#!folding [ 가사 ] ||
'''{{{#000 나나나}}}''' || || 늘 혼자뿐인 내게 나의 얘길 들어준건 작은 내 라디오 더 볼륨을 높여봐 내 안에 꿈틀거리는 그 욕망을 태워봐 언젠가 아무도 나를 잡아주지 않는데도 이제 다시는 두렵지 않아 노래 할 수 있으니까 Yeah~ (나나나나 나나) 난 노래해 (나나나나나나) 목이 쉬도록 밤이 새도록 (나나나나 나나) 난 감사해 (나나나나나나) 내게 안겨준 음악이란걸 난 절대 지치지 않아 그 누구도 나의 노래를 멈출수는 없어 단, 단 한번뿐인 인생 내가 달려온 이 길을 후회한적 없어 하늘이 내게 준 선물 풀리지 않는 이 마법 단 하루가 남아있다해도 이 노랠 멈출순 없어 Yeah~ (나나나나 나나) 난 노래해 (나나나나나나) 목이 쉬도록 밤이 새도록 (나나나나 나나) 난 감사해 (나나나나나나) 내게 안겨준 음악인걸 Bridge)이쯤에서 끝내고 싶은 때도 있었지만 이 무대를 내려올 순 없어 내 앞을 가로막은 이 안개가 걷히면 드넓은 대지를 향해! (나나나나 나나) 난 노래해 (나나나나나나) 목이 쉬도록 밤이 새도록 (나나나나 나나) 난 감사해 (나나나나나나) 내게 안겨준 음악이란걸 || }}} || '나나나'는 무대를 향한 자신의 의지를 보여주는 노랫말이 인상적인 업템포 록넘버로 김경호의 변화무쌍한 보컬을 보여주는 곡이다. 2018년 돌발 콘서트에서 팬들의 요청으로 불러주고 2022년 청주 콘서트에서 4년 만에 다시 불러주었다. === Make It Go Away === ||
'''{{{#000 Make It Go Away}}}'''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cw5O8kz4os)]}}} || || {{{#!folding [ 가사 ] ||
'''{{{#000 Make It Go Away}}}''' || || 믿을 수 없는 그 입술 뻔히 보이는 거짓말 차라리 아무런 말도 하지마 널 미워하지 않게 Go away~ (가버려) 애써 너 변명하지마 거짓 눈물도 지겨워 어차피 그에게 웃을 너잖아 쉽게 떠난다 말해 한참이나 오직 널 위해 속아주던 고된 내 사랑이 거품처럼 사라지잖아 이대로 Make it go away so far away 내게서 떠나버려 (어서 가버려) (멀리 떨어져) 널 다시 사랑할 수는 없어 이젠 끝이야 사랑이 떠나 너를 떠나 이제야 편해진 날 느껴 두고 봐 모두 잊고 새로운 날 위해 살아 갈 꺼야 흔하잖아 너보다 나은 여자들은 걱정 하지마 넌 먼지처럼 날려버렸어 이대로 Make it go away so far away 내게서 떠나버려 (어서 가버려) (멀리 떨어져) 널 다시 사랑할 수는 없어 이젠 끝이야 사랑이 떠나 너를 떠나 이제야 편해진 날 느껴 두고 봐 모두 잊고 새로운 날 위해 Bridge) 견뎌 낼 꺼야 때론 그리워 아파도 그깟 사랑에 무너지지 않게 가지 말라고 날 붙잡고 애타게 매달려도 널 다시 사랑할 자신 없어 제발 돌아가 Make it go away so far away 다시는 내 모습 찾지마 (어서 가버려) (멀리 떨어져) 너만을 사랑한 죄 깨끗이 지우고 살아 갈 꺼야 || }}} || 'Make It Go Away'는 질주감있는 하드록으로, 이별을 다룬 김경호의 노래 가사 화자들 중에서 이례적으로(?) 상대에게 끌려다니지 않고 차버리는 쿨한(?) 화자인 것이 특징이다. === 터널 === ||
'''{{{#000 터널}}}'''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4dLKUQTuW8)]}}} || || {{{#!folding [ 가사 ] ||
'''{{{#000 터널}}}''' || || A 니가 없는 나의 하룬 아직 낯설어 불안했던 내 미래를 걱정해 떠났지 잠시간의 방황이라 생각할 테니 불태웠던 꿈을 찾을 나를 두고 봐 B 아직은 나약하고 조금은 서툴러도 지금은 연습 일뿐야 High away (저멀리) C Wait for me! Wait for me! (날기다려줘! 날기다려줘!) 언젠가는 강해질 내가 될 테니까 Wait for me! Wait for me! (날기다려줘! 날기다려줘!) 날 위한 자리를 비워 니 곁에 나를 불러줘 A' 나를 보는 많은 시선 너무 차가워 맨 몸으로 부딪혔던 날들도 있었지 틀에 박힌 관념들로 날 시험해도 세상 앞에 무릎 꿇을 내가 아니야 B, C 반복 D Let it go! 숨이 차게 달려 내 길을 뚫어 (나만을 믿어) (날가게 놔도) 거침없이 살아 더 이상 좌절은 없어 C 반복 C' Wait for me! Wait for me! (날기다려줘! 날기다려줘!) 언젠가는 강해질 내가 될 테니까 Wait for me! Wait for me! (날기다려줘! 날기다려줘!) 날 위한 기회를 열어 이제는 날아갈 시간 || }}} || '터널'도 질주감있는 하드록이며 9집 수록곡 중 그로울링이 가장 잘 드러나 있는 곡이다. 내용은 좋아하는이에게 다음의 개선된 자신을 기다리라는 내용이다. == 활동 == ||<-4>
'''{{{#000 Infinity 음악방송 활동}}}''' || || '''날짜''' || '''프로그램''' || '''링크''' || '''비고''' || || 2007.12.28 || 윤도현의 러브레터 || || || || 2008.01.11 || YTN Star Live Power Music || [[https://youtu.be/cbOiS8owI-I|습관]] || || || 2008.01.15 || 이적의 음악공간 || [[https://youtu.be/Z-EYh1b7xCw|습관]] || || || 2008.01.17 || Mnet countdown || [[https://youtu.be/0iZZPERhMtQ|습관]] || || || 2008.01.19 || 콘서트7080 || [[https://youtu.be/plvpN-jdw6c|습관]] || || || 2008.01.24 || JTV TM 콘서트 시대공감 || [[https://youtu.be/_wZ95COR3mA|마치 너인 것처럼]] || || || 2008.04.11 || 윤도현의 러브레터 || || || || 2008.04.11 || 문화콘서트 난장 || [[https://youtu.be/hWRcmWUN5LI|마치 너인 것처럼]] || || || 2008.04.26 || 콘서트 7080 || || || == 이미지 == ||
{{{#000 '''이미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경호9집포토 (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경호9집포토 (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경호9집포토 (3).jpg|width=100%]]}}} || == 정보 == === 소개 === '''한국 Rock의 자존심, 김경호 9집 [INFINITY]''' 현재까지 8장의 정규 앨범, 그리고 2장의 라이브 앨범, 1장의 Remake앨범을 우리에게 허락한 김경호는 한발 한발 행보마다 한국 Rock 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가고 있다. 그는 이미 8번째 앨범 [Unlimited]로 Rock의 대중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어간 바 있고, 이번 9집에서 다시 한 번 새로운 모습으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우리 대중음악계의 편중된 댄스와 R&B의 양극체제와 음반시장의 어두운 침체를 통해 Rock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식어가는 현실에서 작년 초 8집 [Unlimited]를 통해 Rock의 대중화를 선언하며 기존의 샤우팅 창법의 메탈곡이 아닌 탄탄한 가창력을 바탕으로 부드럽고 편안한 곡들로 다시 한 번 Rock의 존재감을 부여 했던 김경호는 이번 9집 앨범 [INFINITY]에서 좀 더 부드러운 발라드를 완성함과 동시에 완숙한 보컬 톤으로 색다른 감동을 줄 수 있는 곡들로 구성하였다. 그만큼 이번 앨범에서는 기존에 느낄 수 없었던 무한 감성과 다양한 장르의 발라드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냈다는 평을 받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런 다양한 시도는 8집에 이어 9집에서도 프로듀서를 맡은 김경호와, 완숙한 보컬 김경호에 의해 성공적으로 다듬어졌다고 할 수 있다. 9집 음반 [INFINITY]의 뮤직 크레딧을 조금만 살펴보아도 이번 음반의 완성도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전해성, 이상준, 표건수, 박정식, 박세준 등의 작곡가와 이세준, 양재선, 김태훈, 이경 등의 작사가. 강수호, 이태윤, 샘리, 함춘호, 김세황, 나원주의 세션들이 어우러져 환상의 콤비네이션을 선 보였다. 타이틀 곡인 ‘습관’은 기존 김경호의 대표곡들에 비하면 팝 적인 느낌이 한층 가미된, 좀 더 대중의 입맛에 맞는 락 발라드 곡이다. 작사는 인기 그룹 '유리상자'의 멤버 이세준이 맡았으며, 그의 애절하고 절규하는 듯한 가사 내용은 '습관'의 멜로디 전개에 딱 들어맞아 곡의 분위기와 완성도를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키는데 일조했다. 특히 후렴부분은 중독성이 강한 멜로디로 누구나 쉽게 귀에 익숙해질 수 있는 곡이다. 이번 한국 록의 새로운 지평을 연 김경호의 9집 앨범인[INFINITY]는 한결 같은 사랑을 보내준 팬들에게 새로움과 감동을 줄 뿐 만아니라 편중된 장르에 길들여진 대중들에게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한번 김경호의 보컬을 통해 실력 있는 음악의 진정한 가치를 기대해 본다. === 여담 === 이 앨범을 기점으로 더 이상 테이프는 발매되지 않았다. [[분류:김경호/음반]][[분류:2007년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