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 주지사)]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14388%, #214388%, #214388%, #214388)" {{{#white '''제 43대 일리노이 주지사[br]{{{+1 제이 로버트 프리츠커}}}[br]Jay Robert Pritzk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제이프리츠커주지사.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65년]] [[1월 19일]] ([age(1965-01-19)]세)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애서턴 ||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ffffff 가족}}}''' ||배우자 메리 뮌스터[br]자녀 2명 || || '''{{{#ffffff 학력}}}''' ||밀턴 아카데미 {{{-1 ([[졸업]])}}}[br][[듀크 대학교]] {{{-1 ([[정치학]] / [[학사|B.A.]])}}}[br][[노스웨스턴 대학교]] [[로스쿨|법학대학원]] {{{-1 ([[법학]] / [[박사|J.D.]])}}}|| || '''{{{#ffffff 정당}}}''' ||[include(틀:민주당(미국))] || || '''{{{#ffffff 경력}}}''' ||제 43대 일리노이 주 주지사^^(2019~현재)^^||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정치가. 캘리포니아 주에서 태어났으며 유대계 출신이다. 그의 일가는 1880년대 조부가 미국으로 이주한 이래 일찍이 사업을 일궈 부유한 가문이었고 1980년대에는 세계적인 경제지인 [[포브스]]에 부유한 가문들 중 한 곳으로 등재되기도 하였다. 성씨에서 알 수 있듯,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 상]]을 수여하는 [[하얏트]] 오너 가문의 일원이다. 재산은 약 32억 미국 달러로, [[도널드 트럼프]]를 1억 달러 차이로 제친 '''미국 정치인 중 최고 갑부'''이다. 프리츠커의 주지사 취임 전에는 트럼프가 재산 1위였다. 미국의 대표적인 혁신기술위원회인 ChicagoNEXT의 회장직으로 맡으면서 시카고의 [[람 이매뉴얼]] 시장과 여러 협력을 하면서 시카고를 무대로 많은 비즈니스 활동을 하였다. 1998년 일리노이주 제 9선거구로 하원의원에 도전했지만 하워드 캐럴 후보에게 밀리면서 낙마하였고 2008년에 당시 [[힐러리 클린턴]] 경선 후보의 공동 의장직을 맡으면서 본격적인 정치에 발을 딛였고 동년 [[버락 오바마]] 당시 대선 후보 전당대회 대표직을 맡기도하였다. == 주지사 == 제 43대 일리노이 주지사로 선출되어 2019년 1월 14일부터 임기를 시작하였다. 2021년에 빈부에 따른 차별 논란을 빚어온 현금 보석(cash bail) 제도를 폐지하였다. 효력은 2023년 1월이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222539?sid=104|#]] 2023년 7월. 주 대법원 의해 폐지가 합당하다는 판결을 내리면서 폐지하게 되었다.[[https://m.yna.co.kr/view/AKR20230719003800009?section=international/all|#]] 재선 취임 후 첫 시무일인 전날, 스프링필드 주청사에서 공격용 무기 거래 및 소지를 불법화한 일리노이 커뮤니티 보호법안(Protect Illinois Communities Act)에 서명 후 공포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0112006100009?section=international/all|#]] 이것도 소송가졌으나 주 대법원에서도 합헌으로 인정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08120104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여담 == * 2018년 주지사 선거에서 18개월에 걸친 선거전에 무려 1억 7,100만 달러(약 2천억 원)를 쏟아붓었다. 재선 캠페인에 개인 돈 1억5천200만 달러(약 2천100억 원)를 쏟아부었다. 이는 [[멕 휘트먼]]이 2010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에 출마해서 쓴 2위 기록 1억4천400만 달러보다 많았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미합중국 연방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8 || [[2018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주지사 선거]] ||<|2> [[일리노이]] ||<|2> [include(틀:민주당(미국))] || '''2,479,746 (54.53%)''' || '''당선 (1위)''' || '''초선''' || || 2022 || [[2022년 미국 중간선거|미국 주지사 선거]] || ''' 2,070,981 (54.27%) ''' || ''' 당선 (1위) ''' || '''재선''' || [[분류:일리노이 주지사]][[분류:1965년 출생]][[분류:샌머테이오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듀크 대학교 출신]][[분류:노스웨스턴 대학교 로스쿨 출신]][[분류:미국 민주당 소속]][[분류:유대계 미국인]][[분류:러시아계 미국인]][[분류:우크라이나계 미국인]][[분류:미국의 남성 기업인]][[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