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분류:일렉트릭 기타]] == 개요 == [[미국]]의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기타]] 브랜드인 [[뮤직맨]]에서 생산하는 [[일렉트릭 기타]] 모델군. [[드림 시어터]], [[Liquid Tension Experiment]]의 기타리스트인 [[존 페트루치]]의 시그니처 모델이다. == 상세 == '''자타가 공인하는 뮤직맨 기타의 밥줄 모델.''' 국내에서 뮤직맨 기타 하면 대체로 [[에디 밴 헤일런]]의 시그니처 모델이었던 엑시스와 이 물건을 떠올린다. 일반적인 일렉트릭 기타가 모노 아웃풋인 것에 비해 이 기타는 스테레오 아웃풋을 지원한다. 단 JP16 제외.[* 사실 대부분의 연주자들에게 스테레오 아웃풋은 제대로 활용하기 힘든 부분이 많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존 페트루치 시그네쳐는 모노로도 사용할 수 있다. 빌리 시언의 야마하 베이스도 스테레오 아웃풋을 가지고 있다.] JP12까지는 프론트 픽업에 디마지오의 Liquifire, 리어 픽업에 같은 회사의 Crunch Lab, JP13부터는 프론트와 리어 모두 같은 회사의 Illuminator를 사용하며 브릿지에 내장된 피에조 픽업을 통해 어쿠스틱 기타와 비슷한 톤을 낼 수 있다. 드림 시어터 음악에 걸맞는 묵직한 게인 음색이 특징이다. 색상 옵션 중 보는 각도에 따라 색깔이 보라색, 파란색, 초록색 등으로 변하는 ''''미스틱 드림(Mystic Dream)'''' 색상 옵션은 주문 시 다른 색깔과 달리 300달러 정도가 더 들어간다. 매우 비싼 도료이기 때문. 타사의 기타에 비해 바디 사이즈가 작다.~~페트루치 덩치값에 안 맞는다~~ ~~들고있는거 보면 기타가 불쌍하다~~ 그리고 이건 개인차가 갈리는 부분이지만, 오리지널 JP 시리즈와 BFR의 네임밸류를 달고 나오는 JP 시리즈를 비교하면, 분명 BFR이 상위모델임에도 불구하고 오리지널 모델의 사운드가 더 좋다는 평이 있다(...). == 모델 종류 == 비슷한 듯 다른 여러 바리에이션이 있다. * '''JP6''' [[파일:뮤직맨 JP6.jpg]] 가장 대중적인 모델~~뭐? 가격이 얼만데~~.국내에서 제일 많이 거래되는 모델이기도 하다. 현재는 하단 항목의 마제스티가 페트루치의 주력 기타이지만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페트루치의 메인이었던 모델. 여담으로 사진에 나온 이 색상이 바로 미스틱 드림이다. 빛의 각도 차이로 상단과 하단의 색상이 달라 보이는 것. * '''JP7''' [[파일:뮤직맨 JP7.jpg]] JP6의 7현 버전. * '''JPX''' [[파일:뮤직맨 JPX.jpg]] JP6보다 날카로워진 모양새와 픽업의 무광 검정 폴피스가 특징인 모델이다. JP 모든 모델을 통틀어 유일하게 5단 픽업 셀렉터가 장착되어 있다. * '''JPXI''' [[파일:뮤직맨 JPXI.png]] 픽업 폴피스가 다시 유광 은색으로 돌아왔다. * '''JP12''' [[파일:뮤직맨 JP12.jpg]] 1프렛 쪽 쉴드 인레이에 12라는 숫자가 추가된 것 이외에 별다른 변화는 없는 듯. * '''JP13''' [[파일:뮤직맨 JP13.jpg]] 쉴드 인레이에 JP가 사라지고 13만 붙어있다. 실버 컬러와 20 데시벨 게인 부스트 노브가 추가되었고 브릿지 픽업이 크런치 랩에서 일루미네이터로 변경. 사진은 7현 모델. * '''JP15''' [[파일:뮤직맨 JP15.png]] 게인 부스트 노브의 증폭량이 20 데시벨에서 15 데시벨로 변경되었고 전작들이 지판에 로즈우드나 에보니를 사용했던 것과 달리 이례적으로 지판 재질을 로스티드 메이플로 변경하였다. * '''JP16''' [[파일:뮤직맨 JP16.png]] 픽업 폴피스가 JPX처럼 무광이고. 게인 부스트 노브의 증폭량이 다시 20데시벨이 되었다. 전작들과는 달리 모노 아웃풋이 장착되었으며 피에조 픽업이 삭제되고 '''[[플로이드 로즈]]''' 브릿지가 장착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일렉트릭 기타)]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usic Man, version=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