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TBC)] [include(틀:JTBC NEWS)]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718_120958.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307C 20%, transparent 100%), linear-gradient(to top, #4F92C2, #28B9AF)" {{{+1 {{{#fff '''JTBC NEWS'''}}}}}}}}}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307C 20%, transparent 100%), linear-gradient(to top, #4F92C2, #28B9AF)" [[JTBC news|[[파일:JTBC 7세대 로고 - 보도 부문.svg|width=50%]]]]}}} || || {{{#fff ''' 방송사 ''' }}} ||<-2>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4> {{{#fff ''' 제작 ''' }}} || {{{#03307c,#ddd ''' 뉴스콘텐트부문 대표이사 ''' }}} || [[전진배]] || || {{{#03307c,#ddd ''' 뉴스콘텐트국장 ''' }}} || 남궁욱 || || {{{#03307c,#ddd ''' 뉴스담당 부국장 ''' }}} || 강인식 || || {{{#03307c,#ddd ''' 스튜디오 newbie 부국장 ''' }}} || 손용석 || || {{{#fff ''' 사이트 ''' }}} ||<-2> [[http://news.jtbc.co.kr| {{{#000,#ddd news.jtbc.co.kr}}}]] || || {{{#fff ''' SNS ''' }}} ||<-2> [[https://www.youtube.com/user/JTBC10new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twitter.com/JTBC_new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height=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https://www.facebook.com/jtbcnew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height=20]]]] [[https://story.kakao.com/ch/jtbcnews|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height=20]]]] [[https://www.instagram.com/jtbcnew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개요 == [[JTBC]] 뉴스콘텐트국이 제작한 뉴스 프로그램 목록. 메인 뉴스는 '''[[JTBC 뉴스룸]]'''. 교양팩추얼본부에서 제작하는 교양 프로그램인 [[차이나는 클라스]]는 제외한다. 해당 문서들 참고. [[선거방송]]인 [[JTBC 우리의 선택]]은 해당 문서 참고. == 슬로건 == > '''누구나 공감하는 친절한 뉴스, 본질을 파헤치는 힘있는 뉴스''' >---- > 2012년 개편 슬로건 > '''사실, 공정, 균형, 품위, 한 걸음 더 들어간 뉴스''' >---- > 2013년 개편 슬로건 > '''진실이 뉴스가 됩니다.''' >---- > 2014년 개편 슬로건 > '''사실, 공정, 균형, 품위, 뉴스가 할 일을 합니다''' >---- > 2020년 4월 개편 슬로건 > '''관점과 분석이 있는 뉴스''' >---- > 2020년 12월 개편 슬로건 > '''매일 심층·탐사 정신을 담겠습니다''' >---- > 2021년 개편 슬로건 > '''집요한, 다채로운, 거침없는 새로운 뉴스룸''' >---- > 2022년 개편 슬로건 > '''뉴스의 현장에서 뵙겠습니다''' >---- > 2023년 개편 슬로건 == 실시간 중계 == ||
{{{+1 {{{#ffffff '''[[파일:JTBC로고.png|width=40]] 뉴스 - 실시간 중계'''}}}}}} [[라이브|[[파일:LIVE_transparent.png|width=35]]]][[라이브|[[파일:LIVE Mark_transparent.png|width=25]]]] || [[https://tv.naver.com/jtbcnews|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br] [[https://youtube.com/@jtbc_news?si=66_oQpvkH09CWLb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7>
{{{#ffffff ''' JTBC NEWS 정규 생방송 편성표 (2024년 1월 2일~) ''' }}} || || [[월요일|{{{#ffffff ''' 월 '''}}}]] || [[화요일|{{{#ffffff ''' 화 '''}}}]] || [[수요일|{{{#ffffff ''' 수 '''}}}]] || [[목요일|{{{#ffffff ''' 목 '''}}}]] || [[금요일|{{{#ffffff ''' 금 '''}}}]] || [[토요일|{{{#ffffff ''' 토 '''}}}]] || [[일요일|{{{#ffffff ''' 일 '''}}}]] || ||<-5> [[JTBC 뉴스 아침&|{{{#ffffff '''아침&'''}}}]] [br] ,,{{{#ffffff 07:30 ~ 08:00}}},, ||<-2> || ||<-5> {{{#ffffff '''뉴스들어가혁'''}}} [br] ,,{{{#ffffff 08:00 ~ 09:00[br]디지털 ONLY}}},, ||<-2> || ||<-5> [[장르만 여의도|{{{#fff '''장르만 여의도'''}}}]] [br] ,,{{{#fff 11:00 ~ 13:00[br]디지털 ONLY}}},, ||<-2> [[이 시각 뉴스룸|{{{#ffffff '''이 시각 뉴스룸'''}}}]] [br] ,,{{{#ffffff 11:55 ~ 12:00}}},, || ||<-5> {{{#ffffff '''사반가족회의'''}}} [br] ,,{{{#ffffff 18:15 ~ 18:30[br]디지털 ONLY}}},, ||<-2> || ||<-5> [[사건반장|{{{#ffffff '''사건반장'''}}}]] [br] ,,{{{#ffffff 18:30 ~ 19:50}}},, ||<-2> [[JTBC 뉴스룸|{{{#ffffff '''JTBC 뉴스룸'''}}}]] [br] ,,{{{#ffffff 17:50 ~ 18:30}}},, || ||<-5> [[JTBC 뉴스룸|{{{#ffffff '''JTBC 뉴스룸'''}}}]] [br] ,,{{{#ffffff 19:50 ~ 20:50}}},, ||<-2> {{{#fff '''강지영의 뉴썰'''}}} [br] ,,{{{#fff 18:30 ~ 19:00[br]디지털 ONLY}}},, || == [[JTBC news/프로그램|프로그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JTBC news/프로그램)] ||
{{{+1 {{{#ffffff '''JTBC 뉴스룸(평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717_104246_8139.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307C 20%, transparent 100%), linear-gradient(to top, #4F92C2, #28B9AF)" {{{#ffffff [[한민용|{{{#ffffff '''한민용'''}}}]] {{{-1 (기자),}}}}}} {{{#ffffff [[최재원(기자)|{{{#ffffff '''최재원'''}}}]] {{{-1 (기자)}}}}}}}}} || ||
{{{+1 {{{#ffffff '''JTBC 뉴스룸(주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reenshot_20230722_201814_YouTube.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307C 20%, transparent 100%), linear-gradient(to top, #4F92C2, #28B9AF)" {{{#ffffff [[강지영(아나운서)|{{{#ffffff '''강지영'''}}}]] {{{-1 (아나운서)}}}}}}}}} || ||
{{{+1 {{{#ffffff '''아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1228_110050_005.jpg.tn640.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307C 20%, transparent 100%), linear-gradient(to top, #4F92C2, #28B9AF)" {{{#ffffff {{{#ffffff '''정재우'''}}} {{{-1 (기자)}}}}}}}}} || ||
{{{+1 {{{#ffffff '''사건반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반포스터.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307C 20%, transparent 100%), linear-gradient(to top, #4F92C2, #28B9AF)" {{{#ffffff [[양원보|{{{#ffffff '''양원보'''}}}]] {{{-1 (기자)}}}}}}}}} || * [[이 시각 뉴스룸]](주말) * 안지현 기자 * 김민관 기자 * 임지수 기자 * 뉴스특보 * 박상욱 기자 * [[황남희]] 아나운서 * [[최종혁]] 기자 == [[/구성원|구성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JTBC news/구성원)] == 역대수장 == === 뉴스콘텐트부문 대표이사 === 2021년 9월, 이규연 보도총괄이 대표이사 전무로 승진하면서 신설되었다. 기존 보도총괄이 제작 및 일부 행정 업무만 총괄하던것 과는 달리, 방송정책이나 경영 관련 업무를 독립적으로 맡겨 보다 역할과 책임을 강화하여 보도부문의 독립성을 보다 높였다. 2023년 12월에 뉴스콘텐트부문 대표이사로 명칭이 바뀌였다. * [[이규연]] ,,(전무, 2021.9 ~ 2022.8),, * [[전진배]] ,,(부사장, 2022.8 ~ 2022.11/사장, 2022.11 ~ '''현재'''),, === 보도담당 사장 === 2013년 5월, 손석희를 JTBC로 영입하면서 보도부문 독립성 부여를 위해 신설했으나, 2018년 11월 손석희 보도담당 사장이 대표이사 사장으로 승진하면서 폐지되었다. * [[손석희]] ,,(사장, 2013.5 ~ 2018.11),, === 보도총괄 === 2012년 이전까지 보도본부장으로 불렸다가, 김교준 보도총괄 발령 기점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이에 대해 "기존 본부장을 열린 개념의 '총괄'로 개편해 부문별 책임경영제를 도입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보도총괄 직책은 보도담당 대표직 신설 이후 폐지되었다. * 김교준 ,,(보도본부장(이사), 2011.1 ~ 2011.8/보도총괄(상무), 2012.9 ~ 2013.12),, * 이하경 ,,(보도본부장, 2011.8 ~ 2012.9),, * 오병상 ,,(보도총괄(상무보), 2013.12 ~ 2016.11/보도총괄(상무), 2016.12 ~ 2018.11/보도총괄(전무), 2018.11 ~ 2020.4),, * [[권석천]] ,,(보도총괄, 2020.5 ~ 2020.12),, * 이규연 ,,(보도총괄, 2020.12 ~ 2021.9),, === 뉴스콘텐트국장 === 개국 이후 2023년 12월 4일까지 보도국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뉴스콘텐트국장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 [[이규연]] ,,(2011.1 ~ 2012.11),, * 오병상 ,,(2012.11 ~ 2016.11),, * [[권석천]] ,,(2016.12 ~ 2018.11),, * [[이상복]] ,,(2018.11 ~ 2020.5),, * 김성탁 ,,(2020.5 ~ 2021.4),, * 김준술 ,,(2021.4 ~ 2022.8),, * 남궁욱 ,,(2022.8 ~ '''현재'''),, === 뉴스룸제작국장 === 2022년 6월, 전면 모바일화 개편을 추진하면서 기존 보도국은 모바일 취재 전담 부서로 전환하고, 방송 뉴스 제작만 전담하는 부서를 두기 위해 신설되었다. 그러나 기자들의 반발 끝에 인사 개편 자체가 무산되어 국장 발령 2개월만에 부서가 해체되었다.[[https://www.google.co.kr/am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Amp.html%3fidxno=304766|#]] * 임종주 ,,(2022.6 ~ 2022.8),, == [[/스튜디오|스튜디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JTBC news/스튜디오)] == 특징 == JTBC NEWS 에서 시도 했거나, JTBC NEWS 가 영향을 준 특징 들을 서술한다. === 편성 === * '''주중 편성 :''' MBC의 [[MBC 뉴스데스크]] 등과 함께 메인 뉴스인 [[JTBC 뉴스룸]]을 저녁 8시대에 편성하고 있다. 오후 6시 30분부터 2시간 30분 동안 [[사건반장]], [[JTBC 뉴스룸]]을 연속으로 쭉 붙여서 편성하고 있다. * '''주말, 공휴일 편성 :''' 주말과 공휴일에는 편성된 뉴스가 딱 2개뿐이다. 저녁 메인 뉴스인 [[JTBC 뉴스룸]]을 제외하고는 [[이 시각 뉴스룸]]이 전부. 주말 [[JTBC 뉴스룸]]은 오후 5시 50분에 시작해 6시 30분까지 방송한다. 명절이나 공휴일에는 2016년 광복절을 기점으로 주중 공휴일에도 주말과 같이 [[이 시각 뉴스룸]]을 편성해 뉴스 공백을 메우고 있다. === 뉴스 구성 === * '''보도 자막에 한자를 거의 쓰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세돌 九단'은 '이세돌 9단'으로 표기하고 있다.[* 사실 이건 바둑계 입장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이다. 왜냐면 숫자는 '''아마추어'''단수를, 한자는 '''프로''' 단수를 나타낼 때 구분해서 쓰는 룰이 있는데 이것을 JTBC가 의도적으로 뭉개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바둑계의 관행이 구시대적이라는 비판은 존재한다.] 또한 여당의 '與'는 '여'로, '야당'의 '野'도 '야', '미국'의 '美'를 '미'로, '일본'의 '日'을 '일' 등으로도 표기하고 있다. 이는 JTBC가 사용하는 글꼴인 JTBC체와 JTBC 고딕에 한자가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 '''단독 보도 표현 대체''' 2018년 2월 28일, JTBC는 보도자료를 내고 '''단독'''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최순실 게이트]] 이후, JTBC 내부적으로 단독 기사에 대한 특종 집착증 같은 압박감이 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뉴스타파]]나 [[시사저널]] 등에서 이미 보도되었던 사안마저 단독을 달고 나와 논란이 [[http://m.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0162|일었다]]. 김경래 뉴스타파 기자는 “저간의 사정을 뻔히 알면서 단독을 붙이는 건 용감해서인지 무식해서인지 아무 생각이 없어서인지 어떤 생각이 많아서인지”라며 “이쪽 동네가 아무리 아사리판이래도 지켜야 할 금도가 있고 예의가 있고, 그리고 직업적인 양심과 윤리라는게 있지 않나”라고 [[http://m.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1511#Redyho#csidx47b1c432b3eef50b02b5b1f4d1337b1|비판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지나치게 단독 표현을 남발한다는 지적이 [[http://m.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61519|잇따랐고]], 결국 "그간 취재 경쟁에서 ‘단독’이 가져다준 긍정적 효과가 있었던 반면, 표현의 오남용으로 인한 부정적인 측면도 있었음을 인정한다"며 "단독 기준을 엄정하게 할 것을 논의해왔으나 기준 자체가 모호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결국 아예 사용하지 않는 쪽을 택했다"고 밝히며 단독 표현을 사용하지 않기로 [[http://m.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41511#Redyho#csidx18f25e09f1dae1dac8a08bdcdf1c841|했다]]. 여하튼, 언론사의 입장에서 단독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것은 많은 것을 내려놓는 것이라는 평가가 있다. 뉴스에 대한 사람들의 주목도를 높힐 수 있고, 그에 따라 단독이라는 표현만 붙히면 일반 뉴스에 비해 많게는 수십배 수백배 트래픽을 올릴 수 있다. 게다가 해당 뉴스가 사회 전반의 이슈를 선도하는 효과를 낳게 되면 해당 언론사가 얻는 이득은 크다는 분석이 있다. 다만, 이후에도 최초로 취재한 뉴스에 대해서는 완곡하게 "JTBC 취재에 따르면"이나 "지금부터 보도할 뉴스는 JTBC가 취재한 뉴스"라는 표현을 우회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래도 헤드라인에는 이런 표현을 넣지 않아 제목만 보고는 단독취재 뉴스인지 알 수가 없었다. 2019년 4월 3일 김성태 딸 부정채용 관련 KT임원의 공소장을 입수할때는 예외적으로 멘트에 단독이라는 표현을 섰다. 다만 제목에는 [단독]이라는 표현을 달지 않았다. 2020년 10월 6일 조성길 전 북한 대사 대리의 한국행 단독 보도를 기점으로 온라인에 한해 단독 표현이 부활했다. 단독 보도를 없앤 것에 대한 장점과 의미는 분명히 있지만, 아무리 공들여 취재한 뉴스도 다른 언론에서 베껴쓰거나 단독표현의 부재로 온라인에서의 파급력이 떨어지는 부분이 있어서 보도국 기자들의 논의 끝에 부활시킨 것이다. 다만 방송중에는 여전히 단독표현을 사용하지 않으며, 온라인판 헤드라인에 한정해 엄격한 기준에 의해 사용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6/0000105006|#]] 이후 2020년 12월 개편이후 뉴스룸 본 방송에서는 "단독" 표현대신 '''JTBC 추적'''이나 '''JTBC 확인'''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2022년 11월 개편과 함께 본방송에서도 '단독' 표현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 '''바이라인''' 기사를 후반부에 나오는 바이라인은 "JTBC (이름)입니다"이다. 여기서 JTBC를 '제이티비시'로 또박또박 발음하는 기자들도 있지만, 이걸 '제이티비스'로 끝을 흐려서 발음하는 기자들도 있는 편이다. === 개편 === * 프로그램 편성 시간 변경, 뉴스 속 새 코너 도입, 카메라 구도 변경, 진행자 교체 등 개편이 자주 일어나는 편이다. 더 나은 것을 프로그램에 도입하기 위한 진보적인 시도이겠지만, 너무 큰 변화가 있을 때에는 기존의 고정 시청자들에게 피로감과 이질감을 심어줄 수 있다. 하지만 여러 개편과 여러 시도를 계속 하면서 얻어 낸 성과 또한 적지 않다. JTBC가 방송계에 영향을 준 뉴스 속 코너들만 해도 펙트체크, 밀착 카메라, 비하인드 뉴스, 앵커 브리핑 등이 있으며, 방송 뉴스의 심층 보도 강화 바람을 불러 60분 짜리 뉴스에서 많게는 1시간 30분까지도 뉴스 편성 시간을 확대 하게 하는 바람을 불러 일으키기도 했다. === 재난 보도 === * 여러 재난 상황과 관련된 뉴스에 강한 면모를 보였다. 세월호 참사 당시 가장 오랜 기간 팽목항 현장에 남아 피해자 가족들의 곁을 지키며 피해자 중심의 보도를 이어갔고, 우리나라 관측 사상 역대 최대 규모인 5.8을 기록했던 [[2016년 경주 지진]] 당시 주요 지상파인 [[KBS]], [[MBC]], [[SBS]]가 달랑 속보 자막을 몇번 띄우고 드라마를 정상 방영 하거나, 재난 특보도 없이 일반 정규 뉴스를 내보내고 평시 편성으로 재난이 일어난 적도 없었다는 듯이 뉴스 프로그램을 평소와 다를 바 없이 종료하는 와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방송국은 보도 조차 외면했던 재난의 밤에 어떤 방송사보다도 빠르게 긴급 재난 특보 방송 체제로 돌입하여 경주의 재난 현장을 연결하였고, 지진 발생시 대처 방법, 경주 인근에 위치한 주요 위험 시설들 특히 원전들의 지진에 따른 피해 상황 체크 등 지금 당장 재난 현장에서 필요한 보도들을 어느 방송사보다도 빠르게 시청자들에게 보도했다. [[2019년 고성-속초 산불]] 재난에서도 JTBC의 재난 보도 역량은 두드러졌다. 모든 8시대 메인 뉴스들이 정규 뉴스 방송을 진행하고 있었던 시각이었으나, 어느 방송사보다도 빠르게 8시 40분 경부터 고성 속초 산불의 발화 원인 지점이었던 미시령 일성 콘도 부근의 계폐기가 폭발한 바로 그 현장에서 누구보다도 빠르게 고성 속초 산불에 대한 재난 보도를 시작하였다. 고성-속초 산불 화재가 난 시각은 밤 07시 15분 경이었고, 이 산불의 위기 단계가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격상된 것이 밤 09시 40분 경이었다. 위기 단계 격상 이전에 고성 속초에 발생한 산불 재난 상황에 대한 판단에 들어갔고 어느 방송사 보다도 재난 현장을 전달하고 보도하는데 있어서 판단이 빨랐다. 어느 먼 지방의 깊은 산골에서 일어난 조그만한 산불로 보지 않았던 것이다. 산불 위기 단계가 심각 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YTN은 밤 10시가 돼서, 연합뉴스TV는 밤 10시 40분이 되어서야 뉴스특보를 시작하였다. 재난주관 방송사인 KBS는 10시 53분이 되어서야 뉴스 특보를 시작했고 그나마도 10분 방영후 정규 방송을 그대로 방송해 비판받았던 것과 대조된다. === 대통령 예우가 박탈된 자에 대한 호칭 === * [[전두환]], [[노태우]], [[이명박]], [[박근혜]] 를 뉴스에서 호칭할 때 전 대통령 호칭을 붙이지 않는다. 원칙적으로 [[전두환]]과 [[노태우]]는 전직 대통령 예우를 박탈당했으나 대다수의 언론사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대통령' 호칭을 꾸준히 불러주고 있었다. 그러나 [[손석희]] 앵커를 필두로 두 사람을 '전두환 씨', '노태우 씨' 또는 '전 씨', '노 씨'라 부르기 시작했고, 보도국 전체로 퍼져 현재는 거의 대부분이 전직 대통령이라는 호칭 없이 부르고 있다. [[이명박]]은 2020년 10월 29일자로 대법원에서 형이 확정되면서 이명박 역시 '이명박 씨'로 호칭을 바꿨다. 다만 현재 검찰 구속 중인 [[박근혜]]는 탄핵으로 이미 전직 대통령 예우가 박탈되었으나, 아직 형이 확정되지 않아서 그런지 '전 대통령'이라고 부르고 있기는 하다. 그리고 2021년 1월 14일 부로 박근혜도 전직 대통령 '박근혜'씨라고 칭하고 있다. 참고로 호칭이 박탈된 그 주 혹은 그 차주까지는 '전직 대통령 OOO 씨'라고 언급하는데 그 주가 넘어가면 그냥 'OOO 씨'라고 호칭하고 있다. --그렇게 JTBC는 [[문재인]] 한명을 제외하고 살아있는 모든 전직 대통령들에게 'OOO 씨'라고 부르게 되었다.-- == 논란 및 사건 사고 == * '''자막 실수''':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자주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실수가 잦으면 고의로 비춰질 소지가 큰 만큼 뭔가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교열위원을 위촉해 뉴스전에 자막이나 자료에대한 팩트체크를 한다고 한다. * 2017년 6월 2일 방영된 [[JTBC 뉴스현장]]에서 [[김광진(정치인)|김광진]] 전 의원의 프로필을 동명이인의 것으로 잘못 표기했었다. * 2018년 6월 8일에는 [[5시 정치부회의]]에서 [[자유한국당]] 소속인 [[백승주(정치인)|백승주]] 의원을 [[더불어민주당]] 의원으로 표기하였다. 이 때 방송 중에 정정을 하고 넘어갔지만 그날 저녁 [[JTBC 뉴스룸]]에서도 오류가 수정되지 않은채 자료화면이 나왔다. 그런데 6월 26일에 [[JTBC 뉴스현장]]에서 백승주 의원을 또 민주당으로 표시했다. * [[서현역 칼부림 사건]]과 관련해, 사망자가 1명 나왔다는 보도가 JTBC에서 시작되었는데, 추후 오보로 밝혀졌다. 진실을 보도하는 언론의 책임감을 다하지 못한 자세이다. === [[JTBC 뉴스룸/논란 및 사건 사고|JTBC 뉴스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JTBC 뉴스룸/논란 및 사건 사고)] === [[JTBC 뉴스현장#s-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JTBC 뉴스현장, 문단=5)] === [[정치부회의#s-7]]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치부회의, 문단=7)] == 모바일 앱 == [[JTBC]]에서 제작하여 배포중인 모바일 앱의 이름이기도 하다. 뉴스의 경우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Live 영상을 바로 볼 수 있지만, 예능 등 타 프로그램은 볼 수 없다. 뉴스앱의 편성표 메뉴로 들어가면 이걸로 Live 영상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만 나온다. 뉴스 이외의 프로그램 중 보도국 제작 프로그램인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사건반장]], [[JTBC 밤샘토론|밤샘토론]]도 시청 가능했으나, 유튜브 라이브가 활성화되면서 이 중 스포트라이트와 밤샘토론은 시청할 수 없게 되었고, 대신 소셜라이브, 뉴스페이스, 딜레마당 등 유튜브 라이브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시청취할 수 있도록 바뀌었다. * 안드로이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jtbc.news|#]] == 모바일 채널 == === HeyNews === ||<-3>
[[파일:HeyNews.jpg|width=100%]] || || {{{#ffffff ''' 링크 ''' }}} ||<-2>[[https://hey.news.co.kr/|[[파일:HeyNews.jpg|width=24]]]] [[https://youtube.com/@_Hey.News_|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www.facebook.com/Hey.News.JTBC/?mibextid=ZbWKwL|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instagram.com/_hey.news_?igshid=YmMyMTA2M2Y=|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 '''여러분에게 꼭 필요한 이야기!''' [[2020년]]에 론칭한 [[MZ세대]] 타깃 영상뉴스 플랫폼이다. 처음에는 JTBC를 포함한 [[중앙그룹]] 매체사들이 모두 참여하고, [[중앙일보]] 뉴스제작 2팀에서 제작을 맡는 방식이었으나, [[JTBC]]가 제작을 맡은 후로는 운영 방식이 바뀌었다. 2023년 12월 기준으로 23.9만 명의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유튜브는 14.6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인스타그램에서는 주로 릴스와 카드뉴스 등을 업로드하고 있으며, 유튜브에서는 MZ 세대의 최신 라이프스타일을 체험해보는 '신세대 백화점', [[강지영(아나운서)|강지영]]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인터뷰 프로그램 '킹받는 뉴스쇼', 연예인과 팬의 가족이 만나는 '안녕자네' 등의 콘텐츠를 운영하고 있다. [clearfix] === [[소탐대실(유튜버)|소탐대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소탐대실(유튜버))] === 로켓뉴스 === ||<-3>
[[파일:로켓뉴스.jpg|width=100%]] || || {{{#ffffff ''' 링크 ''' }}} ||<-2>[[https://youtube.com/@rocketnewslaunch?si=cOOT8oH3q8IRQqc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rocketnewslaunch?igsh=cndnbjE0aXB2MmIz|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www.tiktok.com/@rocketnewslaunch?_t=8iS68qSIzYd&_r=1| [[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4]]]] || > '''정보는 짧고 빠르게, 안목은 높게, 로켓뉴스''' 2023년 5월에 론칭한 [[숏폼]] 뉴스 채널이다. 현재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틱톡]] 계정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 12월 기준 유튜브 구독자 수는 약1천명이다. 내레이션은 물론 아이템 추천과 원고 작성 등 제작 전 과정에서 [[인공지능|생성형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clearfix] === [[장르만 여의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장르만 여의도)] == 관련 문서 == * [[KBS NEWS]] * [[MBC NEWS]] * [[SBS NEWS]] * [[EBS NEWS]] * [[OBS NEWS]]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JTBC, version=3237, paragraph=5.4.1)] [[분류: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