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앨라니스 모리셋]][[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1위 앨범]][[분류:캐나다의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1995년 음반]][[분류:얼터너티브 록]][[분류:팝 록]][[분류:포스트 그런지]][[분류: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d 40%, #a09e90)" {{{#000 '''Jagged Little Pill의 주요 수상·기록'''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1980년~1999년))] ---- [include(틀:빌보드 연말 차트 1위 앨범(1975~1999))]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90년대의 100대 명반)] ---- [include(틀:빌보드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앨범)]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348)]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9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51)]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03,순위=327,연도2=2020,순위2=69)]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35, 연도=1998, 순위2=51,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338)]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100)]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26)] ---- [include(틀:100BEAT 선정 9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84)] ---- [include(틀:Popkultur 선정 1990년대 100대 명반, 순위=19)] ---- [include(틀:BuzzFeed 선정 147대 명반)] ---- ||||<#fff,#191919><-5> '''{{{+1 [[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앨범}}}}}}''' || || ''[[Cracked Rear View]]'' [[Hootie & the Blowfish|{{{-2 {{{#8086a0 Hootie & the Blowfish}}}}}}]] || {{{+1 →}}} || '''Jagged Little Pill'''[br]'''^^{{{-2 (1주)}}}^^''' '''[[Alanis Morissette|{{{-2 {{{#8086a0 Alanis Morissette}}}}}}]]''' || {{{+1 →}}} || ''[[Daydream(머라이어 캐리)|Daydream]]'' [[머라이어 캐리|{{{-2 {{{#8086a0 Mariah Carey}}}}}}]] || || ''Waiting To Exhale'' [[휘트니 휴스턴|{{{-2 {{{#8086a0 Various artists}}}}}}]] || {{{+1 →}}} || '''Jagged Little Pill'''[br]'''^^{{{-2 (1주)}}}^^''' '''[[Alanis Morissette|{{{-2 {{{#8086a0 Alanis Morissette}}}}}}]]''' || {{{+1 →}}} || ''[[All Eyez on Me]]'' [[투팍 샤커|{{{-2 {{{#8086a0 2Pac}}}}}}]] || || ''[[All Eyez on Me]]'' [[투팍 샤커|{{{-2 {{{#8086a0 2Pac}}}}}}]] || {{{+1 →}}} || '''Jagged Little Pill'''[br]'''^^{{{-2 (2주)}}}^^''' '''[[Alanis Morissette|{{{-2 {{{#8086a0 Alanis Morissette}}}}}}]]''' || {{{+1 →}}} || ''[[Anthology 2]]'' [[비틀즈|{{{-2 {{{#8086a0 The Beatles}}}}}}]] || || ''[[Anthology 2]]'' [[비틀즈|{{{-2 {{{#8086a0 The Beatles}}}}}}]] || {{{+1 →}}} || '''Jagged Little Pill'''[br]'''^^{{{-2 (2주)}}}^^''' '''[[Alanis Morissette|{{{-2 {{{#8086a0 Alanis Morissette}}}}}}]]''' || {{{+1 →}}} || ''[[Evil Empire]]''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2 {{{#8086a0 Rage Against the Machine}}}}}}]] || || ''Beats, Rhymes And Life''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2 {{{#8086a0 A Tribe Called Quest}}}}}}]] || {{{+1 →}}} || '''Jagged Little Pill'''[br]'''^^{{{-2 (2주)}}}^^''' '''[[Alanis Morissette|{{{-2 {{{#8086a0 Alanis Morissette}}}}}}]]''' || {{{+1 →}}} || ''No Code'' [[펄 잼|{{{-2 {{{#8086a0 Pearl Jam}}}}}}]] || ---- }}} || ||||<:> '''{{{#!htmlJagged Little Pill}}}''' || ||<-2>
{{{#!wiki style="margin:-6px -10px -6px" [[파일:81UsU658UVL._SL1425_.jpg|width=100%]] }}} || || '''발매일''' ||[[1995년]] [[6월 13일]] || || '''아티스트''' ||[[Alanis Morissette]]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팝 락]], [[포스트 그런지]] || || '''러닝 타임''' ||57:23 || || '''레이블''' ||Marverick Record, Reprise || || '''트랙 수''' ||13개 || || '''프로듀서''' ||글렌 발라드 || || '''싱글 발매곡''' ||[[You Oughta Know]][* 1995년 7월 6일][br][[Hand In My Pocket]][* 1995년 10월 31일][br][[Ironic]][* 1996년 2월 27일][br][[You Learn]][* 1996년 7월 9일][br][[Head Over Feet]][* 1996년 9월 16일][br][[All I Really Want]][* 1996년 12월 1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Jagged Little Pill은 1995년 발매된 [[앨라니스 모리셋]]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이다. 앨라니스 모리셋이 토론토로 이사한후 앨범작업을 시작했고 로스엔젤레스 에서 만난 글렌 발라드와 함께 작업했다. == 성공 == 전세계적으로 '''3350만 장'''[* 정확히 3357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여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록 앨범 중 하나'''이자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여자가수의 데뷔앨범'''이며[* 기존에 2200만 장 판매고를 기록한 [[휘트니 휴스턴]]의 《''[[Whitney Houston(음반)|Whitney Houston]]''》이 이 기록을 가지고 있었으나, 10년 만에 기록을 경신했다.] '''역대 여자 가수 단일앨범 판매량 2위'''의[* 1위는 총 4100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한 [[휘트니 휴스턴]]의《''[[The Bodyguard OST]]''》이다. 한편 《''[[Come On Over]]''》은 총 3350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하여 약 7만 장 차이로 3위이다.]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앨범은 13개국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때 최전성기를 누리던 [[머라이어 캐리]]의 《''[[Daydream]]''》을 누르고 [[1995년]] [[빌보드 연말 차트]] 1위를 차지했다. 이 앨범은 더블 다이아몬드를 판매를 달성한 캐나다 최초의 앨범이다. 상업적으로도 대성공을 거두었지만 비평적인 면에서 극찬을 받아 그래미 어워즈에서 9개 부문 후보에 올랐으며 '''올해의 앨범'''을 포함해 5개 부문을 수상했다.[* [[1996년]] 그래미는 이 앨범이 다 가져가 버렸기 때문에 [[머라이어 캐리]]는 당시 최다 후보지명 되었지만 '''단 하나의 그래미'''도 수상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머라이어 팬들 사이에선 아직까지 그래미에 대한 원한이 남아있다. 그러나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그래미]]가 비평적 반응도 상업적 성과도 그 해 최고였던 《''Jagged Little Pill''》에 상을 몰아주지 않을 이유가 없다.] 엘라니스 모리셋은 21세의 최고 영예를 차지한 최연소 아티스트가 되었다. 2020년에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 69위로 새로이 랭크되었다. 보통 100위권 안의 높은 순위의 앨범은 2012년의 선정 리스트에도 있기 마련인데, 이 앨범은 2012년의 순위표에는 등재되지도 않았으므로 2020년에 갑툭튀로 선정된 느낌이 있다. 아무래도 최근의 음악적 경향을 재조명하고 여성 아티스트에 높은 점수를 주려는 2020년의 기조가 반영된 듯. == 트랙 리스트 == === [[All I Really Want]] === [youtube(HLHvb9V8Yzs)] === [[You Oughta Know]] === [youtube(NPcyTyilmYY)] === [[Perfect(앨라니스 모리셋)|Perfect]] === [youtube(i9WIM2zZ2nI)] === [[Hand In My Pocket]] === [youtube(CUjIY_XxF1g)] === [[Right Through You]] === [youtube(Jk_cvERwBJk)] === [[Forgiven]] === [youtube(xG6Lu8n16WA)] === [[You Learn]] === [youtube(GFW-WfuX2Dk)] === [[Head Over Feet]] === [youtube(4iuO49jbovg)] === [[Mary Jane(앨라니스 모리셋)|Mary Jane]] === [youtube(HYHx5NlUlZk)] === [[Ironic]] === [youtube(Jne9t8sHpUc)] === Not The Docter === [youtube(jdG7DYopRkM)] === Wake Up === [youtube(BWsIgP97_rQ)] === You Oughta Know (Jimmy the Saint Blend) / Your House (A Capella) (Hidden Track) === [youtube(SIVIzG86_j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