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자넷 잭슨/음반)]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80808, #080808, #080808, #080808)" {{{#E0E0E0 '''《Janet Jackson's Rhythm Nation 1814》의 [br]주요 수상 및 기록'''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include(틀:빌보드 연말 차트 1위 앨범(1975~1999))] ---- ||
<#FFFFFF><:>[[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70]]||<:><#FFFFFF>[[빌보드 200|{{{#000000 '''빌보드 앨범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앨범 '''}}}]][br]{{{+5 '''94위'''}}}|| ---- [include(틀:빌보드 선정 위대한 앨범 커버들, 순위=47)]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8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30)]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277, 순위2=339, 연도2=2020)]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904, 연도=1998, 순위2=924, 연도2=2000)] ---- [include(틀:BuzzFeed 선정 147대 명반)] ---- }}} || ||<-2><#080808> '''{{{#E0E0E0 {{{+1 Janet Jackson's Rhythm Nation 1814}}}}}}'''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hythmnation.jpg|width=100%]]}}} || || '''발매일''' ||[[1989년]] [[9월 19일]] || || '''녹음''' ||[[1988년]] [[9월]] – [[1989년]] [[5월]] || || '''스튜디오''' ||[[미네소타]] Flyte Tyme || || '''장르''' ||[[팝 음악|팝]] • [[컨템퍼러리 R&B|R&B]] • [[뉴 잭 스윙]] || || '''재생 시간''' ||64:34 || || '''레이블''' ||A&M || || '''프로듀서''' ||존 맥클레인, [[Jimmy Jam and Terry Lewis|지미 잼 and 테리 루이스]], 자넷 잭슨, 젤리빈 존슨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9년 9월 19일에 발매된 [[자넷 잭슨]]의 4집 앨범. == 상세 == [[janet.]]과 함께 자넷의 최전성기를 상징하는 앨범으로, 초기 걸작으로 손꼽힌다. [[뉴 잭 스윙]]을 필두로 [[팝 음악|팝]], [[락 음악|락]], [[컨템퍼러리 R&B]] 등 다양한 장르의 곡들이 수록되었다. 자넷은 1986년 3집 Control로 성공을 거두며 자신만의 음악 스타일을 확립했고, 프로듀싱을 비롯한 앨범 제작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4집 제작전, 소속사는 자넷에게 있어 3집과 비슷한 컨셉의 앨범을 요구했지만, 자넷은 자신이 정말로 원하는 주제, 자신의 신념을 담기를 원했다. 프로듀서 Jimmy Jam에 의하면 당시 자넷은 [[CNN]] 뉴스와 각종 미디어에서 다루는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졌는데, 특히 1989년 발생한 [[클리블랜드]] 초등학교 총기 난사사건에 많은 충격을 받았고, 이 사건은 사회문제를 강렬히 비판한 Livin' in a World (They Didn't Make), Rhythm Nation, State of the World의 제작에 영감을 주었다고 한다. 앨범 전체에 걸쳐 사회에 대한 메시지를 담은 이 앨범은, 독특하게 [[컨셉 앨범]]으로 구성되었다. 첫 싱글 [[Miss You Much]]가 [[빌보드 핫 100]]에서 4주 1위를 차지함에 필두로, 줄줄이 3개의 싱글이 정상에 오르며 총 4개의 싱글이 1위를 차지했다. 뮤직비디오는 Miss You Much, The Knowledge, Rhythm Nation 순으로 30분 가량의 [[https://m.youtube.com/watch?v=NF-0w90WTJY&pp=ygUYcmh5dGhtIG5hdGlvbiAxOTE0IG1vdmll|단편 영화]]로 스토리가 이어지며, 1989년 9월 18일 [[MTV]]에서 상영되었다. 현대에도 스토리가 이어지는 장편 뮤직비디오들이 많은데, 1989년임을 감안하면 시대를 상당히 앞선셈. == 평가 == 댄스에 있어서 이번 앨범에서는 전작보다 훨씬 높아진 난이도의 안무를 선보였는데, [[Rhythm Nation]]에서는 군무, Miss You Much의 의자춤(Chair Routine) 등을 선보이며[*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Stronger 뮤직비디오에서 [[오마주]]했다.] 댄스계의 또 다른 지평을 열었다. 앨범은 미국에서만 850만 장을 판매하며 6x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고, 전 세계적으로 1,200만 장을 판매했다. 이후 1990년에는 [[빌보드 연말 차트#s-5|빌보드 200 연말 차트]]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전작이 자넷을 스타덤에 오르게 해주었다면, 이 앨범을 통해서는 세계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첫 월드투어인 Rhythm Nation World Tour 역시 이 시기에 진행되었다. 또한 이 시기 Rhythm Nation 뮤직비디오에 등장한 제복 패션과 키 이어링은 자넷의 시그니쳐로 여겨질 정도로 유명하다. 결과적으로, 각종 기록을 갈아치우며 (흑인)여성 아티스트들의 위상을 드높인 앨범 중 하나로 평가된다.[* 가장 높이 평가받는 건 휘트니 휴스턴의 [[Whitney Houston(음반)|셀프타이틀 1집]]과 [[마돈나(가수)|마돈나]]의 《''[[Like A Prayer]]''》] 작품성 면에서도 자넷의 디스코그래피 중 Control, The Velvet Rope와 함께 각종 매체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21년에는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National Recording Registry]])으로 선정되었다. == 트랙 == || No. || 곡명 || 작곡/작사 || 길이 || || 1 || '''Interlude: Pledge''' || || 0:47 || || 2 || '''[[Rhythm Nation]]''' || Janet Jackson, James Harris III, Terry Lewis || 5:31|| || 3 || '''Interlude: T.V.''' || || 0:22 || || 4 || '''State of the World''' || Jackson, Harris, Lewis || 4:48 || || 5 || '''Interlude: Race''' || || 0:05 || || 6 || '''The Knowledge''' || Harris, Lewis || 3:54 || || 7 || '''Interlude: Let's Dance''' || || 0:03 || || 8 || '''[[Miss You Much]]''' || Harris, Lewis || 4:12 || || 9 || '''Interlude: Come Back Interlude''' || || 0:21 || || 10 || '''[[Love Will Never Do (Without You)]]''' || Harris, Lewis || 5:50 || || 11 || '''Livin' in a World (They Didn't Make)''' || Harris, Lewis || 4:41 || || 12 || '''[[Alright]]''' || Jackson, Harris, Lewis || 6:26 || || 13 || '''Interlude: Hey Baby''' || || 0:10 || || 14 || '''[[Escapade]]''' || Jackson, Harris, Lewis || 4:44 || || 15 || '''Interlude: No Acid''' || || 0:05 || || 16 || '''[[Black Cat]]''' || Janet Jackson[* 자넷이 단독으로 작곡/작사 했다.] || 4:50 || || 17 || '''Lonely''' || Harris, Lewis || 4:59 || || 18 || '''[[Come Back to Me]]''' || Jackson, Harris, Lewis || 5:33 || || 19 || '''Someday Is Tonight''' || Jackson, Harris, Lewis || 6:00 || || 20 || '''Interlude: Livin'...In Complete Darkness''' || || 1:07 || == 성적 == 이 앨범은 그녀의 최전성기를 상징하는 앨범답게 엄청난 차트 기록으로 유명하다. 당장 4개의 싱글이 빌보드 Hot 100 1위를 차지했고, 동시에 '''한 앨범에서 7개의 싱글이 빌보드 Top 5에 진입하는 신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았을 정도다. 또한, '''3년 연속(1989~1991년까지 매년) 빌보드 핫 100 1위 싱글을 배출하는 기록을 세운 앨범'''[* 이후 같은 기록의 3년 연속(2019년~2021년) 1위 싱글 배출을 한 앨범인 ''[[After Hours]]''가 등장하기까지 무려 약 '''30년'''이란 세월이 걸렸다.] 이기도 하다. 보통 2년 연속 기록은 많이 볼 수 있지만 3년 연속은 30년 동안 이 앨범이 '''최초이자 마지막이었다.''' 당시 미국에선 발매되지 않아 애초에 빌보드 핫 100에 오를 수 없었던 State of the world를 제외하면 '''가장 성적이 낮은 싱글 Alright가 4위'''다. 또한 자넷이 단독 작사/작곡한 자작곡 [[Black Cat]]이 빌보드 핫 100에서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하며 그녀의 천부적인 음악적 재능을 세간에 드러냈고, 동시에 싱어송라이터로 인정받기도 했다.[* 공동 작사/작곡으로 1위에 오른 경우는 매우 흔하지만, 단독 자작곡으로 1위까지 간 경우는 [[돌리 파튼]]("9 to 5"), [[데비 깁슨]]("Foolish Beat", "Lost in Your Eyes"), [[글로리아 에스테판]]("Don't Wanna Lose You"), [[로린 힐]]("Doo Wop (That Thing)"), [[앨리샤 키스]]([[Fallin']]) 등 극소수 뿐이다.] || '''싱글''' || [[빌보드 핫 100|Hot[br]100]] || Hot[br]Dance || UK || || '''[[Miss You Much]]''' || '''1''' || 1 || 22 || || [[Rhythm Nation]] || 2 || 1 || 23 || || '''[[Escapade]]''' || '''1''' || 1 || 17 || || [[Alright]] || 4 || 1 || 20 || || [[Come Back to Me]] || 2 || - || 20 || || '''[[Black Cat]]''' || '''1''' || - || 15 || || '''[[Love Will Never Do (Without You)|Love Will Never Do[br](Without You)]]''' || '''1''' || 4 || 34 || || State of the World[* 미국에선 발매되지 않음] || - || 9 || - || ||<-5> {{{+1 [[빌보드 200]] {{{#b2a529 ''' 역대 1위 앨범 ''' }}} }}} || || Dr. Feelgood || {{{+1 → }}} || [[Janet Jackson's Rhythm Nation 1814]](4주) || {{{+1 → }}} || Girl You Know It' True ||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 pt=6)] == 뮤직비디오 == ||[youtube(IVF0zcqr9Dg)]||[youtube(OAwaNWGLM0c)]|| ||'''[[Miss You Much]]'''||'''[[Rhythm Nation]]'''|| ||[youtube(UFX3gQHIroU)]||[youtube(t8UidwWPin4)]|| ||'''[[Escapade]]'''||'''[[Alright]]'''|| ||[youtube(-5ecZWwO_hQ)]||[youtube(qH-rPt1ftSo)]|| ||'''[[Come Back to Me]]'''||'''[[Black Cat]]'''|| ||[youtube(n0dqk6Vybeo)]||[youtube(h4azpcnXG3g)]|| ||'''[[Love Will Never Do (Without You)]]'''||'''The Knowledge'''|| == 여담 == * 재밌는 사실로, [[마이클 잭슨]]과 자넷은 워낙 성격이 비슷해 종종 비슷한 음악적 영감을 떠올리곤 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둘다 동시에 [[밀리터리]] 컨셉을 떠올렸다고 한다. 마이클은 오빠답게 자넷에게 컨셉을 양보해 주었고, 자넷은 [[Rhythm Nation]]과 그녀의 [[시그니쳐]]라고 할 수 있는 제복 패션을 고안할 수 있었다. 여담으로 수록곡 The Knowledge와 Rhythm Nation은 마이클이 생전 자넷의 음악 중 가장 좋아하던 곡이었다. [[https://m.youtube.com/watch?v=3_1mzkh5ARo|이 곡에 맞춰 댄스연습을 하는 영상도 있다.]] * 수록곡인 [[Rhythm Nation]]의 특정 주파수가 일부 5400RPM 하드디스크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해 하드디스크에 물리적인 피해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는 공격 벡터가 발표되었다. [[https://cve.mitre.org/cgi-bin/cvename.cgi?name=CVE-2022-38392|CVE-2022-38392]] == 주요 공연 == [youtube(X4xwGx1-JeA)] '''1990년 [[도쿄 돔]] Rhythm Nation 공연''' [youtube(P02WKLlZUlk)] '''1990년 [[AMA]] Escapade 공연''' [youtube(QSjoRs9gY2Y)] '''1990년 [[VMA]] Black Cat 공연''' [[분류:자넷 잭슨]][[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1위 앨범]][[분류:1989년 음반]][[분류:미국의 R&B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뉴 잭 스윙]][[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댄스 음반]][[분류:Jimmy Jam and Terry Lewis]][[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