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의 수록곡]] [[파일:Juggler's Maddness_MXM.png|width=500]] [목차] == 개요 == ||{{{#ba1819,#e74545 '''「어쩔 수 없는 거다아・・・[br]뭐가 어찌됐든 형제니까 말이야아!」'''[br]- "공중독악사(디아볼로스)" 츠마부키 라이토}}}[* [[https://eacache.s.konaminet.jp/game/sdvx/iv/p/images/p/top/top_image/170810_d2.jpg|업데이트 예고 이미지]]에 적혀 있는 문구.] ||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명의는 Lite Show Magic으로 [[t+pazolite|t+pazo'''lite''']]와 [[C-Show|C-'''Show''']]의 합작곡이다. 훌륭한 상성의 콤비답게 이번에 제공한 곡도 엄청난 퀄리티와 중독성으로 전작들 못지 않게 상당한 인기를 몰았으며, ΩDimension 해금곡들 중에서도 평가가 상당히 좋은 편에 속한다. 참고로 Ma'''d'''ness가 아니라 d가 2개인 Ma'''dd'''ness이다. == [[사운드 볼텍스]] == [include(틀:ΩDimension)] The 6th KAC 오리지널 컨테스트 수상자의 신곡으로, 업데이트와 함께 등장한 신 시스템 ΩDimension을 통해 해금할 수 있다.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Juggler's Maddness_NOV.png|width=150]] || [[파일:Juggler's Maddness_ADV.png|width=150]] || [[파일:Juggler's Maddness_EXH.png|width=150]] || [[파일:Juggler's Maddness_MXM.png|width=150]] || || 레벨 || 06 || 13 || 16 || 18 || || 체인 수 || 0904 || 1270 || 2104 || 3064[*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까지는 2831] || || 일러스트 담당 || オラァ海賊サーカスノオ通リダァ! - "空中独楽師(デアボロス)"嬬武器雷刀 [* 아자아 해적 서커스 행차시다! - "공중독악사(디아볼로스)" 츠마부키 라이토]$ KING || アイツノ命令ニハ抗エネェ呪イニ罹ッチマッタ… - "空中独楽師(デアボロス)"嬬武器雷刀 [* 그 녀석의 명령에는 거스를 수 없는 저주가 걸려버렸어… - "공중독악사(디아볼로스)" 츠마부키 라이토]$ KING || 成仏デキネェ奴ァ送ッテヤラァ… - "空中独楽師(デアボロス)"嬬武器雷刀 [* 성불 못할 놈들은 보내주마… - "공중독악사(디아볼로스)" 츠마부키 라이토]$ KING || オレノ邪魔スンジャネェゾォ! - "空中独楽師(デアボロス)"嬬武器雷刀 [* 날 방해하지마! - "공중독악사(디아볼로스)" 츠마부키 라이토]$ KING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2> [[MAD CHILD]] & [[Bob Shimantogawa]] || ごましおくん || MAD CHILD & Bob Shimantogawa || || 수록 시기 ||<-4> {{{#17a4ff,#008ce8 IV 22(2017.08.10)}}} || || [[BPM]] ||<-4> 250 || ||<-2> TRACK INPUT || || 난이도 || 조건 || || {{{#purple,#ff7ffe NOVICE}}} ||<|4> ΩDimension || || {{{#orange,#ffa500 ADVANCED}}} || || {{{#red,#ff0000 EXHAUST}}} || || {{{#696969,#969696 MAXIMUM}}} || === 채보 상세 === [youtube(5n6jZhh2t50, width=420, height=680)] MXM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MXM 패턴은 [[Bob Shimantogawa|모 노브 예술가]]와 [[MAD CHILD|사볼 대표 초견 살인마]]가 합작한 채보답게 초견에 대처하기가 굉장히 힘든 패턴으로 등장했다. 초반부에서 중반부까지는 그야말로 손 교차의 향연으로, 시도때도 없이 손을 이리저리 교차해야 하기 때문에 사전에 패턴을 조금이라도 익히지 않은 이상 아무리 초견살에 강하다고 해도 초견에 안 틀리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설상가상으로 손 교차 도중에 나오는 노트 패턴도 그다지 단순하지 않기 때문에 아주 조금이라도 헷갈릴 경우 손이 갈 곳을 잃고 노브나 롱노트를 통째로 놓쳐 게이지와 점수가 훌러덩 깎여버린다. 손 교차가 전혀 나오지 않는 중반부에서도 250BPM의 빠른 속도로 나오는 8비트의 난해한 동시치기가 몰려 나오므로 게이지 유지가 쉽지 않다. 손 교차 구간을 암기했다 하더라도 노트 처리력이 부족하다면 꽤나 고전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하나의 파트가 전부 까다로운 채보인 만큼 종합적인 클리어 난이도는 18레벨 내에서도 상위권 내지는 최상위권에 위치해 있다.[* [[사볼 서열표]]에서는 18 노브 A에 랭크되었다가 나중에 18 노브 A+로 격상되었다. 현재 18 노브 A+에 랭크되어 있는 세 곡 중 하나이며 나머지 둘은 [[#Fairy_dancing_in_lake]] VVD와 [[HAVOX]]다. 저 세 곡은 노브 계통으로 분류된 18레벨 채보 중 최고난도인 셈.] 그나마 지속노브와 롱노트의 비중이 매우 큰 것과 더불어 BPM으로 인한 틱 카운트 보정을 전혀 받지 않는 관계로[* 이 곡의 BPM은 틱 카운드 보정이 들어가는 최소 BPM인 255에 근접하면서도 그보다는 낮다.] 18랩 내에서도 아주 많은 체인수 덕분에 패턴에 어떻게든 익숙해지거나 아예 전 구간을 통짜로 암기를 할 수만 있다면 스코어링은 클리어에 비해 난이도가 어느정도 낮아지는 편이다. [youtube(ooJjZlkKvKU, width=420, height=680)] EXH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EXH 채보는 특이하게 트랙의 확대/축소 연출이 MXM보다 더 심하게 들어가 있다. MXM 채보에 비해 많이 열화되기는 했지만 손 교차가 필요한 구간이 여전히 많고, 그 외 구간도 16레벨치고는 난이도가 상당해 16레벨 상위권으로 취급된다. 일단 MXM에서는 없는 초반부의 [[Crack Traxxxx]]와 유사한 노브 패턴, 후반부의 탈선하기 쉬운 직각 지그재그 노브에도 주의할 것. 사족으로, EXH 패턴 한정으로 [[PANIC HOLIC]]의 패턴을 담당했던 ごましおくん이 제작을 맡았다. == 기타 == * 표기 BPM은 250BPM 고정이지만, 중반부와 곡이 끝나가는 후반부에 킥의 속도가 반으로 들리기에 듣는 사람에 따라 125BPM과 250BPM을 오가는 것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