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스포츠 전문 채널)] [include(틀:SG그룹)] {{{+1 韓國圍棋放送 / KBaduk}}} ||<-2> {{{+1 {{{#000000 '''기업 개요'''}}}}}} || ||<-2> [[파일:K바둑 로고.png|width=400px]][br][* 해당 로고는 [[2017년]] [[10월]]자로 현행 로고이며, 이전 로고는 다음과 같다.[br][[파일:132f4b4e10436a89311c3396ad511e37.png|width=100px]]][* 과거 스카이라이프 산하 채널로 방송하던 시절 로고는 다음과 같다.[br][[파일:skybaduk.gif|width=100px]]] || || {{{#000000 '''정식 명칭'''}}} || 주식회사 한국바둑방송 || || {{{#000000 '''영문 명칭'''}}} || K BADUK CO.,LTD. || || {{{#000000 '''업종명'''}}} || 방송 프로그램 제작업 || || {{{#000000 '''설립일'''}}} || [[2012년]] [[4월 3일]][* [[스카이라이프]] 및 [[KT]]에서 분사한 날짜. 방송 개국은 [[2002년]]에 하였다.] || || {{{#000000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br] [[대왕판교로]]606번길 47(舊 [[삼평동]] 655) [br]SG타워 8층 || || {{{#000000 '''임원진'''}}} || 이의범 SG그룹 회장(사주)[* 공식 직함은 없다.][br][[임설아]] (상무이사)[br][[김효정(바둑 기사)|김효정]] 二단(이사) || || {{{#000000 '''기업 규모'''}}} || [[중견기업]] || || {{{#000000 '''상장 여부'''}}} || 비상장기업 || || {{{#000000 '''모기업'''}}} || [[SG그룹]] || || {{{#000000 '''직원 수'''}}} || 25명내외 || || {{{#000000 '''링크'''}}} || [[http://www.kbaduk.com/mai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twitter.com/koreabaduktv|[[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5&theme=dark]]]][* [[2013년]] 이후 운영 중단.] [[https://www.youtube.com/channel/UC_K4QtbZcrc9Y_RmpeBJ9k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바둑 전문 방송 채널이다. == 상세 ==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606번길 47(舊 [[삼평동]] 655) SG타워 8층에 위치해 있다. [[SG그룹]]에 인수되기 이전까지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역]] [[역세권]]에 위치하였으나, SG그룹이 인수하면서 [[판교테크노밸리]]에 있는 SG그룹[* [[SG세계물산]]으로 이전하였다. 주요 계열사로는 [[SG골프]], [[SG세계물산]], [[SG신성건설]], [[SG충방]]이 있다.] 본사로 입주했다. 따라서 대한바둑협회 산하방송국이라는 타이틀이 SG그룹 산하방송국으로 변경되었다. 실질적인 경영권자는 이의범 SG그룹 회장이다. 유튜브(K바둑)를 통해 생방송을 비롯 많은 컨텐츠를 볼 수 있으며[* 카카오TV를 통해서 볼 수도 있으나 모종의 사정으로 인해 침체기를 겪은 끝에 주력 플랫폼이 변경되었다.] TV매체 외에 온라인으로는 현재 KT의 [[Seezn]]을 통해 실시간 방송을 볼 수 있다.[* 이전엔 [[에브리온TV|에브리온]]과 [[현대 HCN 모바일 TV|현대 HCN]]에서 서비스한 적이 있다. 전자는 서비스종료이지만 이에 따라 그대로 서비스가 이관되었던 후자는 실시간서비스 한정해서 종료하게 됐다.] [[스포츠]] 채널로, [[바둑]]보급을 위한 목적으로 [[2002년]] [[스카이라이프]]가 창업하였다. 처음 명칭은 SKY바둑채널. 그러다가 [[2009년]] [[IPTV]] 서비스가 시작되고, [[2012년]] [[한국기원]]과의 협의를 통해 [[케이블 방송]]에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채널명을 한국바둑방송(K-바둑)으로 변경, 지금은 [[KT스카이라이프]], [[IPTV|KT ollehTV/ SK btv / LGU+]], [[케이블 방송]] 모든 플랫폼과 모든 지역에서 K바둑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도 채널번호 및 시청가능 여부에 대한 문의가 유튜브를 통해서든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서든 드물지만 꾸준히 나오고 있다(...).[* 현재는 문서의 작성기록상으로만 남았지만, 그에 대한 영향으로 채널번호에 대해서 기재된 것도 이 때문.] [[2016년]]까지 한국바둑방송이 정식 명칭이고 약칭이 K-바둑이었으나, [[2017년]] [[SG그룹]]이 K-바둑을 인수하면서 하이픈을 삭제한 K바둑이 정식명칭이 되었고, 한국바둑방송은 회사명으로만 존재한다. - 재개국 [[2017년]] [[10월 1일]]부로 K바둑으로 새롭게 단장하며, 이 날을 '''재개국'''으로 잡고 '''이세돌의 시선, 알파고를 말하다''' [[2017-18 SG신성건설배 프로암 바둑리그|SG신성건설배]], [[SGM배 2017-18 월드바둑 챔피언쉽|SGM배 - 복면기왕]], [[제1회 BnBK 여자아마연승대항전]] 등 대국방송을 늘리며, 시청자들에게 점점 좋은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특히 복면기왕[* SG'M배 월드바둑챔피언쉽의 부제]은 기존의 바둑 대국의 틀을 깨며, 시청자들이 "어? K바둑, 뭔가 새로운데..."라는 느낌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시발점이자 원동력이 되었다. - 꾸준한 신기획 이후 꾸준히 새로운 기획을 시도하며 바둑애청자들이 좋아하는 송아지삼총사(최철한, 원성진, 박영훈)에게 시청자가 도전하는 [[미션임파서블 ~송아지 삼총사를 이겨라!~|미션임파서블]][* 부제가 "송아지 삼총사를 이겨라"가 아닌 "송아지 삼총사를 '''잡아라'''"로 착각하는 경우도 있는 듯], 대국 중 기사들의 생각을 인터뷰하는 '''반상이몽''', 레전드(이창호, 유창혁)와 최고인기여자기사들의 대결을 주제로 하는 '''이유있는 대결''' 등 K바둑의 슬로건인 '바둑이 재밌다'에 맞는 프로그램들을 개발하며 옆동네의 딱딱하고 고루한 대국일색 프로그램에 대적하고 있다. - 바둑계의 레젼드 스타들을 위한 기획도 꾸준히 2019년 바둑계 최고의 스타 이세돌이 은퇴할 때, '''굿바이 이세돌 - 이세돌 vs 한돌 3번기'''로 한국기원이 아무것도 진행하지 않은 스타의 은퇴대국을 K바둑이 국내 최강의 인공지능인 한돌과의 대결을 성사시켰고, 특히 마지막경기는 이세돌의 고향인 신안군에서 어머니와 신안 비금도 주민이 함께 응원하는 대국을 진행하는 세심함으로.... 그의 바둑인생 24년 4개월 프로기사 생활의 아름다운 피날레를 장식해 주었다. - 2020년 조훈현 국수의 바둑계 귀환, 그의 첫번째 시선은 "바둑계의 미래" 조훈현의 바둑이 이창호로 이어져 다시 새로운 세대로 이어진다는 기획의 '''날개를 펼쳐라 - 조훈현, 이창호 vs 청소년 국가대표'''는 청소년 국가대표 8인이 바둑계 레전드와의 대국을 통해 비상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했다. 또한 어느 날 조훈현 국수가 밝히기를 앞으로는 리그 선수로서가 아닌 이벤트 기전과 같은 비공식 기전들에만 모습을 보인다고 밝혔다. - 2020년 코로나로 세계대회가 없을 때 K바둑은... 국수전 이후 없어졌던 도전기의 부활과 동시에 8명의 탑랭커 기사들의 풀리그전인 [[최고 기사 결정전|쏘팔코사놀 최고기사 결정전]]을 통해 역시 "K바둑은 다르다"는 평가를 받았다. - 2020년 세계대회의 온라인기전화 이후, 그리고.. 추석특집으로 형제자매페어(안형준/안성준 - 김채영/김다영), 부자父子페어(박영훈 부자 - 원성진 부자), 부부페어(오정아/이영구 - 김신영/허영호), 절친페어(김지석/강동윤 - 최정/오유진)의 형태로 페어 이벤트기전을 방영하기도 했다. 이후 방송통신위원회 선정 2020 방송대상에서 '제작역량우수상'을 수상받게 됐다. 이 상은 200여개 방송채널 중 수준높은 제작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제작역량평가에서 받은 채널에 주어지는 상이다. 그리고 한국현대바둑 75주년을 맞아 특집 다큐멘터리 "[[국수(동음이의어)#s-1|국수(國手)]], 새로운 길을 열다"가 바둑의 날 당일인 11월 5일 선보이겠다고 밝혔고 그 날 밤 9시에 방영한다.[* 보지 못한 이를 위해서 11월 6일 오후 3시 반, 11월 7일 저녁 6시에 재방송을 한다고도 알렸다.] K바둑이 밝힌 해당 프로그램의 취지는, "과거로부터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조남철부터 이세돌까지의 계보를 포함한다.], 인공지능에 의해 열린 새로운 길을 거침없이 걸어갈 이ㅡ새로운 국수(新_國手)ㅡ의 등장을 기대해보고자 함"이다. == 채널 런칭 현황 == === 서울 === || SO명 || MSO || 채널번호 || || (신)강서 ||<|4> SK케이블 ||<|4> 137 || || (신)광진성동 || || (신)서대문 || || (신)종로중구 || || 강남 ||<|4> 딜라이브 ||<|4> 132 || || 강동 || || 구로 || || 노원 || || 도봉강북(큐릭스) ||<|2> SK케이블 ||<|2> 137 || || 동대문 || || 동서 || CMB || 67-2 || || 동서울 || 딜라이브 || 132 || || 동작 || HCN || 534 || || 딜라이브서초 ||<|4> 딜라이브 ||<|4> 132 || || 마포 || || 북부 || || 서서울 || || 서초 || HCN || 534 || || 송파 || 딜라이브 || 132 || || 양천 || LG헬로비전 || 176 || || 용산 || 딜라이브 || 132 || || 은평 || LG헬로비전 || 176 || || 중랑 ||<|2> 딜라이브 ||<|2> 132 || || 중앙 || || 티브로드노원 || SK케이블 || 137 || || 한강 || CMB || 67-2 || || HCN(관악) || HCN || 534 || === 경기/인천/강원 === ||<-3> 경기[* 그런데 이후 확인해보니 (신) 위치에 있는 케이블SO가 사라져있다(...)] || || SO명(지역) || MSO || 채널번호 || || (신)기남(용인, 이천, 평택, 안성) || SK케이블 || 137 || || (신)나라(의정부, 포천, 동두천, 양주, 연천) || LG헬로비전 || 176 || || (신)수원(수원, 화성, 오산) || SK 케이블 || 137 || || 경기(고양, 파주) ||<|3> 딜라이브 ||<|3> 132 || || 경기동부(광주) || || 경동(구리, 남양주, 하남, 양평, 가평, 여주) || || 김포 ||<|2> LG헬로비전 ||<|2> 176 || ||<|2> 아름(성남) || || 단일[* 이 표시가 있는 경우는 MSO(LG헬로비전, SK케이블 등) 계열이 아닌 단일 SO이다] || - || || 우리(의정부, 포천, 동두천, 양주, 연천) || 딜라이브 || 132 || || 한빛(안산, 시흥, 광명) ||<|2> SK케이블 ||<|2> 137 || || ABC/안양(안양, 과천, 군포, 의왕) || ||<-3> 인천/강원[* 강원지역 개별 표기] || || SO명 || MSO || 채널번호 || || (신)남동 ||<|2> SK케이블 ||<|2> 137 || || (신)새롬 || || 남인천(--미추홀--송도, 연수구, 남구, 동구)[* SO의 관할지역이 변경되었다] || 단일 || 196 || || 북인천(부평, 계양) || LG헬로비전 || 176 || || 서해 || SK케이블 || 137 || || 강원 ||<|3> LG헬로비전 ||<|3> 176 || || (강원)영동 || || (강원)영서 || === 부산/대구/경상 === ||<-3> 부산/울산[* 울산은 개별표기] || || SO명 || MSO || 채널번호 || || (신)낙동 ||<|3> SK케이블 ||<|3> 137 || || (신)동남 || || (신)서부산 || || 금정 || LG헬로비전 || 176 || || 부산 || HCN || 514 || || 중부산 ||<|3> LG헬로비전 ||<|3> 176 || || 해운대--기장--[*16] || || --중앙(부산진)--CHV중앙[*16] || || (울산)--울산중앙--JCN울산중앙[*16] || 단일 || 123 || ||<-3> 경북/경남 || || SO명 || MSO || 채널번호 || || 경북 ||<|2> HCN ||<|2> 514 || || (경북)새로넷 || || (경북)신라 ||<|2> LG헬로비전 ||<|2> 176 || || (경북)영남 || || (경북)포항 || HCN || 514 || || (경남)가야 ||<|3> LG헬로비전 ||<|3> 176 || || 경남 || || (경남)마산 || || (경남)서경 || 단일 || 409 || || (경남)하나 || CJ헬로 || 125[* 공홈 업뎃이 안되어 있었다.] || ||<-3> 대구 || || SO명 || MSO || 채널번호 || || (신)대경 ||<|2> SK케이블 ||<|2> 137 || || (신)SK케이블대구 || || 금호 || HCN || 514 || || 대구 || SK케이블 || 137 || || 대구동부 ||<|2> CMB ||<|2> 67-2 || || 대구수성 || || 동구 ||<|2> LG헬로비전 ||<|2> 176 || || 수성 || || 푸른(달서구,달성군) || 단일 || 133 || || TCN대구 || SK케이블 || 137 || === 대전/충청[* 충남지역 개별 표기] === || SO명 || MSO || 채널번호 || || 동대전 ||<|2> CMB ||<|2> 67-2 || || CMB대전 || || 씨씨에스충북(충주, 제천, 단양 외) || 단일 || 154 || || HCN충북 || HCN || 514 || || (충남)(신)중부(천안, 아산) ||<|2> SK케이블 ||<|2> 137 || || --세종--[*누락] || || 충남(당진, 서산, 홍성, 예산, 태안, 청양) || LG헬로비전 || 176 || || (충남)충청 || CMB || 67-2 || === 전라/제주[* 전북지역과 전남지역 개별 표기] === || SO명 || MSO || 채널번호 || || (전북)(신)전주 || SK케이블 || 137 || || (전북)금강(익산, 군산) || 단일 || 776 || || 전북 || LG헬로비전 || 176 || || 전남 || CMB || 67-2 || || 전남동부(아라) ||<|2> LG헬로비전 ||<|2> 176 || || (전남)호남 || || 제주 || KCTV제주방송[* 4월 11일 런칭 확인] || 251 || == 주요 방송 == * [[내셔널 바둑리그]] - 2012년 처음으로 선보여진 아마추어 바둑리그로 지역연고제를 도입한 아마추어 바둑대회의 핵심으로 자리잡았다. * [[BASSO배 직장인 대항전]] - 상동. [[제9기 BASSO배 직장인 바둑대회|그 이후 열린 대회기록은 여기.]] 단 [[제10기 BASSO배 직장인 바둑대회|10기 대회]]만 기록이 되어있지 않고 있고, 대회도 11기 이후로 열리지 않고 있다..가 [[무궁화신탁배 직장동호인바둑대회|무궁화신탁 스폰서를 달고 대회를 재개]]하게 되었다. * [[바둑 비타민]] - 강좌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인기가 좋다. [[사이버오로]]를 통해 진행된다. → 현재 시즌5가 종영되었다. * [[SG배 페어바둑최강전]] * [[제1회 BnBK 여자아마연승대항전]] * [[SGM배 2017-18 월드바둑 챔피언쉽]] : [[페이스북|중국기사들이 재밌어합니다]]+처음보는 방식이라 당시 카카오TV 시청자들도 신기하다는 반응이기도 한 방송. 예선~64강 미중계, 32강~16강 본방송, 나머지 생중계. * [[최고 기사 결정전]] - [[쏘팔코사놀 최고 기사 결정전|남녀통합대회]]와 [[호반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여자대회]] 모두 이 대회의 주관 방송사이다. * [[날개를 펼쳐라|K바둑 특별기획 날개를 펼쳐라]](조훈현&이창호 vs 청소년 국대) * [[명인전]] - 5년 만에 재개되는 44기 대회부터 모기업인 SG그룹이 후원사로 참여하면서 주관방송사로 중계를 맡게 됐다. * [[대주배 남녀프로시니어최강자전]] * [[아마바둑열전]] [[분류:SG그룹]][[분류:바둑]][[분류:대한민국의 스포츠 채널]][[분류:레저 스포츠 채널]][[분류:2012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