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사운드 볼텍스]] [include(틀:사운드 볼텍스)] [목차] == 개요 == [[K-Shoot MANIA|케이슛 마니아]]에서 채보를 만들 수 있는 기능에 대한 문서이다. 게임상에서 언어 설정을 한국어로 설정 시 에디터 상에서도 한국어로 어느정도 번역되어 나오기는 하나, 최신 기능에 대해서는 번역이 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다. == 채보 작성 방법 == === 도구 === 선택 도구(오브젝트 선택), 연필 도구(오브젝트 삽입), 지우개 도구(오브젝트 삭제)를 사용하여 채보를 작성할 수 있다. ==== 위치 ==== 커서 위치를 정한다.[* 음악 재생 및 테스트 플레이 시작위치를 정할 수 있다.] 연필 도구로 할 시 BPM을 바꿀 수 있다. Ctrl+Alt+Click으로도 위치를 바꿀 수 있다. ==== BT노트 ==== 숏노트와 롱노트가 있으며 BT노트를 삽입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 FX노트 ==== 숏노트와 롱노트가 있으며 FX노트를 삽입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이펙트가 여러가지 있다. {{{#!folding [숏FX 이펙트] None clap clap_impact clap_punchy snare snare_lo}}} {{{#!folding [롱FX 이펙트] None Re Ga Flan BitC Pich Phase wo Tstop eco Sich}}} ==== 노브 ==== 노브 대신 laser로 표기되어있으며 왼쪽 노브와 오른쪽 노브가 있다. Ctrl+Shift+Click 또는 Ctrl+Shift+R-Click 으로 레인 이탈 노브를 만들 수 있다. {{{#!folding [노브 이펙트] PEAK HPF LPF BITC '''직각 노브 이펙트''' chokkaku chokkaku_up chokkaku_down chokkaku_swing chokkaku_mute}}} 노브 배치는 표준, 세밀하게, 가장 세밀하게가 있으며 곡선을 부드럽게 하는 등 으로 활용할 수 있다. ==== 화면 기울기 ==== 화면의 기울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folding [기울기 이펙트] NORMAL BIGGER BIGGEST KEEP(NORMAL) KEEP(BIGGER) KEEP(BIGGEST) ZERO}}} Ctrl+Click으로 수치를 정할 수 있다.[* 이를 잘 활용하면 만우절 맵을 구현 할 수 있다.] ==== 화면 회전 ==== 화면을 회전시킨다. 회전, 반회전, 용수철이 있다. 용수철 이펙트는 진동폭, 진동 횟수, 진동 감쇠 설정 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 화면 확대/축소 ==== 화면 상단/하단 을 확대/축소 시킬 수 있다. 잘 사용하면 [[I(BEMANI 시리즈)#s-2.2|생동감]]있게 만들 수 있고 잘 못 사용하면 [[グレイスちゃんの超~絶!!グラビティ講座w|역동적]]이게 된다. ==== 화면 멈춤 ==== 말 그대로 화면을 멈출 수 있다. ==== horizontal lane movement ==== 레인 하단을 좌 우로 움직일 수 있다. ==== 비트 ==== 비트수에 따라 오브젝트 입력 간격이 달라진다. 4비트, 8비트, 12비트, 16비트, 24비트, 32비트, 48비트, 64비트, 96비트, 192비트가 있으며 각각 1/4, 1/8, 1/12, 1/16, 1/24, 1/32, 1/48, 1/64, 1/96, 1/192로 표기되어있다. ==# 단축 키 #== Ctrl+N 새로 만들기 Ctrl+O 열기 Ctrl+s 저장 Ctrl+Shift+S 다른이름으로 저장 Ctrl+Alt+R REAPER 프로젝트로 내보내기 Ctrl+Z 실행 취소 Ctrl+Y 반복 Ctrl+X 잘라내기 Ctrl+C 복사 Ctrl+V 붙혀넣기 Delete 삭제 Ctrl+A 모두 선택 Ctrl+D 선택 해제 Ctrl+R 선택 노트를 좌우 반전 Ctrl+Shift+R 선택 노트를 랜덤 배치 Ctrl+Shift+C 선택 화면 확대/축소 복사 Shift+Delete 선택 화면 확대/축소 삭제 Ctrl+T 채보 데이터 설정-전반 Ctrl+Shift+T 채보 데이터 설정-상세 Ctrl+Alt+V 트레이싱 보기 Ctrl+Alt+O 트레이싱 불러오기 P 선택 도구 N 연필 도구 E 지우개 도구 O 위치 H 숏 BT J 롱 BT K 숏 FX L 롱 FX Q 왼쪽 노브 W 오른쪽 노브 G 노브 효과음 볼륨/종류 V 직각 노브 효과음 볼륨/종류 S 회전 이펙트 R 기울기 이펙트 Z 화면 상단 확대/축소 X 화면 하단 확대/축소 C horizontal lane movement F 화면 정지 Ctrl+4 1/4 Ctrl+8 1/8 Ctrl+2 1/12 Ctrl+6 1/16 Ctrl+Shift+4 1/24 Ctrl+Shift+2 1/32 Ctrl+Shift+8 1/48 Ctrl+Shift+6 1/64 Ctrl+Shift+9 1/96 Ctrl+Shift+1 1/196 Space 재생/정지 Ctrl+Alt+t ASSICT TICK 활성화 F5 테스트 플레이 F11 테스트 플레이(오토) F6 커서 위치에서 테스트 플레이 F12 커서 위치에서 테스트 플레이(오토) ==# 커스텀 기능 #== 기본적으로는 위의 기능들만으로도 일반적인 채보 구현이 가능하나, 일부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파일 내부를 수정해서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666(BEMANI 시리즈)]]처럼 트랙이 분리되는 기능이라던가, [[PANIC HOLIC]] GRV 채보처럼 노브만 배치된 상태에서 FX 롱노트의 음향 효과를 내고자 할 경우, 에디터로는 구현이 불가능하고 직접 파일 내부에서 수정을 진행해야 한다. 파일 수정은 ksh 파일을 메모장 등 텍스트 에디터 파일을 이용해서 열면 편집이 가능하다. 해당 효과들을 구현한 ksh 채보를 통해 구현을 어떻게 했는지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define_fx 커스텀 fx 효과를 만들 수 있다. 수치를 조절한다면 노브 효과를 fx 롱노트로도 구현이 가능해진다. #define_filter 커스텀 fileter 효과, 즉 노브에 별도의 효과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치를 조절한다면 Retrigger 효과를 구현해서, [[PANIC HOLIC|노브만 있는데도 16분박 반복재생 효과]]를 낼 수 있다. 두 기능은 fx 롱노트와 노브에 효과를 미리 정의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채보 맨 아래에 별도로 적어놓고 사용된다. 이후 공식 에디터에서 효과를 선택할 때, 잘 적용되었다면 커스텀으로 만든 효과가 등장하게 된다. center_split [[666(BEMANI 시리즈)|트랙이 가운데에서부터 분할되는 기능이다.]] 사용법은 center_split = 150 형태로 채보 사이에 원하는 타이밍에 삽입한다. center_split = 0이 디폴트로, 정상적인 트랙은 이 값을 기준으로 붙어져 있다. 참고로 center_split = 150일 경우, 라인 한 칸 만큼 분리가 된다. 서로 다른 수치를 입력한 값이 떨어져 있을 경우, 그 사이에서는 1차 함수 형태로 수치가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