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clude(틀:KBO 리그 응원단장)]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64&article_id=0000004368&date=20150327&page=1|'10번 타자들의 대장' 나는 응원단장이다]] 구단 순서는 가나다순. * 참고 저서: 프로야구 관중의 응원활동만족이 응원활동 효과에 미치는 영향-응원활동만족 하위요인을 중심으로-([[홍창화]], 2014년) == 현재의 구단 == === [[KIA 타이거즈]] === [include(틀:KIA 타이거즈 응원단장)] === [[두산 베어스]] === [include(틀:두산 베어스 응원단장)] === [[롯데 자이언츠]]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응원단장)] === [[삼성 라이온즈]] ===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 응원단장)] === [[키움 히어로즈]] === [include(틀:키움 히어로즈 응원단장)] === [[한화 이글스]] === [include(틀:한화 이글스 응원단장)] === [[kt wiz]] === [include(틀:kt wiz 응원단장)] === [[LG 트윈스]] === [include(틀:LG 트윈스 응원단장)] === [[NC 다이노스]] === [include(틀:NC 다이노스 응원단장)] === [[SSG 랜더스]] === [include(틀:SSG 랜더스 응원단장)] == 이전 구단 == === [[현대 유니콘스]] === 응원단장에 대한 기록이 별로 남아있지 않다.[* 단, 최소 [[태평양 돌핀스]] 시절부터 응원단장과 치어리더가 뛰기는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WyzP5NCTRQ|1994년 한국시리즈 3차전 경기. (6분 01초)]] ] ||||||<:><#000000> {{{#ffff00 현대 유니콘스}}} || ||<#009900><:> {{{#ffff00 순서}}} ||<:><#009900> {{{#ffff00 이름}}} ||<:><#009900> {{{#ffff00 기간}}} || ||<:> 1대 ||<:> [[김주일]] ||<:> 2002년 || ||<:> 2대 ||<:> 이치성 ||<:> 2003년~2005년 || ||<:> 3대 ||<:> [[심윤섭]][* 구단이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로 넘어갈 때 같이 넘어가면서 히어로즈 초대 응원단장이 되었다.] ||<:> 2006년~2007년 || == 그 외 == * 주전 선수인데도 자기 역할을 하지 못하고 벤치에나 앉아 경기하는 동료들 기운을 북돋아주는 선수들을 응원단장이라고 비하하기도 한다. [youtube(SF9fslVObOs)]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야구|인천 아시안게임 야구 준결승과 결승전이 열린 2014년 9월 27일과 28일]], 야구 도입 이래 최초로 9개 구단 응원단장이 한데 모여 한국 야구 대표팀을 응원했다. 선수 응원가에는 구단명 대신 '대한민국' 또는 '한국'이 들어갔다. 공통 응원가의 경우 라인업 송은 [[KIA 타이거즈]] 라인업 송을 불렀고 야구 응원가의 스테디셀러 [[아파트]]는 물론, 경기 막판에는 [[LG 트윈스]]의 '민족의 아리아'와 '승리의 노래'가, 심지어 [[한화 이글스]] 전매 특허 [[홍창화|육성 응원]]도 나왔다.[* 재미있는 사실은 홍창화 단장은 개인 사정으로 27일 준결승 응원에는 불참했는데 이날 나머지 8개 구단 단장들이 모두 나와 육성 응원을 주도했다.] 원래 계획은 타자별로 해당 타자 소속 구단 응원단장이 돌아가며 응원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본 경기에서는 이닝별로 1명씩 나와서 응원을 주도했다. 덕분에 야구 팬들은 각자 상이한 구단을 응원하던 응원단장이 한데 모여 한 구단을 응원하며 합동 공연을 펼치는(특히 [[두산 베어스|잠실]][[LG 트윈스|라이벌]] [[한재권|응원]][[오명섭|단장]]의 합동공연) 진귀한 경험을 했다며 난리가 났다. [[분류:KBO 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