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KBO 플레이오프)] [include(틀:역대 KBO 플레이오프 목록)] ---- [include(틀:2003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목차] == 개요 == ||<-2> {{{+2 {{{#ffffff '''삼성증권배 2003 프로야구 플레이오프'''}}}}}} || ||<:> [[파일:SK 와이번스 심볼(2000~2005).svg|width=140]] || [[파일:KIA 타이거즈 화이트 심볼(2001~2003).svg|width=120]] || ||<:> [[SK 와이번스|{{{#ffffff {{{+1 '''SK 와이번스'''}}}}}}]]|| [[KIA 타이거즈|{{{#ffffff {{{+1 '''KIA 타이거즈'''}}}}}}]] || ---- 2위 [[KIA 타이거즈|KIA]]와 준플레이오프를 통과한 [[SK 와이번스|SK]]의 맞대결로 이루어졌다. 전년도에 이어 정규리그 --[[콩라인]]-- 2위를 기록한 KIA와 삼성을 2연승으로 누르고 올라온 정규리그 4위 새내기 SK의 대결이였다. 당시, 스포츠사에서도 KIA가 [[스윕]]을 한다는 [[타이거즈는 어떻게 강팀이 되었나|기사]]가 꽤 [[설레발|있었다]]. 그렇지만 역시 [[뚜껑]]은 따야 아는법. 뚜껑을 열어보니 승자는 SK였다. == 일정표 == ||<-8> '''{{{#ffffff 2003 프로야구 플레이오프[br][[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VS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 || '''경기''' || '''경기 시간''' || '''경기장''' || '''AWAY''' ||<-2> '''결과''' || '''HOME''' || '''방송사''' || || '''1차전''' || [[10월 9일]] 18:00 ||<|2> [[무등 야구장]] ||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 '''4''' || 1 ||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 [[KBS N SPORTS|[[파일:KBS N SPORTS 로고(2006~2014).svg|width=80]]]] || || '''2차전''' || [[10월 10일]] 18:00 ||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 '''2''' || 0 ||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 [[SBS|[[파일:SBS 로고.svg|width=50]]]] || || '''3차전''' || [[10월 12일]] 14:00 || [[인천 SSG 랜더스필드|문학 야구장]] ||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 4 || '''10''' ||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50]]]] || === 경기 내용 === ==== 1차전 ==== ===== 스코어보드 ===== ||<-15> {{{#ffffff '''플레이오프 1차전, 10월 9일 목요일, [[무등 야구장|{{{#ffffff 무등 야구장}}}]] 14,000명 (매진)'''}}}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dcdcdc,#222222> '''B''' || || '''[[SK 와이번스|{{{#ffffff SK}}}]]''' || [[채병용]] || 1 || 1 || 0 || 2 || 0 || 0 || 0 || 0 || 0 || '''4''' || - || - || - || || '''[[KIA 타이거즈|{{{#ffffff KIA}}}]]''' || [[김진우(1983)|김진우]] || 0 || 0 || 0 || 0 || 0 || 0 || 1 || 0 || 0 || '''1''' || - || - || - || ||<-15> '''중계 방송사 : [[KBS N SPORTS|[[파일:KBS N SPORTS 로고(2006~2014).svg|width=80]]]] | 캐스터 : 권성욱 | 해설위원 : 하일성''' || ▲ MVP : [[채병용]] ▲ 승리투수 : [[채병용]](SK) ▲ 패전투수 : [[김진우(1983)|김진우]] ▲ 세이브 투수 : [[김원형]] ▲ 홈런: [[안재만]] (4회 2점) 이상 SK ===== 상세 ===== 20대 초반의 신예 투수진이었던 채병용과 김진우의 맞대결이었다. 하지만 SK가 김진우를 상대로 선취점을 내며 김진우를 끌어내렸고, 채병용의 호투와 마무리 등판을 한 김원형의 호투로 가볍게 승리했다. ==== 2차전 ==== ===== 스코어보드 ===== ||<-15> {{{#ffffff '''플레이오프 2차전, 10월 10일 금요일, [[무등 야구장|{{{#ffffff 무등 야구장}}}]] 10,171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dcdcdc,#222222> '''B''' || || '''[[SK 와이번스|{{{#ffffff SK}}}]]''' || [[트래비스 스미스|스미스]] || 0 || 0 || 0 || 0 || 2 || 0 || 0 || 0 || 0 || '''2''' || - || - || - || || '''[[KIA 타이거즈|{{{#ffffff KIA}}}]]''' || [[마이크 존슨|존슨]]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 || - || ||<-15> '''중계방송사: [[SBS|[[파일:SBS 로고.svg|width=50]]]] | 캐스터: 배기완 | 해설: 박노준''' || ▲ MVP : [[조원우]] ▲ 승리투수 : [[트래비스 스미스]][* 의외로 외국인 선수들 중에서 시즌 내내 [[안경]]을 착용하고 등판한 선수였다.] ▲ 패전투수 : [[마이크 존슨]][* 6년 뒤 한국 야구에 다시 노크를 하지만, 시즌 초반에 털려서 방출 당한다.] ▲ 세이브 투수 : [[조웅천]] ▲ 홈런: [[조원우]](5회 2점) 이상 SK ===== 상세 ===== 그야말로 양 팀 타선이 모두 --물빠따-- 빈타로 허덕이던 경기였는데 당일 SK [[조원우(야구)|조원우]]의 2점 홈런이 결승점이 되었다. 단기간 싸움답게 집중력을 선보였던 경기. ==== 3차전 ==== ===== 스코어보드 ===== ||<-15> {{{#ffffff '''플레이오프 3차전, 10월 12일 일요일, [[인천 SSG 랜더스필드|{{{#ffffff 문학 야구장}}}]] 30,400명 (매진)'''}}}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dcdcdc,#222222> '''B''' || || '''[[KIA 타이거즈|{{{#ffffff KIA}}}]]''' || [[다니엘 리오스|리오스]] || 0 || 2 || 1 || 0 || 1 || 0 || 0 || 0 || 0 || '''4''' || - || - || - || || '''[[SK 와이번스|{{{#ffffff SK}}}]]''' || [[조진호(야구)|조진호]] || 2 || 0 || 4 || 4 || 0 || 0 || 0 || 0 || - || '''10''' || - || - || - || ||<-15> '''중계방송사: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50]]]] | 캐스터: 표영준 | 해설: 하일성''' || ▲ MVP : [[박경완]] ▲ 승리투수 : [[김원형]] ▲ 패전투수 : [[이강철]] ▲ 홈런: [[이진영]](1회 2점), [[이재주]](2회 2점), [[박경완]](4회 3점) ===== 상세 ===== 벼랑에 궁지에 몰린 KIA는 [[다니엘 리오스]]를, 이미 2승 고지에 오른 SK는 [[조진호(야구)|조진호]]를 선발로 냈다. 1회 말 SK [[이진영]]이 [[다니엘 리오스]]의 슬라이더를 받아쳐 2점 홈런을 쳤고, KIA는 2회 [[이재주]]가 동점 2점 홈런으로 추격하고 3회 초에는 역전을 했지만, 다시 3회 말 두 번째 투수 [[이강철]]이 이진영의 타구에 발목을 맞는 부상을 입고, SK는 [[김기태(1969)|김기태]], [[이호준]]의 연속 안타로 다시 동점을 만들었다. 그리고 포일-볼넷으로 무사 만루를 만든 SK는 정경배의 희생플라이로 역전에 성공했고, 2사 2-3루 찬스에서 대타 [[양현석(야구선수)|양현석]]이 2타점 우전 적시타를 쳐 순식간에 6-3이라는 스코어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4회 말에는 [[김기태(1969)|김기태]]의 적시타, [[박경완]]의 쐐기 3점포가 터져 경기는 이미 SK로 흘러갔다. 그리고 만원관중이던 SK 팬들은 그야말로 난리법석이였는데 '''[[현대 유니콘스|인천을 버린 그 팀]]과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제대로 한판 붙을 수 있었기 때문]].''' SK 선수들도 큰 대회에서도 지지 않고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졌다. --[[이제 만나러 갑니다|이제 배신자들을 잡으러 가겠습니다.]]-- 참고로 이 경기는 [[인천 SSG 랜더스필드|문학 야구장]] 개장 이후 처음으로 만원사례를 이룬 SK 홈경기였다.[* 개장 이후 첫 만원사례는 2002년 올스타전이었고 정규시즌 홈경기 첫 만원사례는 2005년 홈 개막전이었는데 이 경기의 상대도 KIA였다. 해당 경기 이후 다음 매진은 그로부터 2년 뒤인 2007년 5월 [[이만수]] 전 수석코치의 팬티 퍼포먼스 발언 경기도 KIA전.] === 결과 === ▲ 플레이오프 MVP : [[이진영]] 10타수 8안타 타율 '''0.800''' 1홈런 2타점 SK가 3승 무패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 [[SK 와이번스]] ==== ==== [[KIA 타이거즈]] ==== KIA는 전년도와 똑같이 공격에만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 [[김성한]] 전 감독의 삽질로 광탈했다.[* 결국 2002년~2003년 2년 연속으로 플레이오프에서 고배를 마신 김성한 전 감독은 KIA 구단과 마찰을 빚기 시작했고 이듬해 시즌 중 경질되고 만다. --그리고 [[유남호|후임]][[서정환|감독]]들에 의해 KIA는 두 차례나 꼴찌까지 곤두박질친다. 김기아.--] 이번 3연패로 KIA는 해태시절보다 더 못해졌다고 까였다. 덤으로 투수코치였던 [[김봉근(야구)|김봉근]] 전 코치를 신뢰하지 않았던 점 역시 KIA의 광탈에 한 몫 했다. 2003년 초까지만 해도 김봉근은 KIA의 투수코치였으나 김성한 전 감독과의 불화로 인해 시즌 중 팀을 나왔고, 이에 SK가 김봉근 전 코치를 영입했는데, 이미 KIA의 분석을 파악하고 '''[[김정준]]''' 전 분석원에게 전달을 했다.[* 우리가 알고있는 그 '''김성근'''의 아들 맞다. 현역시절 일찍이 은퇴하고 바로 전력분석원으로 뛰었다. 흔히 김정준이 아버지 김성근이 부임한 2007년부터 SK 전력분석팀에 들어온 줄 아는 사람들이 많으나, 바로 전년도까지만 해도 아버지 김성근이 있던 LG의 전력분석팀에 있었다가 김성근이 경질당한 후 곧바로 SK로 이적, 2003년부터 SK 전력분석팀으로 재직하기 시작했다.] 결론은 김성한 전 KIA 감독의 미숙한 단기전 운용 능력과 쓸놈쓸이 더해지며 광탈하게 된 것.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한국프로야구/2003년 포스트시즌, version=101)] [[분류:KBO 플레이오프]][[분류:KIA 타이거즈/2003년]][[분류:SK 와이번스]][[분류:한국프로야구/200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