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주요 방송사별 선거방송 브랜드)] [include(틀:KBS NEWS)] ||<-2>
[[파일:2022 지방선거 KBS 개표방송 로고.png|width=70%]] || || {{{#ffffff ''' 방송사 ''' }}} ||[[한국방송공사|[[파일:KBS 로고(1984-2023).svg|width=50]]]] || || {{{#ffffff ''' 기획 / 제작 ''' }}} ||[[한국방송공사/뉴스 프로그램|KBS 보도국]] || || {{{#ffffff ''' 방송 시간 ''' }}} ||법정선거일 16:00 ~ 익일 03:30 || || {{{#ffffff ''' 링크 ''' }}} ||[[https://news.kbs.co.kr/special/election2022/president/index.html?ref=pGnb| [[파일:kbsnews_new.jpg|width=30]] 공식홈페이지]][br][[https://www.youtube.com/channel/UCQGJRTA3kxbII8dpJFlA_e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8]] KBS 선거방송기획단]] || [목차] == 개요 == >'''선택! 대한민국'''[* 2012년 제18대 대선부터 2018년 지방선거까지 사용한 KBS 개표방송의 슬로건이자 부제이다. 참고로 2012년 19대 총선때는 '선택! 300'을 부제로 사용했었다.]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0년 21대 총선부터 사용중인 KBS 개표방송 타이틀.] [[KBS]]의 [[선거방송]] 프로그램.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전국동시지방선거]] 등 주요 법정선거일에 방송하며, [[재보궐선거]]에 대해서도 작게나마 방송하기도 한다. KBS가 개표방송을 진행한 역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때까지 내려갈 정도로 오래되었고, TV로 쳐도 1963년부터 시작되었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다만 1971년 총선 때부터 1987년 대선까지는 TBC, MBC 등 타 방송사와 공동으로 개표방송을 진행하기는 했다.] 2004년 총선 때까지는 별도 브랜드 없이 진행하다가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K'마크가 들어간 로고를 선거방송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2010년까지는 크고작은 세 개의 네모에서 큰 네모에 'K' 가 들어간 로고를 사용하다 2012년 총선은 조각보 컨셉의 육각형 형태의 'K' 마크를 사용했다. 2012년 대선부터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이 사용된 'K' 마크가 정착되었는데 2016년 총선에는 여기에 그래픽 요소가 추가된 'K', 대선 때는 열린 창문으로 날아가는 새를 형상화 해 'K'마크를 만드는 등 여러가지 바리에이션이 있었다.] 2020년 21대 총선 부터 ''''내 삶을 바꾸는 선택\''''으로 타이틀이 정해졌다.[* 내 삶을 바꾸는 선택 (선거년도, 선거명).] 기획 및 제작은 KBS 보도본부에서 맡고 있으며, 진행은 KBS 보도본부 소속 [[기자]]들과 [[아나운서]]들이 맡는다. 통상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전국동시지방선거]] 개표방송 시간은 선거 당일 오후 16시부터 다음날 새벽 3시 30분까지이며, 중간에 메인뉴스인 [[KBS 뉴스 9]]가 밤 21시부터 시작을 해서 밤 22시까지 방송하게 된다. KBS지역총국의 경우, 방송 중간 중간에 지역 개표 방송과 특집 지역 KBS 뉴스 9를 내보내고, 다시 본사로 내보내면서 방송을 하게 된다. [[KBS 1TV]]의 경우 밤새도록 개표 방송을 해서 오전 5시에 방송하는 특집 [[KBS 뉴스광장]]으로 이어지고, [[KBS 2TV]]는 정상적으로 정규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1TV와 동일하게 하단 자막으로만 개표 상황을 알려준다.[* KBS 2TV에서 저녁 메인뉴스가 편성되었을때는 개표상황을 일부나마 전하기라도 했지만 저녁 메인뉴스가 폐지 된 이후로는 그냥 100% 정규방송이다. 사실 2TV에서 메인뉴스가 편성되었을때도 편성시간을 특별히 늘려주는 식의 편성을 한것은 아니었고 편성시간을 늘리더라도 1시간 방송이 고작이었다.] 공영방송이기도 하고 중장년층, 노년층이 선호하다 보니 방송의 스타일은 상당히 정형적. 깔끔한 진행을 보여주어 좋다는 이들도 많다. ~~물론 NHK 개표방송에 비하면 예능감이 넘치기는 하다.~~[* 역시 이렇게 된 배경은, 2010년 MBC의 선택 2010과 2012년 SBS의 2012 국민의 선택에서부터 출발한 선거방송의 예능화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미 2000년 총선과 2004년 총선 개표방송 때에는 3D 캐릭터를 내세워서 투표를 독려하거나 2002년 대선과 2004년 총선, 2006년 총선, 2007년 대선 때는 개그콘서트 출연진이나 스펀지 출연진을 불러와서 콩트나 코너를 마련하거나 2007년 대선때는 후보들이 텔미 춤을 추게 만드는 등 최소한 그 이전에도 NHK에 비하면 충분히 예능감이 넘치는 모습을 보여줬다. ~~총선 출구조사만한 예능감을 뽑아내지 못했을 뿐~~ ] 이러한 것은 카운트다운이나 메인 진행자 선정에서도 확연히 느껴진다. 2014, 2016년에는 중견기자인 [[홍기섭]], 박영환 기자를 선정하면서 카운트다운도 여자 아나운서와 제대로 못 맞추기도 했고(...), 해당 년도에는 최소한의 3D 그래픽과 스크린에 타이머만 놓는 등 상대적으로 화려하지 않는 다는 느낌이 많다. 보통 10초 이후부터는 매 초마다 장면을 전환시키는데 KBS는 그러지 않는 것으로 보아 정형적인 스타일을 선호하는 이들에게 호평받고 있다. == 디시전 K → 디시전 K+ == '디시전 K'는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KBS 개표방송의 당선자 예측 시스템으로 개표 5% 시점에서 가동을 시작한다. 디시전 K의 경우 당선 확률에 따라 95% 이상이면 유력을, 99% 이상이면 확실, 그리고 [[매직넘버(선거)|매직넘버]]가 '0'이 되는 순간 당선으로 판정을 내리고 있다. 대선에서는 예측 득표수의 범위를 그리고 총선에서는 디시전K를 기반으로 한 예상 의석수를 보여준다. KBS 개표방송의 경우 매 개표방송 때 마다. 출구조사 발표 후와 개표에 들어가기 전 사이에 '디시전 K'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제20대 대선]]에서는 이를 업그레이드한 버전인 '디시전 K+'를 선보였는데 방송 3사의 당선 예측 프로그램 가운데 가장 먼저 유력 후보와 확실 후보를 정확하게 판정했다. == 영상 == === 오프닝 === ||
[youtube(IwdOGSbEc00)] || || {{{#ffffff '''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2 대통령선거 - 오프닝''' }}} || ||
{{{#ffffff '''1. KBS K 2012 개표방송 (총선) - 오프닝''' }}} || [[https://youtu.be/yj1DT0eaUpA|#]] || ||{{{#ffffff '''2. KBS K 2016 개표방송 - 오프닝''' }}} || [[https://youtu.be/TLQ69iG5EpI|#]] || ||{{{#ffffff '''3. KBS K 2017 개표방송 - 오프닝''' }}} || [[https://youtu.be/P5m_QoVblqo|#]] || ||{{{#ffffff '''4. KBS K 2018 개표방송 - 오프닝''' }}} || [[https://youtu.be/J8YakPEs-yU|#]] || ||{{{#ffffff '''5. 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0 총선 - 오프닝''' }}} || [[https://youtu.be/OGebFN11kIY|#]] || ||{{{#ffffff '''6. 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1 재보궐선거 - 오프닝''' }}} || [[https://youtu.be/qj0QrPgKUjg|#]] || ===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1996년 총선 출구조사때부터 2004년 총선 개표방송때까지는 뚜! 뚜! 뚜! 뚜! 하는 시보음과 함께 시보가 나온 뒤에 땡!하는 소리가 나오면 출구조사가 발표되는 식이었고 2007년 대선 개표방송때까지도 출구조사 발표직전에 시보가 나오는 식이었다. 현재와 같이 화면에 "30, 29, 28..."식으로 숫자를 세는 카운트다운을 세게 된건 2008년 총선 개표방송부터로 의외로 오래되지는 않았다.] === ||
[youtube(-kXri4QvVes)] || || {{{#ffffff ''' 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2 지방선거 -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 }}} || ||<(>
{{{#ffffff '''1. KBS K 2012 개표방송 (대선) -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 [[https://youtu.be/IV2gGJPZ5d0|#]] || ||{{{#ffffff '''2. KBS K 2014 개표방송 -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 [[https://youtu.be/rpMxhe3Zytw|#]] || ||{{{#ffffff '''3. KBS K 2016 개표방송 -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 [[https://youtu.be/xKZ_y373eJs|#]] || ||{{{#ffffff '''4. KBS K 2017 개표방송 -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 [[https://youtu.be/FxIoxsvxwOk|#]] || ||{{{#ffffff '''5. KBS K 2018 개표방송 -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 [[https://youtu.be/jkvCN5Ddxko|#]] || ||{{{#ffffff '''6. 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0 총선 -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 [[https://youtu.be/bjVtaGD7rG8|#]] || ||{{{#ffffff '''7. 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1 재보궐선거 -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 [[https://youtu.be/6hlIc802xnM|#]] || ||{{{#ffffff '''8. 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2 대통령선거 -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 [[https://youtu.be/zb31Yb7G7JU|#]] || == 역사 == ||
[youtube(OyapB1q6mcc)] || || {{{#ffffff ''' KBS K 개표방송 - 변천사 ''' }}} || * 1990년대 KBS에서는 자동응답 방식으로 개표상황을 집계했는데 전화로 득표수를 입력하면 이것이 KBS 컴퓨터에 집계되어 개표 상황을 전한다. 이후 1996년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열었고, 1997년에는 PDA를 지급해 개표상황을 입력하여 집계했다. 그리고 95년에 '프리즘 젬'이라는 문자그래픽 시스템을 만들었는데 97년 15대 대선에서 KBS가 히트시킨 전설의 주유미터기 그래픽이 바로 '프리즘 젬'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것이었다. 주유미터기 덕에 97년 대선 당시 KBS 개표방송은 무려 '''40퍼센트가 넘는 시청률'''을 자랑했었다. * 2000년이랑 2004년 총선에는 사이버 캐릭터를 활용하기도 했으며 2007년에는 대선 후보들을 그래픽으로 캐릭터화시켜 마라톤을 만들기도 했다. * 2012년 총선에는 한국 전통미를 살린 디자인을 선보였는데 세트 디자인에 그 요소를 차용하였고 전체적인 그래픽의 컨셉은 조각보를 그래픽의 모티브로 삼았다. 대선에는 불후의 명곡을 패러디한 그래픽과 광화문 KT사옥에 설치한 미디어파사드가 주목을 받았다. * 2014년 지방선거는 KBS 파업의 여파로 밋밋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 2016 K 총선 개표방송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선거방송의 보도 대상인 선거, rd1=제20대 국회의원 선거)] {{{+1 '''기자간담회'''}}} ---- ||
[youtube(ZZG9C8eeTEo)] || || {{{#ffffff ''' KBS K 2016 개표방송 - 기자간담회 ''' }}} || --이제서야-- KBS에서 이번 개표방송의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오프닝은 기존 2014 지방선거와 비슷하게 무난한 영상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국회|국회]] 로텐더홀과 KBS 신관 공개홀과의 이원생방송을 예고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정적인 KBS 선거방송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태양의 후예]] VIPON을 쓸 것이라는 복선이 깔렸고, 박영환, 엄지인, 김솔희, [[조우종]] 4인 앵커체제로 역시 지방선거와 비슷하게 흘러가는 양상이다. 패널로는 김형준 [[명지대]]교수,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 조진만 [[덕성여대]] 교수, 김석호 [[서울대]] 교수, 김영원 [[숙명여대]] 교수가 참여하여 역시 KBS다운 (...) 섭외력을 자랑한다. {{{+1 '''본 방송'''}}} ---- * 2시 9분에는 [[허준]]이 각 후보자들을 찾아다니며 [[먹방]]을 하고 있었다...~~삼선짬뽕을 먹던 노회찬 후보자의 삼선 드립은 덤~~ * 이번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포털사이트인 [[네이버]]과 제휴하여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http://news.naver.com/main/election/index.nhn|Naver 뉴스 x KBS와 함께 합니다]] * [[http://www.hankookilbo.com/v/414c9626ffcaf80a72e69de63d2f7487|주요 투표소에]] <트위터 미러>[* [[백상예술대상]]과 지상파 연말시상식에서 나오는 그 실시간 방송 맞다] [[http://www.hankookilbo.com/v/414c9626ffcaf80a72e69de63d2f7487|를 설치한다는 보도자료가 나왔다]] === 2017 K 대선 개표방송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선거방송의 보도 대상인 선거, rd1=제19대 대통령 선거)] ||<-2>
[[파일:external/news.kbs.co.kr/logo_2017election.png|width=70%]] || || {{{#ffffff ''' 링크 ''' }}} || [[http://news.kbs.co.kr/special/election2017/main.html|공식 홈페이지]] || ||
[youtube(cRA26u3QY4Q)] || || {{{#ffffff ''' KBS K 2017 개표방송 - 모바일 ''' }}} || * KBS는 [[제18대 대통령 선거|지난 대선]]때 광화문에 미디어 파사드를 설치한데 이어 이번엔 광화문 광장에 '''스파이더 캠을 설치한다.''' 주로 월드컵이나 챔피언스리그 등 축구경기에서나 볼법한 장비를 개표방송을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해외 기술진의 자문을 구했으며 KBS는 여기에 더해 국내최초로 스파이더 캠이 담는 영상에 증강현실 그래픽을 입혀 출구조사와 실제 개표 등 다양한 개표그래픽을 보여줬다. * 지난 총선에서는 [[요리인류]]의 [[이욱정]] PD가 개표그래픽에 출연한데 이어 이번엔 '''[[전국노래자랑]]의 MC [[송해]]가 개표그래픽에 출연한다!''' 그래픽 이름은 '전국 노래자랑'을 패러디한 '전국 득표자랑'이다. 참고로 지난 대선때는 [[불후의 명곡|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를 패러디한 '불후의 명곡 - 대선을 노래하다'로 그래픽을 만들기도 했다. * 이외에도 드로잉이나 만화책 형식으로 연출한 개표그래픽을 사용했다. 격전지 개표상황의 경우 [[태권도]]를 소재로 그래픽을 만들었다. * KBS도 광화문 광장에 별도의 무대를 설치해 행사를 가졌다. * KBS 신관공개홀에 설치된 스튜디오는 K월과 K터치를 좌우 양쪽에 배치했으며 분석룸을 가운데 배치했다. K룸은 K월 바로 뒤에 배치했다. 또한 별도로 K존이라는 가상스튜디오를 운용했다. * <선택! 대한민국 LIVE - 대선 개표방송 같이 볼까?>라는 이름으로 별도의 모바일 개표방송도 진행했다. 진행자는 [[박소현(배우)|박소현]], [[강승화]], [[솔빈]], [[최욱]], [[정영진]]. === 2018 K 지선 개표방송(선택! 대한민국 - 우리의 미래)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선거방송의 보도 대상인 선거, rd1=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youtube(E6MzFGBDqRE)] || || {{{#ffffff ''' KBS K 2018 개표방송 - 예고편 ''' }}} || * 이번 개표방송은 "2018 선택! 대한민국 - 우리의 미래" 라는 제목으로 진행되며 메인앵커는 엄경철 취재주간과 김지원, 이각경 아나운서가 맡을 예정이다. * 지난 대선때 광화문광장에 이어 이번엔 여의도 KBS사옥 일대에 스파이더 캠을 설치한다. 지난 대선때 처럼 스파이더 캠으로 담은 영상에 증강현실 그래픽을 입혔다. 그 외에 각지역 풍경에도 역시 그래픽을 입혀서 사용한다. * 전체적인 세트 구성은 2016년 총선 개표방송과 비슷하게 설계되었다. 전문가들이 선거를 심층 분석하는 K포럼이 마련되어있으며 곡면스크린과 레일켐이 설치되어있다. * 전체적인 그래픽 컨셉은 새싹과 뿌리등 자연을 컨셉으로 삼았다. 그외에도 다양한 그래픽이 등장했다. * 먼저 많은 사랑을 받았던 KBS 드라마의 대표작들이 개표그래픽으로 활용되었다. 수도권은 [[태양의 후예]], 영남권은 [[구르미 그린 달빛(드라마)|구르미 그린 달빛]], 호남은 [[추노(드라마)|추노]], 충청권은 [[슈츠(한국 드라마)|슈츠]], 강원/제주는 [[황금빛 내 인생]]의 명장면 명대사들이 등장해 개표상황을 전했다. 이외에도 지난 대선에 등장했던 [[전국 노래자랑|전국 득표자랑]]이 다시 등장했다. * 국회의원 재보선 개표상황을 다룬 '기자가 뛴다'는 KBS 정치외교부 유호윤 기자가 출연해 각 해당 선거구 지역을 돌아다녔다. * 월드컵 개막에 맞춰 축구를 활용한 그래픽이 등장했다. * 각 지역 랜드마크를 찍어서 영상미를 담아낸 그래픽도 등장했다. === [[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0 총선|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0 총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0 총선)] ===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1 재보궐선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xOhYWazA9Q)]}}} || || {{{#ffffff '''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1 재보궐선거 - 전체 다시보기 ''' }}} || * 이 선거방송은 KBS 본사, 서울도서관 옥상(구 서울시청사), KBS부산방송총국, 부산 광안대교 일대에서 4원 생방송으로 진행했다. * KBS 본사 스튜디오는 2020년 총선에 이어 듀얼 K월을 중심으로 한 메인 세트를 다시 사용했다. [[KBS부산방송총국]]의 메인 뉴스 스튜디오에는 서울과 동일하게 K터치가 설치됐다. 구 서울시청(서울도서관)옥상에는 야외 특설 세트, 부산 광안대교 근처에는 특설 스튜디오를 설치했다. * 출구조사 결과는 카운트다운 후 본사 스튜디오 듀얼 K월에서 두 선거의 출구조사 결과를 동시에 공개했다. * 서울 야외 세트에는 최원정 아나운서의 진행으로 정치합시다 패널이었던 박성민 정치컨설턴트와 정한울 [[한국리서치]] 이사가 출연했으며 이철희, 김영우 전 의원이 패널로 출연했다. * 부산은 KBS 부산 뉴스7을 진행하는 부산총국 차재환 아나운서와 서울본사 박지원 아나운서가 진행을 맡았다. === [[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2 대통령 선거|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2 대통령 선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2 대통령 선거)] === [[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2 지방선거|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2 지방선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2 지방선거)] == 역대 진행자 == ||<|2>
{{{#ffffff ''' 방송일자 '''}}} ||<|2> {{{#ffffff ''' 선거 이름 '''}}} ||<-2> {{{#ffffff ''' 진행자 '''}}} || || {{{#ffffff ''' 남성 진행자 '''}}} || {{{#ffffff ''' 여성 진행자 '''}}} || || [[2002년]] [[12월 19일]] || [[제16대 대통령 선거]] || [[홍기섭]][br][[김준석(기자)|김준석]] || [[이규원(아나운서)|이규원]][br][[황수경(방송인)|황수경]] || || [[2007년]] [[12월 19일]] || [[제17대 대통령 선거]] || 홍기섭 || 없음 || || [[2008년]] [[4월 9일]]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홍기섭[br]박영환[br]엄경철 || [[이지애]] || || [[2010년]] [[6월 2일]]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박영환 || 없음 || || [[2012년]] [[4월 11일]]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황상무]] || [[박은영(방송인)|박은영]][br][[이현주(아나운서)|이현주]][br][[김진희(아나운서)|김진희]] || || [[2012년]] [[12월 19일]] || [[제18대 대통령 선거]] || 황상무[br]한상권 || 박은영[br][[엄지인]][br]김진희[br]이지애 || || [[2014년]] [[6월 4일]]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홍기섭[br] || [[김윤지(아나운서)|김윤지]][br]이규원 || || [[2016년]] [[4월 13일]]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박영환 || 엄지인[br][[김솔희]] || || [[2017년]] [[5월 9일]] || [[제19대 대통령 선거]] || 박영환[br]한상권[br]이주한[br][[강승화]] || 이현주[br]박은영[br][[이각경]][br][[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 || [[2018년]] [[6월 13일]]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br][[2018년 재보궐선거]] || [[엄경철]][br][[오언종]][br][[박태서(기자)|박태서]] || [[김지원(아나운서)|김지원]][br]이각경[br][[이선영(KBS)|이선영]][br]박은영 || || [[2020년]] [[4월 15일]]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박태서[br]김원장[br]박노원[br][[강성규]] || [[정세진]][br][[최원정]][br][[이소정(기자)|이소정]][br][[박지원(아나운서)|박지원]] || || [[2021년]] [[4월 7일]] || [[2021년 재보궐선거]] || 박태서[br]차재환[* KBS부산총국 아나운서, 뉴스7 부산 앵커를 맡고 있다.] || 이소정[br]박지원[* 본사 아나운서로 부산 개표방송 진행을 위해 파견.] || || [[2022년]] [[3월 9일]] || [[제20대 대통령 선거]] || 박태서[br][[이영호(아나운서)|이영호]] || [[이승현(아나운서)|이승현]][br]이소정 || [[분류:선거방송]][[분류:KBS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