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82b9 '''[[파일:KBS울산 로고.svg|height=17]]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 ---- [include(틀:울산광역시의 언론사)] ---- [include(틀:경남권의 지상파방송국)] }}}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KBS울산방송국|[[파일:KBS울산 로고.svg|height=20]]]]||{{{#09003e '''{{{+1 KBS울산방송국}}}'''[br]韓國放送公社 蔚山放送局[br]{{{-1 '''KBS''' '''U'''lsan '''B'''roadcasting '''S'''tation}}}}}} ||}}} || ||<-2> {{{#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 '''창립'''}}} ||[[1971년]] [[1월 13일]] || ||<-2> {{{#fff '''개국'''}}} ||[[1984년]] [[2월 10일]] || ||<-2> {{{#fff '''소재지''' }}} ||[[울산광역시]] [[남구(울산)|남구]] [[번영로(울산)|번영로]] 212 ([[달동(울산)|달동]]) || ||<-2> {{{#fff '''방송국장''' }}} ||[[김호상(예능국 PD)|김호상]] || ||<|2> {{{#fff '''채널'''}}} || [[텔레비전|{{{#fff '''TV'''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height=15]]]] || || [[라디오|{{{#fff '''라디오'''}}}]] ||[[KBS 제1라디오|[[파일:KBS 1Radio 울산 로고.svg|height=15]]]]|[[KBS 1FM|[[파일:KBS FM 울산 로고.svg|height=16]]]]|| ||<-2> {{{#fff '''홈페이지'''}}} ||[[http://ulsan.kbs.co.kr| {{{#000 ulsan.kbs.co.kr}}}]] || ||<-2> {{{#fff '''상위방송국''' }}} ||[[KBS부산방송총국|[[파일:KBS부산 로고.svg|height=20]]]] || [[파일:attachment/KBS울산방송국/2_1284525226.jpg]] * [[울산광역시]] [[남구(울산)|남구]] [[번영로(울산)|번영로]] 212 ([[달동(울산)|달동]])에 위치한 사옥 [[http://ulsan.kbs.co.kr|홈페이지]] [[https://twitter.com/kbsulsan|트위터 계정]] [목차] == 개요 == [[한국방송공사]] 산하 [[울산광역시]]를 관할하는 을 지역국. 편제상 같은 광역시인 아랫동네 [[KBS부산방송총국|부산방송총국]] 하부에 속해있다. == 역사 == * 1971년 1월 13일 : 무룡산 중계소 개소 * 1972년 12월 20일 : 중앙방송국 업무부 부산징수사무소 울산출장소 개소 * 1973년 3월 3일 : 한국방송공사 부산방송국 울산출장소로 개칭 * 1982년 5월 10일: 울산중계소 자체 방송 실시 (1일 1시간) * 1984년 2월 10일 : 한국방송공사 울산방송국 개국 * 1984년 7월 16일: 한국방송공사 부산방송본부 울산출장소로 개칭 * 1984년 12월 16일 : 한국방송공사 울산방송국 개국 (부산방송본부 울산중계소, 무룡산송신소, 울산출장소 인수) * 1988년 4월 1일 : 신축사옥 준공 * 1994년 6월 20일 : KBS울산 제1라디오 표준FM 로컬방송 실시 * 2012년 10월 8일 : KBS울산 제1TV 24시간 종일방송 개시 (대한민국 지상파 TV채널 중 최초) == 역대 국장 == * 박기대 (1984~1985) * 황희두 (1985~1988) * 이근배 (1988~1991) * 정영모 (1991~1993) * 정회준 (1993~1995) * 신원호 (1995~1998) * 서영명 (1998) * 방윤현 (1998~2000) * 박원훈 (2000~2001) * 김주형 (2001~2002) * 김영규 (2002~2004) * 장동범[* 중앙일보 부산 주재 기자, 언론통폐합으로 KBS 입사. 부산방송총국 취재기자, 대구방송총국 기자, 창원방송총국 보도국장.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사무처장, 99년 시문학 등단해 연재하여 시집을 냈다. 부산외국어대학교에 겸임교수] (2004~2006) * 안병권[* 보도본부 라디오뉴스 제작부, 부산방송총국 취재1부장, 보도본부 기자] (2006~2008) * 박홍일[* 전 보도본부 기자, 해설위원] (2009~2011) * 손정식[* 1990년대 이후 보도본부 기자로 활동했다.] (2011~2012) * 강철구[* 시정·법조 출입, 경남 창원지국, 정경부장, 부산방송총국 보도부 기자, 보도국장, 부산직할시청 시정 출입기자, 언론노조 KBS본부 부본부장] (2012~2014) * [[성창경]][* 前 [[KBS 공영노동조합]](KBS 3노조, 미가맹) 노조위원장] (2014~2016) * 조재익 (2016~2018) * 신춘범 (2018~2019) * 조남희 (2019~2020) * 박 연 (2020~2021) * [[김호상(예능국 PD)|김호상]] (2021~) == 사옥 == 1988년 현 위치에 준공되었다. 위 사진에도 나와있지만 사옥 건물 옆에 [[https://kbsbiz.co.kr/kbs%ec%9a%b8%ec%82%b0%ed%99%80/|KBS울산홀]]이 함께 건설되었고, 울산광역시 관내 전문 [[공연장]]중 최대 좌석수를 가진 공연장인지라 좀 규모가 있는 행사다 싶으면 여기서 개최되곤 한다. 1960년대에 건설된 울산문화원(현. 울산남구문화원)[* 기초자치단체 단위로 설립되어야 되는 법률 문제로 광역시 승격 이후 기능이 조정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09994|기사]]]과 이후 건설된 울산문화예술회관[* 계획 자체는 문화예술회관쪽이 빨랐다.]이 한 블럭 안에 연속적으로 건설되어 있어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2003년에 뒷켠에 건설된 공원명이 대놓고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5/20/2009052000182.html|문화공원]]으로 선정될 정도. == 기타 == * 지역방송국 중 처음으로 [[SNS]]를 통한 소통을 도입해 [[트위터]] 또는 문자메시지로 방송소재나 의견을 받고 있다. * 컴퓨터 그래픽의 변화가 상당히(아마도 전국에서 가장) 늦다. 실제로 ~~2014년에 중단된 줄 알았는데~~ '''현재까지''' 2004년에 나온 방송국 ID 카드[* K2가 나오는 [[비(연예인)|비]]의 "KBS KBS KBS 한국방송" ~~그리고 "사랑해"까지~~ 징글을 지겹도록 틀고 있다. 마지막까지 버틴 ID 카드는 테트리스 버전과 지구촌 버전으로, 현재는 징글은 그대로 두고 영상만 장생포 고래바다여행선과 태화강으로 바꾼 자체 ID를 사용하고 있다.]와 밀레니엄 시절의 글씨체를 사용하였고, 여전히 자체송출영상에 한하여 옛 글씨체를 사용중이다. * 뉴스를 비롯한 자체 제작 프로그램의 HD화가 상당히 늦은 2013년경에 이루어졌다.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95317|기사]] 아이러니하게도 울산의 아날로그 방송 종료는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빠른 2012년에 이루어졌다. [[http://d.kbs.co.kr/news/view.do?ncd=2520624|기사]] * KBS의 총국이 아닌 지역방송국(일명 乙지국) 중에는 유일하게 자체 TV 프로그램을 직접 제작한다.[* 나머지는 [[1997년 외환 위기|외환위기]]가 한창인 1998년 구조조정으로 폐지하고 전부 총국 수중계를 한다.] <보물창고>, <이슈와 사람>의 2개[* 그 외 자체방송인 <생생투데이 사람과 세상>은 부산총국 및 창원총국과 동시 제작·송출된다.]로, 모두 1주일 중 평일 비인기시간대에 한 번 방영하는 교양 프로그램이지만 그래도 자체제작이 어딘가.[* 비슷한 상황의 [[KBS경인방송센터]]는 자체 프로그램이 시사토론 <인사이드 경인> 1개 뿐이다. 그마저도 월 1회 방영하다 2022년부터 주 1회 방영로 그나마 확대된 상황.] 이런 힘자랑 때문인지 한때는 <[[KBS 뉴스 네트워크]] 울산>과 <[[KBS 뉴스 9]] 울산>도 乙지역방송국 중 유일하게 앵커 2인 체제로 굴렸다.[* 예전에는 1인 체제였으나 9시 뉴스는 2010년부터, 7시 뉴스는 2017년부터 2인 앵커 체제로 진행했다. 이후 <[[KBS 뉴스광장]] 울산>, <[[KBS 930 뉴스]] 울산>처럼 1인 진행으로 환원.] 그리고 2020년 2월 다른 乙지국([[KBS원주방송국|원주]], [[KBS강릉방송국|강릉]], [[KBS충주방송국|충주]], [[KBS목포방송국|목포]], [[KBS순천방송국|순천]], [[KBS포항방송국|포항]], [[KBS안동방송국|안동]], [[KBS진주방송국|진주]])이 TV 뉴스, 편성, 총무 등의 기능을 소속 총국에 넘겨주었지만, 울산방송국은 해당 기능을 여전히 보유하여 부산총국과 뉴스를 따로 한다.[* 다만 강릉은 평일 930뉴스와 뉴스9는 존치되었다.] 이렇게 乙지국이면서 총국급 힘자랑을 시키다보니 사내에서는 [[http://www.kbsunion.or.kr/1183|울산방송국의 업무강도가 최악]]이라고 인식하는 듯. * 그래도 乙국은 乙국인지라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 때는 [[KBS부산방송총국]]에서 지역 뉴스를 제작했다. 2017년 8월 29일 [[KBS 뉴스 7]]이, 30일 [[KBS 930 뉴스]]가 각각 지역뉴스가 결방되었다. [[KBS 뉴스 9]]는 서명균 앵커 단독으로 진행하다가, 8월 31일부터는 울산방송국이 전격 제작거부에 들어가며 아예 부산총국에서 으로 ~~어거지로~~ 진행했다. 그나마 [[KBS 뉴스광장]]은 지역방송국 모두 정상적으로 송출했다. 이후 파업 종료 및 정상화 과정을 거쳐 나머지 뉴스의 방송이 재개되었다. 2017년까지의 지역뉴스 VOD가 삭제되어 정확한 날짜는 확인되지 않으나, 정황상 구노조의 파업이 종료되어 지역뉴스가 재개된 [[KBS창원방송총국]]과 비슷한 시점으로 추정된다. * 주말 1TV 9시 뉴스는 현재 김다은, 가은혜 아나운서, 김희윤 기상캐스터가 돌아가며 진행하는데 기상캐스터가 뉴스를 진행하는 지역국은 울산이 유일하다.[* 박수연 현 [[TBC]] 아나운서도 2019년까지는 울산방송국 기상캐스터였으며, 아나운서 채용으로 전직한 후 정재경 기상캐스터가 새로 들어왔다. 이후 정재경 기상캐스터가 그 전 [[채널A]]로 이직한 후 김희윤 기상캐스터가 들어왔다.] * [[박대기]] 기자가 이곳으로 지역근무를 다녀왔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울산방송국에서 근무하고 서울로 이적. * 광역시 소재 KBS 지역방송국 중에서 유일하게 [[KBS 제2라디오]](해피FM)를 송출하지 않는다. 乙지역국 중에서 제2라디오를 송출하는 곳[* 현재 지역국의 제2라디오 방송은 상위 지역총국의 신호를 받아서 송출한다.]이 강릉[* 통합 전에는 속초방송국이 영동권의 제2라디오 송출을 맡았다.], 순천, 원주, 목포 등이 있으나 울산에는 아직까지 송출 계획이 없다. 울산에서 제2라디오를 들으려면 포항 영일송신소에서 송출하는 AM 558㎑, FM의 경우 황령산 97.1㎒나 양산/기장/정관 99.5㎒ 중 하나로 맞춰야 하나 후술했듯 난청지역이 많다.[* 정작 포항에도 제2라디오 FM채널은 없으며 울릉도에나 FM 주파수가 있다.] FM 라디오 주파수 개국이 시급한 실정이지만, 주파수 포화 문제인 건지 예산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건지 방송법상 어느 정도는 있어야 할 지역방송을 추가할 여력이 안 되는 건지 제2라디오 송출은 요원해보인다.[* 다만 각주를 통해 전술된 이유 때문에 개국한다면 甲지역국인 부산총국 해피FM의 중계소로 개국할 테고 제주총국이 1라디오 외에 지역방송을 추가하지 않아도 별 문제가 없는 걸 보면 지역방송 추가 문제는 아닐 것으로 보인다.] * AM 558㎑의 경우 FM 밴드만 있는 MP3 플레이어나 스마트폰으로 수신하려면 못 듣는 거나 마찬가지다. 또한 동해 바다가 가청권역이라 250㎾ 대출력으로 송출되지만 안테나 방향이 동북향이라 언양읍 같은 울주군 서부에서는 주간에 수신이 어렵다.[* 시험결과 울산대공원까지는 그럭저럭 수신이 된다.] * 황령산 97.1㎒는 거리와 지형의 문제로 울산 남구·울주군 남부(언양 이남) 이외에는 거의 수신이 불가능하다. * 양산 99.5㎒는 울주군은 커녕 울주군 바로 남쪽에 위치한 양산 하북면에서부터 청취가 어렵고, 기장/정관 99.5㎒는 서생면에서만 잘 들린다. * 2019년 11월 이후 1라디오 및 음악FM의 '''편성 정보 및 인터넷 온에어 제공이 중단되었다.''' 온에어는 페이지만 있지 방송이 나오지 않으며, 편성표는 2020년 11월부터 잠시 복구되었다가 다시 중단된 상태. 현재는 <시사투데이 울산>, <울산시대>가 유튜브를 통해 보이는 라디오로 생방송 송출되고 있다 * 2TV 자체 ID시 [[아이 러브 스포츠]]와 [[불후의 명곡|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시간대 같은 경우는 서울 수도권 TV 자막광고를 방송한다.[* [[KBS창원방송총국|창원]], [[KBS전주방송총국|전주총국]] 포함.] * KBS울산 FM은 부산 금정구, 해운대구 일부에서도 청취 가능하나, 옆 주파수(102.1㎒)에서 송출하는 [[기독교부산방송|부산CBS]] 음악FM 황령산 전파의 간섭을 받아 깨끗하게 들리지 않는다.[* 기장군의 경우 황령산 신호가 약하기 때문에 간섭이 없다.] 그러나 해당 지역은 황령산 전파의 [[양청지역]]이며 부산, 울산 방송국 모두 자체 지역 방송 없이 본사 방송을 모두 릴레이하므로 별 의미 없다. == 송출현황 == [[한국방송공사/전국 방송망]] 참고 바람. * TV : 1TV, 2TV, EBS * 라디오 울산 1라디오 (AM 1449kHz, FM 90.7MHz) 울산FM (FM 101.9MHz)[* 1990년 로컬 방송을 실시하였으며 그 이전에는 부산방송본부 소속으로 부산국을 중계했다.] EBS FM (FM 105.9MHz) == 제작 프로그램 == === 보도 === ==== 울산 1TV ==== * [[KBS 뉴스광장|KBS 뉴스광장 울산]] * [[KBS 930 뉴스|KBS 뉴스 울산]] * [[KBS 뉴스 7|KBS 뉴스 7 울산]] * [[KBS 뉴스 9|KBS 뉴스 9 울산]] ==== 울산 제1라디오 ==== * [[KBS울산 제1라디오 정오 뉴스]] === 시사 / 교양 === * [[이용식]]의 울산시대 * 생생투데이 사람과 세상 * 보물창고 * 문화공감 === 라디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32358, #101030)" [[KBS 제1라디오|[[파일:KBS 1Radio 울산 화이트.svg|width=120]]]]}}} || ||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2 ^^05:00^^}}} ||<-5> {{{-1 [[5시 뉴스#s-2.3|KBS 제1라디오 5시 뉴스]]}}} ||<|2><-2> {{{-1 [[건강 365]]}}} || || {{{-2 ^^05:05^^}}} ||<-5> {{{-1 [[건강 365]]}}} || || {{{-2 ^^05:55^^}}} ||<-7> {{{-1 KBS 기상통보}}} || || {{{-2 ^^06:00^^}}} ||<-6><|2> {{{-1 [[KBS 뉴스광장]]}}}{{{-3 (1TV 수중계)}}} || {{{-2 [[6시 뉴스#s-2.3|KBS 1R 6시 뉴스]]}}} || || {{{-2 ^^06:05^^}}} ||<-2><|3> {{{-1 ''[[경제세미나]]''}}} || || {{{-2 ^^06:15^^}}} ||<-6> {{{-1 오늘 아침 1라디오}}} || || {{{-2 ^^06:56^^}}} ||<-6> {{{-1 [[바른말 고운말]]}}} || || {{{-2 ^^07:00^^}}} ||<-5><|2> {{{-1 [[뉴스와 화제]]}}} ||<-2> {{{-1 [[7시 뉴스#s-2.4|KBS 제1라디오 7시 뉴스]]}}} || || {{{-2 ^^07:05^^}}} ||<-2><|4> {{{-1 [[라디오 매거진 위크 앤드]]}}} || || {{{-2 ^^07:20^^}}} ||<-5><|2> {{{-1 [[최강시사]] 1, 2부}}} || || {{{-2 ^^08:00^^}}} || || {{{-2 ^^08:30^^}}} ||<-5> {{{-1 시사투데이 울산}}} || || {{{-2 ^^09:00^^}}} ||<-5> {{{-1 [[KBS 뉴스|KBS울산 제1라디오 9시 뉴스]]}}} ||<-2> {{{-1 [[KBS 뉴스|KBS 제1라디오 9시 뉴스]]}}} || || {{{-2 ^^09:05^^}}} ||<-5> {{{-1 [[성공예감|성공예감 이대호입니다]] 1부}}} || {{{-3 [[성공예감]] 별책부록}}} || {{{-1 [[통일사용설명서]]}}} || || {{{-2 ^^10:00^^}}} ||<-7> {{{-1 [[10시 뉴스#s-2.3|KBS 제1라디오 10시 뉴스]]}}} || || {{{-2 ^^10:05^^}}} ||<-5> {{{-1 [[성공예감|성공예감 이대호입니다]] 2부}}} ||<-2><|2> {{{-1 KBS 뉴스월드}}} || || {{{-2 ^^10:53^^}}} ||<-5> {{{-1 영화관, 도서관}}} || || {{{-2 ^^11:00^^}}} ||<-7> {{{-1 [[11시 뉴스#s-2.3|KBS 제1라디오 11시 뉴스]]}}} || || {{{-2 ^^11:05^^}}} ||<-5><|2> {{{-1 신성원의 뉴스브런치 1, 2부}}} ||<|2> {{{-1 [[경제세미나]]}}} ||<|2> {{{-1 뉴스브런치 심리연구소}}} || || {{{-2 ^^11:30^^}}} || || {{{-2 ^^12:00^^}}} ||<-5><|2> {{{-1 [[KBS 제1라디오 정오 종합뉴스]]}}} ||<-2> {{{-1 [[KBS 제1라디오 정오 종합뉴스]]}}} || || {{{-2 ^^12:10^^}}} ||<-2><|4> {{{-1 [[시사본부|정관용의 시사본부]] 1, 2부}}} || || {{{-2 ^^12:15^^}}} ||<-5> {{{-1 [[KBS울산 제1라디오 정오 뉴스]]}}} || || {{{-2 ^^12:20^^}}} ||<-5><|2> {{{-1 [[시사본부|최영일의 시사본부]] 1, 2부}}} || || {{{-2 ^^13:00^^}}} || || {{{-2 ^^14:00^^}}} ||<-5><|2> {{{-1 [[뉴스 중계탑]]}}} ||<-2> {{{-1 [[2시 뉴스#s-2.2|KBS 제1라디오 14시 뉴스]]}}} || || {{{-2 ^^14:05^^}}} ||<-2><|2> {{{-1 [[시대음감|김태훈의 시대음감]]}}} || || {{{-2 ^^14:20^^}}} ||<-5><|3> {{{-1 [[라디오 전국일주]] 1, 2부}}} || || {{{-2 ^^15:00^^}}} ||<-2> {{{-1 [[3시 뉴스#s-2.2|KBS 제1라디오 15시 뉴스]]}}} || || {{{-2 ^^15:05^^}}} ||<-2><|5> {{{-1 주말 생방송 정보쇼 1, 2부}}} || || {{{-2 ^^15:26^^}}} ||<-5> {{{-1 연중기획 <내마음의 동요>}}} || || {{{-2 ^^15:30^^}}} ||<-5> {{{-1 [[지금 이 사람|강원국의 지금 이 사람]]}}} || || {{{-2 ^^16:00^^}}} ||<-5> {{{-1 [[4시 뉴스#s-2.3|KBS 제1라디오 16시 뉴스]]}}} || || {{{-2 ^^16:05^^}}} ||<-5> {{{-1 [[경제쇼|홍사훈의 경제쇼]]}}} || || {{{-2 ^^17:00^^}}} ||<-5> {{{-1 [[KBS 뉴스|KBS울산 제1라디오 17시 뉴스]]}}} ||<-2> {{{-1 [[KBS 뉴스|KBS 제1라디오 17시 뉴스]]}}} || || {{{-2 ^^17:05^^}}} ||<-5> {{{-1 [[주진우 라이브]] 1부}}} ||<|2> {{{-2 [[주진우 라이브]] 스페셜}}} ||<|2> {{{-2 [[경제쇼|홍사훈의 경제쇼+]]}}} || || {{{-2 ^^17:56^^}}} ||<-5> {{{-1 희망충전 대한민국}}} || || {{{-2 ^^18:00^^}}} ||<-5><|2> {{{-1 [[주진우 라이브]] 2부}}} ||<-2> {{{-1 [[6시 뉴스#s-2.3|KBS 제1라디오 18시 뉴스]]}}} || || {{{-2 ^^18:05^^}}} ||<-2> {{{-1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 1부}}} || || {{{-2 ^^19:00^^}}} ||<-5><|2> {{{-1 [[KBS 제1라디오 저녁 종합뉴스]]}}} ||<-2> {{{-1 [[7시 뉴스#s-2.4|KBS 제1라디오 19시 뉴스]]}}} || || {{{-2 ^^19:05^^}}} ||<-2><|2> {{{-1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 2부}}} || || {{{-2 ^^19:20^^}}} ||<-5><|3> {{{-1 [[KBS 열린토론]]}}} || || {{{-2 ^^19:58^^}}} ||<-2> {{{-1 주말 58분 날씨}}} || || {{{-2 ^^20:00^^}}} ||<-2> {{{-1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 3부}}} || || {{{-2 ^^20:30^^}}} ||<-5> {{{-1 [[스포츠 스포츠]]}}} || {{{-1 [[함께하는 세상]]}}} || {{{#!wiki style="margin: 0 -30px" {{{-3 국민과 함께 국군과 함께}}}}}} || || {{{-2 ^^21:00^^}}} ||<-5><|2> {{{-1 [[KBS 뉴스 9]]}}}{{{-3 (1TV 수중계)}}} ||<-2> {{{-1 [[KBS 뉴스 9]]}}}{{{-3 (1TV 수중계)}}} || || {{{-2 ^^21:20^^}}} ||<-2><|2> {{{-1 [[스포츠 스포츠|주말 스포츠 스포츠]]}}} || || {{{-2 ^^21:30^^}}} ||<-5> {{{-1 ''[[지금 이 사람|강원국의 지금 이 사람]]''}}} || || {{{-2 ^^22:00^^}}} ||<-7> {{{-1 [[10시 뉴스#s-2.3|KBS 제1라디오 22시 뉴스]]}}} || || {{{-2 ^^22:05^^}}} ||<-5><|3> {{{-1 김성완의 시사夜 1, 2부}}} ||<-2> {{{-1 ''[[시대음감]]''}}} || || {{{-2 ^^23:00^^}}} ||<-2> {{{-1 [[11시 뉴스#s-2.3|KBS 제1라디오 23시 뉴스]]}}} || || {{{-2 ^^23:05^^}}} || {{{-1 [[KBS 무대]]}}} || {{{-1 ''[[통일사용설명서]]''}}} || || {{{-2 ^^23:55^^}}} ||<-7> {{{-1 KBS 기상통보}}} || || {{{-2 ^^24:00^^}}} ||<-7> {{{-1 [[자정 뉴스#s-2.3|KBS 제1라디오 자정 뉴스]]}}} || || {{{-2 ^^24:05^^}}} ||<-7> {{{-1 [[문화 공감]]}}} || || {{{-2 ^^01:00^^}}} ||<-5><|3> {{{-1 ''[[KBS 열린토론]]''}}} ||<|2> {{{-1 [[명사들의 책읽기]]}}} || {{{-1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 || {{{-2 ^^01:40^^}}} || {{{-1 [[정다운 가곡]]}}} || || {{{-2 ^^02:00^^}}} ||<|2> {{{-2 ''[[주진우 라이브]] 스페셜''}}} ||<|2> {{{-2 ''[[경제쇼|홍사훈의 경제쇼+]]''}}} || || {{{-2 ^^02:10^^}}} ||<-5><|2> {{{-1 [[경제로 통일로]]}}} || || {{{-2 ^^02:53^^}}} ||<-2> {{{-1 ''[[바른말 고운말]]''}}} || || {{{-2 ^^03:00^^}}} ||<-7> {{{-1 [[세월따라 노래따라]]}}} || || {{{-2 ^^04:00^^}}} ||<-7> {{{-1 [[KBS 오디오북-최고의 클립]]}}} || || {{{-2 ^^04:20^^}}} ||<-7> {{{-1 [[소설극장]]}}} || || {{{-2 ^^04:42^^}}} ||<-7> {{{-1 어업기상통보}}} || || {{{-2 ^^04:53^^}}} ||<-7> {{{-1 [[여기는 KBS 한국방송입니다|여기는 울산 제1라디오]]}}} || || {{{-2 ^^xx:58^^}}} ||<-7> {{{-1 KBS 58분 날씨}}}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32358, #101030)" {{{-3 {{{#fff 기울임체 표시는 재방송}}}}}}}}} ||}}} [include(틀:KBS 클래식FM)] * 시사투데이 울산 * 라디오세상 울산만사(종영) == 아나운서 == * 김다은[* 전 [[TBC]] 아나운서.]: 1R 17시 뉴스, 1TV 뉴스7, 1TV 뉴스9, * 가은혜: 1TV 뉴스광장, 1TV KBS 930 뉴스, 문화공감, 1TV 뉴스9(주말)[* 김다은 아나운서, 김희윤 기상캐스터와 교대로 방송한다], 1R 9시 뉴스, 1R 정오 뉴스 == 기자 == * 최지영 == 기상캐스터 == * 김희윤: 1TV 뉴스9(주말) 앵커, KBS울산 <뉴스광장>, <930뉴스>날씨, 뉴스9 <날씨와 생활> 제작 == 리포터[* 현재는 라디오 코너와 이용식의 울산시대의 울산 한 바퀴 코너 담당이다.] == * 박경덕 * 김연주 == 시보멘트 == >정성을 다하는 국민의 방송 KBS가 잠시 후 x시를 알려드립니다. AM 1449KHZ FM 90.7MHZ KBS 제1라디오입니다. HLQB >---- >[* 이지향 아나운서 담당] >한국인의 중심채널 KBS 제1라디오가 x시를 알려드립니다. AM 1449KHZ FM 90.7MHZ KBS 제1라디오입니다. HLQB >---- >[*오전 5시 한정 이지향 아나운서 담당] [[분류:한국방송공사/지역 방송국]][[분류:지상파]][[분류:울산광역시]][[분류:남구(울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