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5년 설립]][[분류:국제기구]][[분류:북한의 핵개발]] [include(틀: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대한민국의 대응)] [목차] == 개요 == 한반도 에너지 개발기구(Korean Peninsula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on). 영어음을 그대로 읽어서 케도라고도 불리운다. [[1994년]] 체결된 '[[북미 제네바 합의]]'의 이행을 위해 추진된 기구로 사무국은 [[뉴욕]]에 있다. == 상세 == [[북한]]의 경수로 지원을 위해서 설립된 국제 컨소시엄으로 [[1995년]]에 [[대한민국]]과 [[미국]], [[일본]] 3국이 창립하였다. 이는 [[북미 제네바 합의]] 이후 고위급 회담에서 결정되었으며, 1000MW급 전기를 공급하는 2기의 경수로 [[원자력 발전소]] 건설 및 발전소 완공 전까지의 매년 6만톤의 [[중유]]를 공급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후 [[북한]] [[함경남도]] [[신포시]] 금호지구에 경수로가 지어지게 되었다. == 목적 == [[북한]]을 북미양자협상으로 영변지역 원자로 개발연구의 봉인을 유도한 이후, 그에 따른 보상을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쉽게 말하자면 북한의 핵 개발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단체다. == 참여국 == ※ 국명은 참여일자 순으로 기재 === 회원국 === * 창설국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크기=23)] * 1995년 * \ [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크기=23)] * 1996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네시아,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칠레,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 크기=23)] * 1997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유럽, 크기=23)] : 유럽연합 산하 유럽원자력에너지공동체 EAEC(European Atomic Energy Community)^^현 Euratom^^ * \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크기=23)] : 지원은 1996년부터 시작 *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룩셈부르크,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크기=23)] : 지원은 1995년부터 시작 * \ [include(틀:국기, 국명=덴마크,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아일랜드, 크기=23)] : 지원은 1995년부터 시작 *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크기=23)] : [[브렉시트]]로 유럽연합을 탈퇴하였으나 Euratom 회원은 유지하고 있다. * \ [include(틀:국기, 국명=그리스, 크기=23)] : 지원은 1996년부터 시작 * \ [include(틀:국기, 국명=포르투갈,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핀란드, 크기=23)] : 지원은 1995년부터 시작 * \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 크기=23)] : 1997년 당시 유럽연합 비회원국으로 개별 가입 * 1999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체코, 크기=23)] : 1998년 당시 유럽연합 비회원국으로 개별 가입. 지원은 1998년부터 시작 * 2000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우즈베키스탄, 크기=23)] * 2004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유럽, 크기=23)] : 유럽연합 산하 유럽원자력에너지공동체 EAEC(European Atomic Energy Community)^^현 Euratom^^ * \ [include(틀:국기, 국명=에스토니아,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라트비아,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리투아니아,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몰타,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바키아,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베니아,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헝가리, 크기=23)] : 지원은 1997년부터 시작 * \ [include(틀:국기, 국명=키프로스, 크기=23)] * 2007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유럽, 크기=23)] : 유럽연합 산하 유럽원자력에너지공동체 EAEC(European Atomic Energy Community)^^현 Euratom^^ * \ [include(틀:국기, 국명=불가리아,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루마니아, 크기=23)] * 2013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유럽, 크기=23)] : 유럽연합 산하 유럽원자력공동체 Euratom[* 2009년 EAEC에서 Euratom으로 조직명 변경] * \ [include(틀:국기, 국명=크로아티아, 크기=23)] * 2014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유럽,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크기=23)] : 유럽연합 비회원국이나 Euratom 회원국. 지원은 1996년부터 시작 === 지원국 === * 1995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싱가포르,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핀란드,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말레이시아,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태국, 크기=23)] * 1996년 * \ [include(틀:국기, 국명=브루나이,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필리핀, 크기=23)] * \ [include(틀:국기, 국명=노르웨이, 크기=23)] : 유럽국가이지만 Euratom 비회원국으로 KEDO 회원국이 아니다. * 1997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오만, 크기=23)] * 1999년 * \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크기=23)] * 2000년 * \ [include(틀:국기, 국명=페루, 크기=23)] * 2002년 * \ [include(틀:국기, 국명=카타르, 크기=23)] == 연혁 == * 1995년 대한민국과 미국, 그리고 일본 3국이 창립하였다. * 1996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가 가입한 뒤 다른 나라들도 참여하고 있다. * 2002년 11월, 미국에서 북한이 농축우라늄을 개발하고 있다는 보고서가 발표되고, 집행 이사회가 대북 중유공급을 중단하였다. * 2002년 12월, 이에 반발한 북한은 자국 내 IAEA 조사원들을 영변에서 추방하고 이듬해 핵확산금지조약에서 탈퇴했다. * 2006년 1월 개발인력이 모두 금호지구에서 철수했으며, 집행 이사회는 2006년 5월 31일 북한이 협정에 명기된 절차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수로사업 종료를 결정했다. * 2006년 10월 9일 [[북한의 1차 핵실험]]이 이루어졌다. * 2006년 12월 12일 북한 함경남도 신포의 금호지구 경수로 사업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 여담 == * [[북미 제네바 합의]]는 소위 [[코리아 패싱]]의 대표적 사례로 일컬어진다. KEDO는 한국을 제외한 '북미 제네바 합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합의 당시 한국이 제외됐음에도 사업에 대한 막대한 비용은 청구받게 되었다. * [[유럽연합]]이 처음으로 [[남북관계]]에 있어서 첫 영향력을 보여준 사례이기도 하다. 유럽연합은 국제차관을 제공하며 한반도 문제 및 남북관계라는 국제적 문제에 대한 존재감을 드려냈다. * [[문재인 정부의 월성원전 경제성 조작]] 사건 수사 중 [[2021년 북한 원전 건설추진 문건 사건|'북한지역 원전건설 추진방안']] 이라는 문건의 존재가 드러났는데, 2018년 이 사업을 추진할 당시 KEDO에서 근무하거나 업무를 담당해 본 경력자의 명단도 만들었다 삭제하였음이 밝혀졌다. * 공식적으로 해산된 기구가 아니기 때문에 2023년 현재도 사무국에 회원국들의 외교관이 비상근(겸임)임원으로 2명 재직중이며 각종 국제회의나 학술행사에서 간간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