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미국 우주·미사일사령부(DEFSMAC, The Defense Special Missile and Astronautics Center)[* 언론에서는 '한미 당국'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9년 들어 우리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에서 KN 코드와 별도로 자체 코드를 부여하기로 결정하면서, 한국군의 '''독자성'''이라고 표현한 것으로 보아 KN코드는 미국 측이 주도적으로 부여한 것임을 할 수 있다. 또한 DEFSMAC이 부여해온 코드라는 것이 확인된 언론 보도도 등장했다. [[https://m.khan.co.kr/politics/defense-diplomacy/article/202001191319001|#]]]에서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에 부여하는 코드 번호. KN은 North Korea의 두문자를 거꾸로 하여 표기한 것으로, 개발중인 북한의 발사체에 순서대로 이름붙여진다. 미국 전문가들은 KN Number(KN 넘버)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NATO 코드명]]과 비슷한 개념이다. == 상세 == === 일람 === || '''KN 코드명''' || '''성격''' || '''북한의 제식 명칭'''[* 북한이 선전 매체 등에서 [[겹화살괄호]]를 넣은 공식 표기를 사용한 경우 이를 따름] || '''이표기 및 특징''' || || [[KN-01]] || 지대함 || 미상 || STORMPETREL[* 2015년 처음 발사된 [[금성 3호]] 함대함 미사일에도 'KN-01'이라는 호칭만 붙고 추가적인 KN 코드는 부여되지 않았다.] || || [[KN-02]] || 지대지 || 《화성-11》형 || 독사 || || KN-03 || 지대지 || 화성-5 설[br]화성-7(노동) 설 || [[https://www.armscontrolwonk.com/archive/1203680/the-more-you-kn-0w-about-north-korean-missiles/|#노동 개량형 설]][*A 단 이것은 제식화된 SCUD나 노동을 통칭하는 식으로 KN 코드를 부여한 것이 아니라, 특정 발사(실험)에 한해 그런 코드가 붙은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 || || KN-04 || 지대지 || 화성-6 || SCUD-C 혹은 SCUD-ER[*A] || || [[KN-05]] || 공대함 || 미상 || KN-01 개량형 || || [[KN-06]] || 지대공 || 번개-5 || || || KN-07 ||<-3> 미상[* 2010년과 2012년 사이에 식별된 미사일일 것이다. [[화성-10|무수단]]은 이미 1990년대에 식별되어 KN-07이 무수단이라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 || [[KN-08]] || 지대지 || 화성-13 || || || [[KN-09]] || 지대지 || 미상 || 300mm 방사포 || || [[KN-10]] || 지대지 || 미상 || KN-02 개량형, 이후 시험발사 중단 || || [[KN-11]] || 잠대지 || 《북극성》 || || || KN-12 || 지대지 || 미상 || 122mm 방사포 || || KN-13 || 지대공 || 미상 || SA-2 개량형[* [[https://www.yna.co.kr/view/AKR20170521065000014|2015.3.12]]의 SA계열 지대공 미사일] || || [[KN-14]] || 지대지 || 화성-13 || KN-08의 개량형 || || [[KN-15]] || 지대지 || 《북극성-2》형 || 《북극성》의 지상발사형 || || [[KN-16]] || 지대지 || 미상 || 개량 300mm 방사포 || || [[KN-17]] || 지대지 || 《화성-12》형 || || || [[KN-18]] || 지대함 || 미상 || SCUD 개량형 || || [[KN-19]] || 지대함 || 미상 || 금성-3호 개량형 || || [[KN-20]] || 지대지 || 《화성-14》형 || || || [[KN-21]] || 지대지 || 미상 || [[https://newsis.com/view/?id=NISX20170914_0000095977&cid=10101|#보도 참고]], 이후 시험발사 중단 || || [[KN-22]] || 지대지 || 《화성-15》형 || || || [[KN-23]] || 지대지 || 미상 || 북한판 이스칸다르 || || [[KN-24]] || 지대지 || 《화성-11나》형 || || || [[KN-25]] || 지대지 || 미상 || 대구경 신형 방사포 || || [[KN-26]] || 함대지 || 《북극성-3》형 || 《북극성》의 개량형 || || [[KN-27]] || 지대지/함 || 미상 || 2021.1.22 발사 미사일[* [[http://www.seoul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06418|출처]] [[조선인민군 장거리 순항미사일 A형]]이 이 KN-27의 개량형이라는 분석을 담은 기사다.] || || KN-28(?) || 지대지 || [[화성-17|《화성-17》형]] || [[미합중국 북부사령부|미국 북부사령관]]이 언급[* [[글렌 밴허크]](Glen D. VanHerck) [[미합중국 공군|공군]] 대장이 'SMD2021'라는 심포지엄 기조 발언 중 언급 [[https://twitter.com/masao_dahlgren/status/1427341150252240896/photo/1|#]] [[https://news.usni.org/2021/08/18/russia-is-top-military-threat-to-u-s-homeland-air-force-general-says|#]]][* 이 외에 KN-27이 화성-17이라는 언론의 주장도 있었다. [[https://mwi.usma.edu/north-koreas-two-new-strategic-missiles-what-do-we-know-and-what-do-they-mean-for-us-deterrence/|#]]의 '...likely to be designated either Hwasong-16 or KN-27' '''하지만 언론 및 민간 북한 연구가들의 추론일 뿐'''이다.] || 위 표는 KN 명칭에 따른 순서에 따라 북한의 발사체를 정리한 것으로, 링크는 KN 명칭의 링크를 활용했다. 공식 명칭이 발표된 경우 해당 명칭 항목으로 리다이렉트 된다. === 유의사항 === 보면 알겠지만 KN 명칭은 통상적인 미사일이 아닌 발사체에도 부여될 수 있다. KN-09는 300mm, KN-12는 122mm, KN-16은 300mm[* 초기에는 240mm~300mm로 추정되었다 추후 확정] 포이다. '''또 모든 북한의 발사체가 KN 번호가 있는것도 아니다.''' 무수단[* 무수단은 이미 [[화대군]]의 지명으로 명칭이 붙었다.], 화성-8[* 통상 북한은 제식명칭을 숨기는 편이다. 그러나 화성-8은 KN 코드를 붙이기도 전에 화끈하게 [[로동신문]]을 통해 제식명칭을 공개해 버렸다.] 등은 KN 번호가 따로 없다. 당연히 미사일을 운용하는 측과, 개발중인 미사일에 대한 정보수집을 하는 측에서 부르는 명칭이 다른 셈. 그리고 KN 번호가 존재하나 북한이 사진을 공개한 적도 없는 'KN-21'같은 경우도 있다. 그렇다고 시험발사가 꼭 이루어져야 KN 번호가 부여되는 것도 아니다. [[KN-08]]과 [[KN-14]]의 예시가 있다. 실발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어도, 모형이나 프로토타입이 아닌 실전배치가 완료된 미사일이라면 KN 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KN-08/14의 실발사는 2021년 10월까지 단 한차례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외에 KN-09의 개량형으로 보이는 KN-16에는 새로운 KN 코드가 부여되었지만, [[금성 3호]]의 함대함 발사는 [[KN-01]]과 분명 다른 형상의 미사일임에도 KN-01로 발표했고 추 후 지대함 버전에 KN-19가 부여되었다. 이는 특별히 잘못되었다고 보기보다는 자국 미사일 개발 현황을 꽁꽁 숨기면서도 최대한 허세를 부리려는 북한의 태도 때문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19년 이후로 신형 미사일이 쏟아져 나온 것으로 보아 KN-10, KN-21같은 경우 그들 중 하나의 프로토타입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몇번 언급되었지만 당연히 북한 나름의 공식 제식 명칭도 있다. [[화성 미사일]]과 [[북극성 미사일]]이 그 대표격. 그러다보니 KN-14와 화성-14형은 별개의 미사일을 가리킴에도 숫자 때문에 혼란이 생겨난다. 거기에다 같은 미사일을 시험발사 할때마다 우리 입장에서 -1호, -2호와 같이 표기한 것[* 노동-1호, 노동-2호가 예시가 된다. 북한에서는 모두 [[화성-7]]일 것이다.]을 별개의 미사일로 착각하는 경우도 있다. 요컨대, * '''북한의 모든 미사일(발사체)에 KN 코드가 부여된 것은 아니다.''' * '''시험발사 없이 미사일(발사체) 형상만 외부 공개되었음에도 부여될 수 있다. 심지어 정보 자산으로만 탐지된 경우에도 부여될 수 있다.''' * '''분명 다른 미사일임에도 과거의 코드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개발 단계의 프로토타입 형태에도 붙을 수 있다.''' == 현황 == 2020년 3월, 미국 측이 우리 군에 KN 코드를 [[군사기밀]]로 취급할 것을 요청했다고 한다. [[https://m.khan.co.kr/politics/defense-diplomacy/article/202001191319001|#]] 그래서 우리 군 독자의 코드도 사용되고 있다. 잠시나마 KN-25 코드 부여가 기사화 되는 등, 지속적으로 KN 코드는 공개되기도 했다. 그러나 2021년에 발사된 [[화성-8]], [[번개-7]], [[KN-23]] 대형화 개량형, [[KN-23]] 개량형 SLBM, [[조선인민군 장거리 순항미사일 A형]]의 KN 코드가 공개되지 않고 있다. 단지 외형만 공개된 게 아니라 시험발사까지 이루어졌으니[* [[북극성-5]]나 [[화성-17]]은 시험발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KN 코드가 부여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크다.] 공개될법도 한데 언급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미국측에서 공개를 꺼리는 것이 맞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전부 부여된다면 KN-30은 거뜬히 넘긴다. 화성-17의 KN 코드가 'KN-28'이라는 [[글렌 밴허크]] [[대장(계급)|대장]]의 발언은 상당히 신빙성이 높다. 그가 그냥(?) 공군 장성도 아니고 북미 지역 방공의 최고 책임자 직위인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사령관'''을 겸임하면서 한 발언이기에 민간 연구가들이나 언론사를 통해 흘린 익명의 소식통 정보보다는 권위가 있다.[* 화성-17이 KN-27임을 전제로 한 [[영어 위키백과]]나 민간 사이트에서 부르는 KN 코드명은 이 발언으로 상당수 그 권위가 부정되어 버렸다.] 그런데 [[화성-17]] 항목에서 알 수 있겠지만 이 미사일이 한미당국에 최초 포착된 것은 2020년 9월 30일 이전이다. 즉 KN-27은 그 이전에 식별된 미사일이어야 하는데, 2021년 1월 및 3월 발사 미사일이 KN-27이라는 것은 다소 이상하다. 그런데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대한민국 해군|해군]] [[중령]] 출신]는 2020년 발사한 KN-19 장갑화 개량형 순항미사일이 KN-27, 열병식에서 공개한 화성-17이 KN-28, 2022년 초 발사한 순항 미사일이 KN-29, KN-23 대형화 개량형이 KN-30이라고 연구자료에서 기술하고 있다. [[https://www.s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88|#]] 그의 설명을 따르자면 글렌 벤허크 대장의 발언과 충돌도 없고, 식별 순서대로 숫자가 붙는 KN 코드의 관례에도 부합한다. 2020년에 한미측이 위성으로 발사 시험중인 KN-19 장갑화 개량형 TEL을 식별후 'KN-27' 코드명 부여→KN-28 식별후 코드명 부여→2021년 1월 및 3월 미사일도 KN-27로 평가했으나, 추후 재평가하면서 KN-29로 재명명→KN-23 대형화 개량형에 'KN-30' 코드명 부여. 하지만 군 당국자가 속 시원히 공개하지 않는 이상 누구의 말이 옳은지는 알 수 없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조선인민군 전략군, version=254)] [[분류:미사일]][[분류:조선인민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