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로켓)] [목차] [clearfix] == 개요 == '''KSLV'''(Korea Space Launch Vehicle, 한국형발사체) 계획은 [[대한민국]]에서 자력으로 실용 우주 발사체를 쏘아 올리기 위한 계획으로, 선행 사업인 [[KSR 시리즈|KSR]](Korea Sounding Rocket, 한국형 과학관측 로켓) 계획의 후신이다. == 역사 == 한국이 우주발사체를 자력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처음으로 정한 것은 [[1996년]] 발표된 '국가우주개발 중장기계획'이다. 다만 이것은 구체적인 계획이 없이 장기적인 목표를 정하는 선언적인 성격이었고, 실질적으로 KSLV 계획이 구체화된 것은 [[2000년]] 발표된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 수정(안)'에서였다. 이 계획에 따르면 KSLV 계획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되었다. * [[KSLV-I]]: 100kg급 저궤도 소형위성 발사체 ([[2005년]]까지 개발) * [[KSLV-II]]: 1톤급 저궤도 실용위성 발사체 개발 ([[2010년]]까지 개발) * [[KSLV-III]]: 1.5톤급 저궤도 실용위성 발사체 개발 ([[2015년]]까지 개발) [[파일:attachment/KSLV 계획/early_KSLV.png]] [[http://www.stepi.re.kr/module/pubDownFile.jsp?categCd=A0201&ntNo=205|출처]] 이 시점에서 [[KSLV-I]]의 초기 계획으로 KSR-Ⅲ 세 기를 한데 묶어 1단으로, KSR -Ⅰ한 기를 2단으로 사용할 것이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사실 KSLV -Ⅰ이 아니라 KSR -Ⅲ 응용형의 계획에 가깝다.''' 자세한 건 [[KSR 계획]] 참고. 실제 KSLV -Ⅰ은 그림과 같이 총 7개의 KSR -Ⅲ급 로켓이 수평으로 묶여 총 3개 단을 구성하고, 4단에 고체 킥모터를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당시에는 아직 개념안조차 확실히 결정되기 전이었으므로 이 계획 역시 여러 가지 계획안들 중 당시에 가장 유력한 안이었을 뿐이다. 그런데 [[대한민국]]이 [[2001년]] 미사일기술통제체계([[MTCR]])에 가입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기존에는 기술을 가진 외국과 협력을 하고 싶어도 해당국이 MTCR의 규제로 인해 협력에 응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뒤떨어지는 국내 기술만으로 독자개발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었지만, 우리나라도 MTCR에 가입하면서 가입국 간에 기술이전이 가능해져 외국과의 협력 역시 가능해진 것이다. 따라서 KSLV 계획 역시 방향을 돌려 협력할 나라를 물색하기 시작했고, 여기에 가장 적합한 나라로 [[러시아]]가 선정되었다. 당시 교섭 가능한 국가 중에 러시아가 가장 적극적으로 나왔고 기술수준 역시 높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러시아와 기술협력을 위한 협상이 시작되었고 [[2004년]]에 한러 우주기술협력협정을 맺어 양국 간의 기술협력을 시작하게 되었다. 하지만 협력과정은 순탄하지 못했다. 기술유출을 꺼리는 [[러시아 의회]]와 최대한 많은 기술을 습득하려는 한국의 의견이 충돌하여 잡음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는 과정에서 이미 초기 목표였던 [[2005년]]까지 개발은 물건너갔고, 따라서 2005년 수정된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에서 개발완료 기간을 [[2007년]]으로 늦추었다. 한편 양국은 더이상 잡음을 피하기 위해 서로 어떤 기술을 공유하고 어떤 기술을 보호할지를 명확히 정하기 위해 [[2006년]] 한러 우주기술보호협정을 채결하였다. 한편 [[2005년]]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에서는 다른 계획 변경사항도 있었다. 기존의 2005년, 2010년, 2015년 3번에 걸쳐 발사체를 개발하려는 계획 대신에, 2007년과 [[2015년]] 두 번에 걸쳐 발사체를 개발하기로 바꾼 것이다. 본래 2010년에 발사할 예정이었던 1톤급 저궤도 실용위성 발사체 계획은 없어지고, 2015년에 발사할 1.5톤급 저궤도 실용위성 발사체가 [[KSLV-II]]가 되었고, 2021년 10월 21일에 첫 발사를 했다. == 발사체 == === [[KSLV-I 나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로호)] === [[KSLV-II 누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누리호)] ==== [[KSLV-II TLV]]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누리호 시험발사체)] ==== --KSLV-IIA--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누리호, 앵커=누리호 개량형 (KSLV-IIA))] === [[KSLV-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형 소형발사체)] === [[KSLV-III]]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SLV-III)] === [[KSLV-III]] 이후 === [[파일:space.jpg]] 위 이미지는 2013년 11월 발표된 우주개발 계획인데, 당시로써는 먼 미래의 계획이라 [[KSLV-II]] 성공 이후 계획이 변경되었다. KSLV-IV 개발이 빠졌으며, 그 대신 누리호 개량형이 아닌, 더 강한 추력을 가진 새로운 우주발사체 [[KSLV-III]]을 개발하고,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 폐기로 인해 고체연료 발사체의 개발이 가능해짐에 따라 고체연료 부스터 장착형 등의 파생형이 개발 예정이다. == 같이 보기 ==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사]] * [[KSR 시리즈]] [각주][[분류:KSL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