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한국 함선)] || [[파일:KSS-III Batch-II.png|width=100%]] || || 2021년 9월 방위사업청이 공개한 KSS-III Batch-II의 3D 모델링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 해군]]과 [[방위사업청]]이 추진 중인 '''KSS-III Batch-II'''(장보고-III Batch-II) 사업은, [[도산안창호급 잠수함]](KSS-III Batch-I) 대비 크기와 배수량이 커지고 개선된 신형 잠수함 3척을 2016년부터 2029년까지 약 3조 4,100억 원을 투자해 국내 건조로 확보하는 사업이다. 길이 89m, 수상 배수량 3,600톤급의 KSS-III Batch-II는 [[재래식 잠수함|AIP 탑재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으로, 수중 작전능력·탐지 능력·무장 등에서 앞선 기술이 적용된다. 특히 핵심 성능인 잠항 시간을 늘리기 위해 납축전지가 아닌 리튬이온전지를 중·대형 잠수함 중 세계에서 2번째로 적용해,[[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70382|#]] 수중작전 지속능력과 고속기동 지속시간이 늘어났다. 또 전투체계 및 소나체계를 개선해 표적 탐색 능력 등 잠수함의 생존성과 작전운용 능력을 높였다. 이와 함께 주요 장비에 대한 국산화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어, 국산화율이 80% 이상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산안창호급의 국산화율은 76%라고 한다.] 2021년 8월 13일 대우조선해양에서 착공을 시작하였고 2021년 12월 30일 KSS-III Batch-II의 두 번째 함 착공을 시작하였다. KSS-III Batch-II의 선도함은 2026년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며, 두 번째 함은 2026년에 진수되어 2028년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 동급함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함종[br]선체번호''' || '''함명''' || '''기공''' || '''진수''' || '''인수''' || '''취역''' || '''건조사''' || '''비고''' || || SS 087 || - || 2023년 3월 30일[[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868745|#]] || 2025년 4월 예정[[https://www.youtube.com/watch?v=GRKETvQkcC4|#]] || 2026년 예정 || - || [[한화오션]] || 기공 || || SS 088 || - || - || - || 2028년 예정 || - || 한화오션 || 착공 || || SS 089 || - || - || - || - || - || - || - ||}}} == 사업 진행 경과 == * KSS-III(장보고-III) Batch-II 사업 추진 경과 - 2005년 10월: 장보고-III 중기 신규 소요결정(제214차 합동참모회의) - 2013년 7월: 선행연구(현대중공업) 착수 - 2014년 7월: 선행연구 종료 - 2014년 7월: 작전운용성능 결정(제OO-O차 합동전략회의) - 2014년 9월: 사업추진기본전략 심의(제83회 방추위) - 2015년 11월: 탐색개발기본계획 심의(제OOO회 사분위) - 2016년 7월: 탐색개발(대우조선해양) 착수 - 2018년 12월: 탐색개발 종료 - 2018년 12월: 기본설계시험평가 결과『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 - 2019년 4월: 체계개발기본계획 심의·의결(제120회 방추위) - 2019년 8월: 체계개발(상세설계 및 선도함 건조) 실행계획서 확정 - 2019년 10월: 체계개발 계약체결(대우조선해양) - 2021년 4월 26일: 후속함 건조계획(안) 심의·의결(제135회 방추위) - 2021년 8월 13일: 1번함 착공(Steel Cutting) - 2021년 9월 9일: 2번함 건조 계약(대우조선해양) - 2021년 12월 30일: 2번함 착공(Steel Cutting) * 2016년 7월 19일 대우조선해양은 방위사업청과 KSS-III Batch-II 탐색개발 사업의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의 규모는 약 705억 원이다.[[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341926612716160|#]] 이와 관련, 방위사업청은 2018년 12월 26일 KSS-III Batch-II의 기본설계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 2019년 10월 11일 대우조선해양이 KSS-III Batch-II의 선도함 설계 및 건조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계약의 규모는 1조 1,130억 원이다.[[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928646622651936|#]] * 방위사업청은 KSS-III Batch-II에 [[리튬 이온 배터리]] 체계 탑재를 결정하고 2019년 12월에 납품사로 [[한화 디펜스]]를 선정했다.[[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122313233659164|#]][* 다만 납축전지만 리튬이온전지로 바꾸는 것으로, 일본의 소류급 11, 12번함이나 [[29SS]]처럼 완전한 올-리튬 배터리 추진은 아니다.] 2020년 9월 24일 방위사업청은 2020년 10월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KSS-III Batch-II 잠수함 탑재를 위한 리튬이온 전지 성능 입증시험용 시제품 제작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2021년 4월 26일 제135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후속함 건조계획이 통과돼, 후속함 건조 계약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 2021년 8월 13일 KSS-III Batch-II 선도함 건조를 착공했다. * 2021년 9월 9일 방위사업청은 2번함 도입사업을 위해 대우조선해양과 9,857억 원 규모로 계약을 체결했다.[[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70382|#]] * 2021년 12월 30일 KSS-III Batch-II 2번함 건조를 착공했다.[[https://news.v.daum.net/v/20211230085027181?f=m|#]] == 제원 및 특징 == ||<-3> '''{{{#FFFFFF KSS-III Batch-II}}}''' || ||<-2> '''함종''' ||[[잠수함]](SSB: Ship Submersible Ballistic missile) || ||<-2> '''척당 가격''' || - || ||<-2> '''건조 수량''' ||3척 || ||<-2> '''길이''' ||89.4m || ||<-2> '''폭''' ||9.7 m || ||<-2> '''높이''' ||14.7m || ||<|2> '''[[배수량]]''' || '''수상''' ||3,600톤 || || '''수중''' ||4,000톤 || ||<|3> '''추진체계''' || '''방식''' ||디젤-전기 추진, [[AIP]] || || '''기관''' ||범한 PH1 150kW PEM 연료전지 x4 || || '''추진''' ||1축 추진 || ||<|3> '''최대속력''' || '''수상''' || - || || '''수중''' ||20노트 || || '''수중 (연료전지)''' || - || ||<|3> '''항속거리''' || '''수상 (스노클)''' || - || || '''수중 (배터리)''' || - || || '''수중 (연료전지)''' || - || ||<|2> '''잠항심도''' || '''작전심도''' || - || || '''최대심도''' || - || ||<-2> '''선체소재''' ||[[HY-100]] 고장력강 || ||<-2> '''승조원''' ||50명 || ||<|3> '''소나''' || '''함수''' || - || || '''함측''' || - || || '''예인''' || - || ||<-2> '''레이더''' || - || ||<-2> '''전투체계''' || - || ||<-2> '''탐지체계''' || - || ||<|2> '''무장''' || '''어뢰발사관''' ||533mm ATP 발사관 x6 [br]* [[SUT 중어뢰|SUT Mod.2 중어뢰]] [br]* [[백상어 중어뢰|K-731 백상어 중어뢰]] [br]* [[범상어 중어뢰|범상어 중어뢰(중어뢰-II)]] [br]* [[하푼|UGM-84 하푼]] [[대함 미사일]] [br]* [[현무-3 순항 미사일|해성-III 잠대지순항미사일]] [br]*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160530/1/BBSMSTR_000000010251/view.do|자항기뢰]] || || '''[[VLS]]''' ||VLS x10 [br]* [[현무-IV-4]] || === 특징 === * '''주요 비교 (Batch-I 대비)''' - 배수량 10% 증가 - 전장 89.4m, 전폭 9.7m (각각 5.9m 및 0.1m 증대) - 납축전지를 리튬이온전지로 대체 - 전투체계 및 소나체계 성능개량 - SLBM용 VLS 4셀 추가 (총 10셀) * 핵심 성능인 잠항 시간을 늘리기 위해 리튬이온 전지를 최초로 적용하는데, 개발 중인 리튬이온 전지는 기존 납축전지보다 수중 지속 항해 및 고속 기동 시간이 크게 향상되고 수명은 2배 이상 연장되며, 유지보수 등 편의성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고 한다.[[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12569|#]] [[파일:external/www.korea.kr/11661.jpg]] *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프로펠러 캡에 블레이드와 동일한 수의 캡핀을 익형으로 형성하여 [[https://blog.naver.com/jhst3103/222147836077|소음 및 진동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이고 추진 성능의 향상도 도모하고 있다.]] * 말굽형 소나체계[* 일본의 신형 [[타이게이급]]이나 미해군 [[버지니아급]] 블록3부터 장착되는 종류의 소나이다.]를 장착해 기존 [[도산안창호급 잠수함]]보다 탐지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https://maily.so/sheldon/posts/b5dc04|#]][* 하드웨어적 스펙부터 배치1의 소나보다 3배나 넓다.] 그 외에도 성능이 더 향상된 FAS가 장착되었다고 한다.[[https://m.blog.naver.com/kevin1406/222271990813|#]] * 중량이 2배 가까이 늘어난 신형 SLBM을 위해 대형화된 신형 VLS를 장착할 예정이다.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0&branch=&pn=1&num=99515|#]] 버지니아급의 VPM과 비슷한 용도로도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 KSS-III Batch-II == === 1번함 === * 2021년 8월 13일 대우조선해양에서 장보고-III Batch-II의 1번함 건조를 시작하는 강재절단식을 거행했다. 2026년 해군 인도가 목표다. === 2번함 === * 2021년 9월 9일 방위사업청은 대우조선해양과 2번함 건조 계약을 했다. * 2021년 12월 30일 대우조선해양에서 2번함 건조를 시작하는 착공식을 했다. == 기타 == *선체를 완전 재설계하지 않으면 리튬전지모듈의 효율성이 극대화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있다.[[https://blog.naver.com/rgm84d/222085202643|#]][[https://blog.naver.com/joheim/222087404781|#]] * [[NATO]]의 차세대 데이터링크체계인 Link-22의 탑재를 고려하고 있는 듯 하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1099682&search_head=110&page=1|#]] * 2030년 전력화 목표로 [[대잠정찰용 무인잠수정]]이 KSS-III Batch-II AI유무인 복합체계를 위해 개발되고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K7HJpxQDP-U|#]] == 관련 영상 == [youtube(9sUVlphQSGk)] == 관련 문서 == * [[해상 병기/현대전]] * [[잠수함]] * [[재래식 잠수함]] * [[해군력/잠수함]]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도산안창호급 잠수함, version=514, paragraph=6)] [[분류:잠수함]][[분류:대한민국 국군/군함]][[분류:2026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