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디오헤드)] [include(틀:OK Computer)] ||<#FFFFFF> '''Karma Police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9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82)]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522)]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279, 연도=2021)]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싱글 차트,순위=8)] ---- }}} || ||<#FFFFFF><-2> '''{{{+1 Karma Polic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IJI6soiQhI, width=100%, height=200)]}}} || || '''싱글 발매일''' ||[[1997년]] [[8월 25일]] || || '''앨범 발매일''' ||[[1997년]] [[6월 16일]] || || '''녹음일''' ||[[1996년]] [[7월]] – [[1997년]] [[3월]]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아트 록]], [[포스트 브릿팝]] || || '''러닝 타임''' ||4:25 || || '''작사/작곡''' ||[[라디오헤드]] || || '''프로듀서''' ||나이젤 고드리치, [[라디오헤드]]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928;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86BAC7, #F8F6F9); font-size: .8em" [[OK Computer|{{{#000 '''OK Computer'''}}}]]}}} || ||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width=28]]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br][[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width=35]]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르마폴리스.jpg|width=100%]]}}}|| || '''싱글 커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FFF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1uYWYWPc9HU,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Ek_mtJ_ssM, height=200)]}}} || || '''뮤직 비디오''' || '''1997년 글래스톤베리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wbGBI--hFk,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2CZbTUUScY, height=200)]}}} || || '''1998년 파리 암네스티 인터네셔널 라이브''' || '''2003년 글래스톤베리 라이브''' || ||<#F8F6F9>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MP_rDdI2CQ, height=200)]}}}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IOBLlehkpA, height=200)]}}} || || '''2012년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 라이브''' || '''2016년 롤라팔루자 라이브''' || 1997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3집 [[OK Computer]]의 여섯 번째 트랙으로 수록된 곡이자 두 번째 싱글. == 상세 == >'''만일 [[존 레논]]이 90년대에까지 살아 있었다면 이런 노래를 썼을 것''' - 모조 매거진 어둡고 음울한 분위기의 곡으로 업라이트 피아노와 어쿠스틱 기타가 주가 되는 곡으로 초중반부는 약간 음산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 때문인지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편.[* 하지만 이 음산함도 다음 작품인 [[Kid A]]의 곡들에 비하면 약과이다.] 뮤직 비디오도 상당히 무서운 편. 하지만 다양한 전자 효과음들의 도입, 치밀한 구성, 라디오헤드 특유의 슬프지만 몽환적인 사운드가 환상적이라는 평을 많이 받았고, [[OK Computer]]의 대표적인 명곡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톰 요크에 따르면, 이 곡은 '개인적인 것이 허용되지 않는, 거대한 톱니바퀴 같은 조직 사회에 대한 비판'이라고 한다. 그러한 조직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보스나 관리자들에 대해 느끼는 증오심을 '인과응보 경찰관'에 빗대어 표현했다는 것. 위에서 말했듯 라디오헤드와 [[OK Computer]]의 곡들 중에서 특히 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고, 덕분에 대부분의 라디오헤드 리스트에서 5위 안에는 꼭 들고 있는 곡이다. 최근 [[Kid A]]와 [[Amnesiac]]의 곡들이 점점 평가가 높아지면서 5위권 밖으로 밀려나기도 하지만 10위 안에는 반드시 드는 곡이다. 또한 한국에서는 Creep과 No Surprises가 너무 압도적으로 유명해서 대부분 모르지만 해외에서는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의 인지도도 상당한 편이다. 라디오헤드 곡 중에서는 최대 떼창곡이다.[* [[Creep]]과 [[Paranoid Android]]가 해외든 국내든 더 유명하다고 볼 수 있지만 두 곡 특성상 요것만큼 떼창이 잘 안 빠진다.] 참고로 뮤직비디오 감독은 영화 [[언더 더 스킨]]의 감독인 [[조나단 글레이저]]이다. 이 뮤비는 걸작으로 칭송받고 있다, 다만 글레이저 본인은 '마릴린 맨슨이 버린 컨셉'을 재활용한 실패작이라고 자학했다. [* 본인은 같은 콘셉트라면 이 뮤비보다는 [[UNKLE]]의 Rabbit in Your Headlights를 더 높게 친다고. 그런데 우연이게도 해당 곡에서도 톰 요크가 피처링으로 노래를 불렀다. 마릴린 맨슨은 본 뮤비를 싫어했지만, 반응을 전한 뮤직 비디오 감독 랜디 소신은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톰 요크는 '촬영할 때 술마셔서 만족했다.'라는 반응. 차에 쫓기는 남자는 헝가리 배우 라즐로 코박스가 [* 해외에서는 [[베를린 천사의 시]] 조역으로 알려져 있다.] 맡았는데, 달리다가 다리에 쥐나거나 불 킬때 손가락 화상을 입는 등 고생했다고 한다. 코박스는 이후 글레이저의 기네스 광고에도 다시 출연했다. == 가사 == ||<-2><#FFF> ---- '''{{{+2 Karma Police}}}'''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fff, #86BAC7, #FFF)" {{{ Karma police, arrest this man [[카르마|{{{#AF6248 카르마}}}]] 경관님, 이 남자를 체포해 주세요 He talks in maths 그는 수학으로 말을 하는데 He buzzes like a fridge 꼭 냉장고처럼 웅웅대면서 말을 하는 게 He's like a detuned radio 주파수를 잘못 맞춘 라디오 같아요 Karma police, arrest this girl 카르마 경관님, 이 여자애를 체포해 주세요 Her Hitler hairdo 그녀의 [[아돌프 히틀러|{{{#AF6248 히틀러}}}]] 스타일 머리는 Is making me feel ill 저를 구역질나게 해요 And we have crashed her party 그래서 우리는 그녀의 세력을 짓눌렀죠 This is what you get 이건 네 업보야 This is what you get 이건 네 업보야 This is what you get 이건 네 업보야 When you mess with us 네가 우리와 얽혀든 업보 Karma Police 카르마 경찰관님 I've given all I can 제가 드릴 수 있는 건 모두 드렸는데 It's not enough 아직 부족하네요 I've given all I can 제가 드릴 수 있는 건 모두 드렸는데 But we're still on the payroll 전 아직도 고용된 처지네요 This is what you get 이건 네 업보야 This is what you get 이건 네 업보야 This is what you get 이건 네 업보야 When you mess with us 네가 우리와 얽혀든 업보 For a minute there 그 잠깐 동안에 I lost myself, I lost myself 난 미쳤던 거야, 미쳤던 거야 Phew, for a minute there 휴, 그 잠깐 동안에 I lost myself, I lost myself 난 미쳤던 거야, 미쳤던 거야 For a minute there 그 잠깐 동안에 I lost myself, I lost myself 난 미쳤던 거야, 미쳤던 거야 Phew, for a minute there 휴, 그 잠깐 동안에 I lost myself, I lost myself 난 미쳤던 거야, 미쳤던 거야}}} ---- [[라디오헤드|[[파일:라디오헤드 로고.png|height=30]]]] || == 여담 == * 제목인 Karma Police는 밴드 내에서 하던 농담으로 라디오헤드 내에서 누군가 잘못을 하면 고자질하는 대상이 Karma Police였다고 한다. * 뮤직비디오 촬영 중 톰은 뒷좌석으로 배기 가스가 새어나와 죽을 뻔했다고 한다. * 곡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비틀즈의 [[Sexy Sadie]]에서 영향을 받았다. * [[오아시스(밴드)|오아시스]]의 [[노엘 갤러거]]는 [[라디오헤드]]를 까면서도 이 곡을 자신의 베스트로 뽑았다. * 가사를 읽어보면 악의 평범성으로 해석될 여지가 많은 노래이다. [[분류:OK Computer]][[분류:라디오헤드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