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GMT 디스코그래피)] ----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 '''Kids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171)]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381)]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항목=2000년대 최고의 노래,순위=46)] ---- }}} || ---- ||<-2><#E9D9C0> '''{{{#000 {{{+1 Kid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gmt_kids.jpg|width=100%]]}}} || || '''발매일''' ||[[2008년]] [[10월 13일]] || || '''앨범 발매일''' ||[[2007년]] [[10월 2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9EB2D3 0%, #D0A4C9 50%, #9EB2D3 100%)" [[Oracular Spectacular|{{{#000 '''Oracular Spectacular'''}}}]]}}} || || '''장르''' ||[[신스팝]], [[일렉트로팝]] || || '''재생 시간''' ||5:02 ^^(앨범 버전)^^[br]3:30 ^^(라디오 편집)^^ || || '''작사/작곡''' ||[[MGMT]] || || '''프로듀서''' ||데이브 프리드먼, [[MGMT]] || || '''레이블''' ||[[컬럼비아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VHb_XIql_gU,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fe4EK4HSPkI,height=200)]}}} || || '''음원''' || '''공식 뮤직 비디오''' || [[MGMT]]의 데뷔 음반 [[Oracular Spectacular]]의 다섯 번째 트랙이자 마지막 싱글. == 상세 == [[MGMT]]의 대표곡으로 대중적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노래이다. 벤이 대학 신입생 시절 새벽에 술에 쩔어 우울감에 젖은 채로 쓴 곡인데 많은 이들이 이 곡을 좋아하며 신나 하는 것을 보며 아이러니함을 느낀다고 한다. [[머니코드]]를 사용해 만들어진 곡으로 친숙하고 따라 부르기가 쉬워 지금의 MGMT를 있게 한 곡이라 할 수 있다. [[빌보드 얼터너티브 송 차트]]에서 9위를 차지했고 [[NME]]에서는 이 곡을 '''2008년 올해의 싱글'''로 선정하기도 했다. [[가십걸]], [[FIFA 시리즈]]에서 사용되었고 그 외에도 수많은 예고편 영상 또는 배경음악으로 쓰이면서 우리 나라에서도 꽤나 유명한 곡이다. 특히 [[배철수의 음악캠프]]의 인트로 곡이기도 한다. 여담으로 전 [[프랑스 대통령]] [[니콜라 사르코지]]는 이 곡을 선거 캠페인 송으로 무단으로 사용하다가 고소미 먹은 적이 있다.(...) == 가사[* 출처 : [[https://m.blog.naver.com/lcaus7/221631643063|링크]]] == ||<:> ---- '''{{{+4 Kids}}}''' ---- [Verse 1] You were a child 너는 아이였었지 Crawling on your knees toward it 엉금엉금 앞으로 기어가며 Making momma so proud 엄마가 아주 자랑스러워하는 아이 But your voice is too loud 하지만 네 울음소리는 크기만 하지 We like to watch you laughing 우리 모두 네가 웃는 모습을 보고 싶어 You pick the insects off plants 후에 무슨 결과를 불러올지 모른 채 No time to think of consequences 벌레들을 식물에서부터 떼어놓지만 [Chorus] Control yourself 자신을 자제해봐 Take only what you need from it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만 수확하고 A family of trees wanting 여기저기 심어진 나무들 모두 To be haunted 사람들이 더 방문해주길 원해 Control yourself 자신을 자제해봐 Take only what you need from it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만 수확하고 A family of trees wanting 여기저기 심어진 나무들 모두 To be haunted 사람들이 더 방문해주길 원해 [Verse 2] The water is warm 물은 따뜻하지만 But it's sending me shivers 알 수 없는 오한이 느껴져 A baby is born 아이는 태어나서 Crying out for attention 관심받기 위해 울기 시작하지 The memories fade 시간이 흐르면 기억은 희미해지지 Like looking through a fogged mirror 마치 흐릿한 거울을 보는 것처럼 말이야 Decision to decisions are made 모든 결정들은 만들어지는 것이지 And not bought 사는 것이 아니야 But I thought this wouldn't hurt a lot 나는 이것이 그렇게 고통스럽지 않을 것 같았지만 I guess not 그게 아니었나 봐 [Chorus] Control yourself 자신을 자제해봐 Take only what you need from it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만 수확하고 A family of trees wanting 여기저기 심어진 나무들 모두 To be haunted 사람들이 더 방문해주길 원해 Control yourself 자신을 자제해봐 Take only what you need from it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만 수확하고 A family of trees wanting 여기저기 심어진 나무들 모두 To be haunted 사람들이 더 방문해주길 원해 Control yourself 자신을 자제해봐 Take only what you need from it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만 수확하고 A family of trees wanting 여기저기 심어진 나무들 모두 To be haunted 사람들이 더 방문해주길 원해 Control yourself 자신을 자제해봐 Take only what you need from it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만 수확하고 A family of trees wanting 여기저기 심어진 나무들 모두 To be haunted 사람들이 더 방문해주길 원해 Control yourself 자신을 자제해봐 Take only what you need from it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만 수확하고 A family of trees wanting 여기저기 심어진 나무들 모두 To be haunted 사람들이 더 방문해주길 원해 Control yourself 자신을 자제해봐 Take only what you need from it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만 수확하고 A family of trees 나무들 모두 ---- [[MGMT|[[파일:mgmt_logo.png|width=90]]]]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GMT, version=82)] [[분류:2008년 싱글]][[분류:2007년 노래]][[분류:인디 록]][[분류:신스팝]][[분류:일렉트로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