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nSgHNyEfXw)]}}} || || {{{-1 '''수록 정보'''}}} ||{{{-1 [[DJMAX 온라인|DJMAX Online]]}}} {{{-3 (2005)}}} || || {{{-1 '''장르'''}}} ||{{{-1 Techno}}} || || {{{-1 '''BPM'''}}} ||{{{-1 145}}} || || {{{-1 '''작곡'''}}} ||{{{-1 [[Forte Escape]]}}} || || {{{-1 '''BGA'''}}} ||{{{-1 [[NG(일러스트레이터)|NG]]}}} || == 개요 == >오리지널 나이트필을 의도한 단순한 멜로디에 파워풀한 사운드가 어울려 경쾌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살리려고 했다. >BGA와의 완성도와는 별개로 싱크로율이 제로여서 아쉬웠던 곡. Forte Escape가 DJMAX 온라인에 투고했던 곡으로 Techno 장르를 들고 나왔다. 멜로디는 단순하지만 그와는 별개로 곡의 완성도는 상당히 높은 편. 특히 중반부의 전자음이 이 곡의 하이라이트인데 상당히 중독성이 강해 이 부분을 듣고 이 곡에 매료된 유저들이 상당히 많다. 덕분에 DJMAX 온라인 시절에도 인기가 꽤 많았다. 다만 BGA와의 싱크로율이 제로라는 점이 함정(...). == [[DJMAX 온라인]] == == [[DJMAX Trilogy]] == ||<-5>
<#069> [[DJMAX Trilogy|{{{#white '''DJMAX Trilogy'''}}}]] || || '''모드''' || '''NM''' || '''HD''' || '''MX''' || '''SC''' || ||<#00a2e8> '''4K''' || 4 || 8 || - || - || ||<#0c0> '''5K''' || 8 || 11 || 12 || - || || '''6K''' || 6 || 9 || - || - || ||<#f08> '''7K''' || 8 || 12 || 13 || - || ||<#b800b8> '''8K''' || 11 || - || - || - || 나름 인기도 있었는데 어째서인지 차기작에 수록되지 않았다가 [[DJMAX Trilogy]]에서 다시 등장했다. 그리고 트릴로지의 [[Rave 2 Wave|어느 악랄한 미션]]에서 가장 악랄한 난이도를 보여주고 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EMOTIONAL SENSE)]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nowledge System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77de, #27bf5a, #33de25)" '''{{{#181818 EMOTIONAL S.}}}'''}}} || ||<-4>'''{{{+5 Knowledge System}}}'''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8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05}}} || -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165}}}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0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1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92}}}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0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9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78}}}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8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0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88}}}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234}}}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66adee, #86d4a1, #81d87a)" {{{-3 {{{#fff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DJMAX RESPECT V/DPC|DPC 2023]] 대상곡으로 포함되었기에 5B과 6B의 SC 패턴이 추가될 예정이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6UWunZpeX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JgADeDz7FA)]}}}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dg14l0z44Q)]}}} || || 4버튼 SC는 잊을 만하면 끼어드는 연타와 [[HAMSIN]] SC를 연상케 하는 최후반의 동시치기 따닥이 후살이 압권으로, SC 12레벨 패턴 중에서도 상위 수준의 패턴이다. 연타 안정성과 따닥이 처리력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SC 13레벨 수준으로 체감할 수도 있는 패턴. SC 패턴 레벨 개편 이전에는 현재의 SC 7~10레벨에 준하는 14레벨에 속해 있었던 패턴이다. 당연히 [[불렙곡|불렙]]이라는 평가가 압도적이었고, 그로 인해 시즌 1 업데이트 당시 SC 패턴 난이도 조정에서 15레벨로 상향되었다. 이후 시즌 6 업데이트의 SC 난이도 개편 패치에서는 12레벨[* 개편 전 15레벨 중상위권에 준한다.]에 배정.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XtQfPPPxv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2UrQ05LoDw)]}}}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EhcBcGeko0)]}}} ||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AITZ4Zu69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TVint974D8)]}}}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ZopkT5WC9g)]}}} ||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tTshZp7Fa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ryijwXKuv0)]}}}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vSoasayJHw)]}}}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JAa5pFtDgw)]}}}|| 8B SC는 꾸준히 나오는 트리거 연타가 특징적이다. 최후반까지는 트리거 응용도가 그리 높지는 않으나, 최후살에서 엄지와 다른 손가락을 번갈아 쓰는 트리거 복합 트릴이 등장하는데, 트릴이 시작되는 지점을 유심히 보고 손가락 위치를 제대로 처리하는 것이 중요. 트리거에 아직 익숙치 않은 유저라면 해당 구간에서 고전할 수 있어 어느정도 주의가 필요하지만, 11레벨 러너들에게는 그리 어려운 패턴은 아닌데다가 트리거 연타도 BPM이 높지 않아 통상적으로는 11레벨 하위권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