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LA 글래디에이터즈)] [include(틀:LA 글래디에이터즈/역대 시즌)] [목차] == 오프시즌 == ||<-2> '''영입''' ||<-2> '''방출''' || || [[이터널 아카데미|[[파일:7L4PNQPEE3BO1550788994461.pn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5]] '''MuZe[br][[김영훈(2002)|김영훈]]''' ||<|3> ''은퇴''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width=25]] '''Jaru[br][[제이슨 화이트]]''' || || [[광저우 차지|[[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shu[br][[김진서(프로게이머)|김진서]]'''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Shaz[br][[요나스 수오바라]]''' || || [[샌프란시스코 쇼크|[[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moth[br][[그랜트 에스피]]'''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BigG00se[br][[벤자민 이소하니]]''' || || [[OZ Gaming/오버워치|[[파일:OZ_Gaminglogo.pn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width=25]] '''skewed[br][[김민석(프로게이머)|김민석]]''' || [[플로리다 메이헴|[[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height=40]]]]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5]] '''OGE[br][[손민석]]''' || ||<-2><|2> ||<|2> ''N/A''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5]] '''Bischu[br][[김형석(프로게이머)|김형석]]''' ||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width=25]] '''LhCloudy[br][[로니 티이호넨]]''' || == 정규시즌 == ||<-6> {{{#fff '''LA 글래디에이터즈 21시즌 정규시즌 성적'''}}} || || {{{#fff 스테이지 }}} || {{{#fff 승-패 }}} || {{{#fff 순위(서부) }}} || {{{#fff 순위(전체) }}} || {{{#fff 세트 득실 }}} || {{{#fff 토너먼트 }}} || || 5월 토너먼트 || '''{{{#008600 2-2}}}''' || 7 || 11 || +2 || 진출 실패 || || 6월 토너먼트 || '''{{{#0000eb 4-0}}}''' || 1 || 6 || +9 || 4강 탈락 || || 서머 쇼다운 || '''{{{#008600 2-2}}}''' || 6 || 7 || +2 || 4강 탈락 || || 카운트다운 컵 || '''{{{#0000eb 3-1}}}''' || 2 || 4 || +7 || 우승 || || 정규 시즌 성적 || '''{{{#0000eb 14-5}}}''' || 2 || 4 || +20 || 승점 3점 추가[br] 플레이오프 || '''{{{#0000eb 파란 글씨}}}'''는 승리가 많을 경우, '''{{{#eb0000 빨간 글씨}}}'''는 패배가 많을 경우, '''{{{#008600 초록 글씨}}}'''는 승패마진이 1 이하일 경우다. * '''5월 토너먼트''' 1) vs. SFS - 1:3 패 2) vs. DAL - 1:3 패 3) vs. LDN - 3:0 승 4) vs. BOS - 3:0 승 스크림 기반 파워랭킹에서 높은 순위를 측정받으며 강팀이다 라는 기대를 받았지만 예선전에서 2승 2패에 댈러스 퓨얼에 승자승으로 밀려서 7위로 토너먼트 예선에 한 끗 차이로 들어가지 못하는 다소 아쉬운 결과가 나왔다. 특히 승자승으로 올라간 댈러스가 5월 토너먼트 우승을 차지했기에 더더욱. * '''6월 토너먼트''' 1) vs. VAN - 3:0 승 2) vs. ATL - 3:1 승 3) vs. BOS - 3:1 승 4) vs. PAR - 3:1 승 1) 토너먼트 예선 4강: vs. DAL - 1:3 패 5월 토너먼트의 부진과는 다르게 좋은 기량을 보여주면서 예선 4전 전승이라는 결과를 냈다. 그러나 예선 4강에서 댈러스 퓨얼에게 패배해 본선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 '''서머 쇼다운''' 1) vs. SFS - 3:2 승 2) vs. PAR - 2:3 패 3) vs. TOR - 3:0 승 4) vs. WAS - 2:3 패 1) 토너먼트 예선 6강: vs. BOS - 3:0 승 2) 토너먼트 예선 4강: vs. ATL - 2:3 패 2승 2패의 예선 성적을 거두며 6위로 6강 진출에 성공했다. 3위 [[보스턴 업라이징]]과의 경기에서 끊임없는 뒷라인 압박을 보여주면서 몰아붙였고, 3대 0 셧아웃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4강전에서 [[애틀란타 레인]]에 3대 2로 아쉬운 석패를 당하며 본선에 또 한 번 진출하지 못하는 아쉬운 결과를 받았다. * '''카운트다운 컵''' 1) vs. ATL - 2:3 패 2) vs. WAS - 3:0 승 3) vs. FLA - 3:1 승 4) vs. HOU - 3:0 승 1) 토너먼트 예선 4강: vs. SFS - 3:2 승 2) 토너먼트 본선 4강: vs. CDH - 3:2 승 3) 토너먼트 본선 승자 결승: vs. ATL - 3:0 승 4) 토너먼트 본선 결승: vs. CDH - 4:3 승 좋은 기량을 보여주면서 예선 2등으로 녹아웃 4강 자리를 확보했다. 강호였지만 흔들리기 시작하는 [[댈러스 퓨얼]]을 3대 0으로 잡아내고 올라온 [[샌프란시스코 쇼크]]와 치른 4강전에서, 3대 2로 풀세트 풀라운드 접전 끝에 승리를 가져가며 첫 토너먼트의 기쁨을 만끽할 수 있게 되었다. 토너먼트 4강전에서 청두와 경기를 치렀는데, 3대 2로 근소하게 승리를 가져왔다. 이후 진행된 승자 결승에서 애틀랜타 레인을 3대 0으로 손쉽게 이기며[* 애틀란타의 주전 서브딜러 PELICAN이 기흉 문제로 하와이에 가지 못해서 전력을 내지 못한 점도 있었지만..] 승리를 가져왔다. 첫 토너먼트에서 결승전까지 무패 행진을 달리며 나아가고 있다. 이후 8월22일 버드링과 슈의 하드캐리로 결승전에서 청두를 4:3으로 잡으면서 드디어 창단이래 첫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명불허전 탑티어 탱커인 스페이스와 리그에 처음 발을 디딘 메인탱커 뮤즈의 견고한 탱라인과, 몇 번의 슬럼프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좋은 폼을 유지하는 버드링, 겐지와 트레이서뿐만 아니라 여러 딜러를 수준급으로 구사하는 켑스터의 딜라인, 쉽게 죽지 않고 계속해서 변수를 창출해내는 스큐드와 슈, 그리고 모스의 힐러라인까지 합쳐져 2021 오버워치 리그 서부의 강팀으로 평가받는다. 카운트다운 컵에서는 시즌 초 서부 최강팀이었던 [[댈러스 퓨얼]]이 흔들리는 사이 서부의 전통 강호 [[샌프란시스코 쇼크]]를 누르고 토너먼트 본선에 올라가더니 결국 우승까지 차지하며 이제 서부의 최강은 댈러스가 아닌 LA 글래디에이터즈라는 의견도 많아졌다. * '''플레이오프''' 1) 8강 vs. PHI - 3:1 승 2) 4강 vs. SHD - 1:3 패 3) 패자 2라운드 vs. ATL - 2:3 패 4강에서 강팀 상하이와 애틀랜타의 벽을 넘지 못하고 5위로 시즌을 마무리짓게 되었다. [[분류:LA 글래디에이터즈]]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LA 글래디에이터즈, version=1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