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사전적 의미,rd1=언어, other2=포터 로빈슨의 곡, rd2=Language(포터 로빈슨), other3=후속 앨범인 SECOND LANGUAGE의 수록곡, rd3=SECOND LANGUAGE, other4=Boys Like Girls의 노래, rd4=LANGUAGE(Boys Like Girls))] [include(틀:XXX)] ||<#1f2120> ''' ''LANGUAGE''의 주요 수상 내역''' || ||<#fff,#000>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include(틀:한국 힙합 어워즈 올해의 힙합 앨범 수상)] ---- ||<-5><#0d0d0d> '''[[한국대중음악상|[[파일:KMAlogoblack1.jpg|width=120]]]]''' || ||<-5><#0d0d0d> '''{{{#e5d85c 최우수 랩&힙합 노래}}}''' || || 2018 || || '''2019''' || || 2020 || || ''[[시차 (We Are)]]''[br]{{{-2 [[우원재]] }}} || {{{+1 →}}} || ''' ''간주곡''[br]{{{-2 [[XXX(가수)|XXX]]}}}''' || {{{+1 →}}} || ''[[이방인(앨범)|그XX아들같이]]'' {{{-2 [[E SENS]] }}} || [include(틀:온음 2018 총결산 선정 결과)]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2018 앨범 차트,순위=150)]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 |||| ||<-2> ''' ''{{{+1 LANGUAGE}}}''[br]랭귀지'''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XXXLANGUAGE.jpg|width=100%]]}}} || || '''아티스트''' || [[XXX(가수)|XXX]] || || '''발매'''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18년]] [[11월 28일]] || || '''장르''' || [[힙합]] • [[익스페리멘탈 힙합]] • [[인더스트리얼|인더스트리얼 힙합]] • [[일렉트로닉]] • [[퓨처 베이스|웡키]] || || '''길이''' || 39:48 || || '''트랙''' || 10곡 || || '''레이블''' || [[Beasts And Natives Alike]] || || '''유통''' || [[Dreamus]] || || '''타이틀''' || 수작[br]간주곡 || [목차][clearfix] == 개요 == 2018년 11월 28일에 발매된 [[XXX(가수)|XXX]]의 정규 1집의 CD 1. [[SECOND LANGUAGE]]와 쌍을 이루는 앨범이다. == 상세 == XXX의 데뷔 앨범인 ''[[KYOMI]]''가 나온 지 햇수로 3년만, [[김심야]]의 직전 작품인 ''[[Moonshine]]''이 나온 지 딱 1년 만에 나온 첫 정규 앨범이다. 본래는 1년 전에 나온 ''[[Moonshine]]''보다도 먼저 완성된 앨범이라고 한다. 그러나 음악 외적인 부분에서 본인들의 의도와 어긋나는 부분들이 살짝 존재했고, 그것들을 처리하기 위해 [[비스츠앤네이티브스|BANA]] 김기현 대표의 의견을 따라 발매를 꽤 미루게 되었다고 한다. 본래 이 앨범은 ''[[KYOMI]]''를 작업하고 생긴 회의감에서부터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하는데, [[FRNK]]와 김심야가 그간 예술의 분야에서 활동하면서 느껴온 것이 예술이 본인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너무 의미가 없다' '''라는 것이었다. 김심야와 프랭크는 창작자의 의도는 중요치 않게 여겨지고 받아들이는 사람들에 의해서 창작자가 만든 결과물이 예술이 될 수도 아닐 수도 있게 여겨진다는 점에서 허탈함과 분노를 크게 느꼈고, 그리고 이런 허탈한 감정과 분노를 다시금 본인들의 작업물로 풀어낸 것이 본 앨범, '''LANGAUGE'''라고 볼 수 있겠다. 프랭크의 말에 따르면 본래는 이런 허탈함을 풀어내던 앨범이다 보니 제목에 대해서도 크게 생각이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본래는 제목이 아예 없는 방식으로 완성하려고 했고 심지어 김심야는 앨범의 제목을 '1집'이라고 짓고자 했었다.[* 예전 80~90년대 한국 음반의 이름들이 하나같이 조용필 1집 등의 이름으로 짓는 것이 나름 멋있게 보였다고.] 하지만 만약 정말 앨범이름을 1집이라도 지을 경우, 홍보 등의 문제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었기 때문에 회사와의 조율 끝에 앨범이름을 ''[LANGUAGE]''로 짓게 되었다고 한다. 나라마다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고 같은 언어를 쓰더라도 말의 어투나 톤에 따라서 의미가 전혀 다르게 전달되는 걸로 빗대어 볼 때 본 앨범이 본인들에게는 언어 같은 앨범이기 때문이었다고. 그래서 앨범에는 본인들이 어떻게 말을 했든 듣는 사람들이 듣고 판단하게 여러모로 해석의 여지를 열어두고 싶은 의도가 반영되었다. 앨범 아트의 경우 전작인 ''[[KYOMI]]''의 표지에 있는 글자와 립스틱을 흰색 네모로 덮어버린 것이다. 앨범 부클릿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디자인되었다. 본 앨범은 한정반이 따로 존재하는데 한정반의 경우 "Just Like"과 "Noise"가 보너스 트랙으로 들어있고 은색 유광의 아웃 케이스와 스티커가 포함되어있다. == 앨범 소개 == >'''SECOND LANGUAGE''' > >무뢰배 >우린 >우아 >Bougie >FAD >Scale Model >Language >괜찮아 >다했어 >사무직 XXX의 다음 앨범이자 이 앨범과 함께 더블 앨범을 이루는 ''[[SECOND LANGUAGE]]''의 트랙리스트가 적혀 있다. == 발매 전 == 2017년 9월, XXX는 [[E SENS]]의 전국투어 The Anecdote Tour 서울 공연 마지막날 오프닝 무대에서 발매를 앞둔 자신들의 정규 1집 앨범 제목이 [LANGUAGE]이며, 현재 곡은 전곡 완성되었고, 막바지 작업 중에 있다고 밝혀 팬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그리고 김심야는 이 앨범에 대해 '''‘향후 5년간 이 앨범을 뛰어넘는 앨범이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앨범에 대한 자신감을 과감하게 표출해 현장을 찾은 팬들을 열광케 했다.[[http://hiphople.com/index.php?_filter=search&mid=news_kr&search_target=title&search_keyword=xxx&page=2&division=-12977840&last_division=0&document_srl=10707251|#]] [[파일:뭐 어쩔까 그럼.jpg|width=500]] 2018년 2월 7일, 앨범 선공개 싱글 '[[XXX(가수)/음반 목록#s-2.2|뭐 어쩔까 그럼]]'을 발표했다. 오랫동안 소식이 없던 와중에, 2018년 7월 27일 부산 해운대에서 진행된 페스티벌 무대에서 김심야가 직접 10월에 [LANGUAGE]가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http://hiphople.com/index.php?_filter=search&mid=news_kr&search_target=title&search_keyword=xxx&division=-12977840&last_division=0&document_srl=12396652|#]] 2018년 9월, 뉴욕패션위크에서 앨범의 수록곡을 최초 공개했다. [[힙합엘이]]에서 현장 직촬 영상 일부을 독점공개했다. 후에 'Just Like'임이 밝혀졌다.[[http://hiphople.com/index.php?_filter=search&mid=news_kr&search_target=title&search_keyword=xxx&division=-12977840&last_division=0&document_srl=12567497|#]] [[파일:Just Like.jpg|width=500]] 2018년 10월 16일, 앨범 선공개 싱글 '[[XXX(가수)/음반 목록#s-2.5|Just Like]]'를 발표했다. 이는 [[빌보드]]에 소식이 실리기도 하여 여전한 해외의 관심을 확인했다. 본 앨범 소개에서 [LANGUAGE]가 11월에 발매될 것을 예고하였다. [[파일:수작.jpg|width=500]] 2018년 11월 15일, 앨범 선공개 싱글 '[[XXX(가수)/음반 목록#s-2.6|수작]]'을 발표하며, 19일 예약판매 시작, 28일 앨범 발매될 것임을 예고했다. [[https://youtu.be/7v7V3idk0gY|듣기]] [[파일:랭귀지 트랙리스트.jpg.jpg|width=500]] 2018년 11월 16일, 앨범의 메인 아트워크와 공식 트랙리스트를 발표했다. 예약기간에만 구매가능한 한정반에는 'Just Like'를 포함하여 보너스 트랙 2곡이 수록되었다. [[힙합엘이]] 기사 내용에 따르면 아트워크는 이들의 EP [[KYOMI]]의 아트워크를 그대로 활용하여 컨셉을 만들었다고 한다.[[http://hiphople.com/index.php?mid=news_kr&page=2&document_srl=12967122|#]] 2018년 11월 19일, 앨범 한정반의 예약판매가 시작되었고, 단 하루만에 한정반 2,000장이 품절되었다. 2018년 11월 28일, 앨범 음원, 음반이 정식 발매되었다. 발매와 동시에 [[SECOND LANGUAGE]]라는 제목 아래 10곡의 새로운 트랙리스트를 공개하면서, 본 앨범과 2CD 더블 앨범을 구성할 두번째 CD가 발매될 것임으로 예고했다. == 평가 == [include(틀:이즘, 링크=http://izm.co.kr/contentRead.asp?idx=29399&bigcateidx=1&subcateidx=3&view_tp=1, 점수=★★★★☆)] [include(틀:리드머, code=18506, 점수=★★★☆)] >'''이런 힙합 음악도 있다. 아니다, 이런 음악도 있다.''' >---- > ─ [[https://weiv.co.kr/archives/23912|WEIV가 꼽은 올해의 앨범 (국내)]] 中 > 그들은 보여준다, 진정한 ‘어나더 레벨’이 무엇인지. FRNK는 독보적인 작법으로 듣는 이들을 극도의 긴장과 혼란으로 몰아넣고, 그에 녹아드는 Kim Ximya의 발군의 랩은 인상적이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보여준다, 안 팔리는 아티스트의 운명이 과연 무엇인지. XXX는 현재 한국 힙합 씬의 흐름을 통째로 부정하고 자신들의 예술의 뛰어남을 역설하지만, 동시에 자신들의 예술을 부정하고 씬의 흐름을 질투하는 모순을 보인다. 결국 본작이 가져다준 것은 어떤 예술가가 자해하며 만들어낸 황폐함이고, 그 황폐함으로 그들은 묻는다. 이것 또한 예술인가. > >– coloringCYAN, [[온음(음악 웹진) | 온음]] '''2010년대 한국 익스페리멘탈 힙합을 대표하는 명반.''' 다수의 리스너들에게 2010년대 최고의 국내 힙합 앨범으로 가장 많이 꼽히는 앨범 중 하나로, [[킁]], [[이방인]] 등 굵직한 앨범이 많이 나오던 2010년 후반에서도 다수의 힙합 리스너들에게 엄청난 극찬을 받았다. 그 반응이 헛물은 아니라는 듯, 평론가들 사이에서도 평은 매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즘|IZM]]에서 별점 4.5/5를 주며 극찬을 했으며, [[https://izm.co.kr/contentRead.asp?idx=29399&bigcateidx=1&subcateidx=3&view_tp=1|#]][* 한국 힙합 음반 중, [[화지]]의 [[ZISSOU]]와 함께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음악취향Y]]에서도 3번 트랙 '수작'에 별점 4.5/5를 매기면서 호평을 했고, [[http://musicy.kr/?c=review&s=1&gp=1&ob=idx&gbn=viewok&ix=6402|#]] 2018년 올해의 앨범 7위로 선정했다.[[http://musicy.kr/?c=choice&s=1&gp=1&ob=idx&gbn=viewok&ix=6444|#]] 4번 트랙 '간주곡'은 [[weiv]] 2018 연말결산에서 국내 올해의 트랙 중 하나로 꼽혔다.[[https://weiv.co.kr/archives/23876|#]] 또한 weiv에서는 이 앨범을 2018년 올해의 앨범 5위로 선정했다.[[https://weiv.co.kr/archives/23912|#]] [[온음(음악 웹진)|온음]]에서는 말 그대로 극찬을 퍼부었다. 명실상부 '''2018년 최고의 앨범'''이라고 마무리지은 호평은 덤. 이 앨범을 올해의 앨범과 올해의 힙합 앨범 [[https://tonplein.com/?p=635|후보]]에 선정하고, 올해의 힙합 앨범으로 [[https://tonplein.com/?p=1469|선정]] 했다. 또한 '간주곡'은 올해의 트랙과 올해의 힙합 트랙 후보로 선정되고, 올해의 힙합 트랙으로 선정 되었다. 다만 [[리드머]]에서는 별점 3.5/5점을 줬다.[[http://board.rhythmer.net/src/go.php?n=18506&m=view&s=review&c=16|#]] 김심야의 가사적 성장과 FRNK의 역량은 인상적이지만, 음악적인 [[클리셰 파괴]]를 계속해서 시도를 하는게 오히려 [[클리셰 파괴를 위한 클리셰|클리셰가 되어]] 진부해진다는 평을 내렸다. 해외 유명 음악 평론 사이트인 [[피치포크 미디어]]에서 이 음반을 리뷰했다.[[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xxx-language/|#]] 점수는 7.3점. 수작이라고 불리기에 충분한 점수이다. [[f(x)]]의 '[[4 Walls]]'[* f(x)의 '4 Walls'는 [[K-POP]] 명반 중 하나로 불리는 좋은 앨범이다.], [[2NE1]]의 'Crush'와 같은 점수를 기록했다. [[한국 힙합 어워즈]] 2019 올해의 힙합 앨범 후보로 선정되었고, 수상까지 성공했다. 동시에 3번 트랙 '수작'이 올해의 힙합 트랙 후보로 선정되었다. 아쉽게도 2019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랩/힙합 음반 후보로 선정되었으나 수상은 하지 못 하였다. 이 부문 수상작은 [[뱃사공]]의 "[[탕아]]".[* 여담으로 시상식 당시 뱃사공은 수상에 실패한 김심야가 엄청나게 아쉬워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아, 이 사람이 상을 받았어야 됐는데'라는 생각을 순간 했었다고 한다. 이 사람이 잘 되는게 한국 힙합 문화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스스로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동시에 4번 트랙 '간주곡'이 최우수 랩/힙합 트랙 후보로 선정 되고 수상까지 성공 했다. [[http://koreanmusicawards.com/2019/winner/winner_genre/|#]] 한정반 예약 구매가 오픈 만 하루만에 2000장이 매진이 되며 2018년 48주차 가온 앨범차트에 30위로 이름을 올렸다. 또한 일반반도 48주차 가온 앨범차트에 54위로 이름이 올라가 있다. [[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nationGbn=T&serviceGbn=&targetTime=48&hitYear=2018&termGbn=week|#]] == 트랙리스트 == ||<-5> '''{{{#fff 트랙리스트}}}''' || ||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편곡''' || '''재생 시간''' || || 1 || 18거 1517 ||<|10> [[김심야|{{{#333 김심야}}}]] ||<|3> [[FRNK|{{{#333 FRNK}}}]] || 4:54 || || 2 || Ugly || 3:53 || || '''3''' || '''수작''' || 3:47 || || '''4''' || '''간주곡'''[* [[강이채]]의 바이올린 세션 참여가 있다.] || [[FRNK|{{{#333 FRNK}}}]], [[강이채|{{{#333 강이채}}}]] || 6:38 || || 5 || Trust Us ||<|6> [[FRNK|{{{#333 FRNK}}}]] || 2:49 || || 6 || S_it || 5:17 || || 7 || 뭐 어쩔까 그럼 || 3:28 || || 8 || Arranged || 3:21 || || 9 || Bad For You || 3:04 || || 10 || Told You || 3:34 || ||<-5> '''{{{#fff 한정반 BONUS}}}''' || || 11 || Just Like ||<|2> [[김심야|{{{#333 김심야}}}]] ||<|2> [[FRNK|{{{#333 FRNK}}}]] || - || || 12 || Noise || - || === 18거 1517 === [include(틀:영상 정렬,url=Q09jK0x9tkw)] || '''{{{#fff "18거 1517"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난 똑바로 기억하고 있어 언제나 아버지는 조금 무리해서라도 차는 newest model 어릴적 Chairman 타고 묵직하게 달리는 그녀는 연식이 매해 늙어가고 있었지만 여전히 책임졌었지 아버지의 안전을 So I knew 내가 그의 품에 안겨드릴 건 섹시한 디자인 감각이 예민하시니까 And that 견고한 Body 두 분의 안전을 위해서 I got that 난 확신해 Imma buy that whip 내가 저지른 불효들을 꼭 되갚아야겠어 Bentley he said 나의 영원한 영웅의 꿈의 차 지금은 꿈에서 나란히 달리는 Bentley 두 대가 현실이 되었을 때 Over fame over cash Over anything I get 성공을 말할 수 있을 때야 수저가 두 개에서 세 개 양팔로 늘어난 팔 배게 대가없는 사랑은 집에서 밖에 받을 수 없으니까 날개 달린 마크만 하염없이 바라볼 뿐인 내 위치는 아직 터무니없이 아래야 하지만 약속하겠어, 아버지 내가 성공하면 꼭 저 쇳덩어리에 우리 가족을 다 태울 걸 말이야 Cut that bullshit These fuckers want that poor shit 푼돈없는 예술가 꼴 백수 아들 품위는 우리 고객님들 풍미에 거슬리는 숙식 환경에 멍청하게 묻지 불편한 건 없으신지 check은 여기에 팁이 몇 프론지 내 입으론 주기엔 나도 미슐랭 평점은 됐고 양 많이 밥 많이 결국 의미없는 짓들에 이대로 죽기엔 이쁜 여자들이 많지 난 대충 수비해 음악이 꼬시는 수단이란 건 옛날 얘기 개나 소나 하다 보니 나도 개나 소 중 하나 직장인들보다 못 버는 데 내가 쏠 줄 알아 아버지 차는 아무래도 멀쩡한 것 같아 아들은 뚜벅이니까 노여워 마시는 걸로 어머닌 계속 궁금하시지 내 앞가림이 그 놈의 예술가 한 명 계속 붙어먹는 걸로 난 선택을 했고 책임은 내가 확실히 져 근데 투정도 못 부리면 그건 좀 아쉽구만 방금 몇 마디 구조는 초딩 수준 뭐 어때 가만 보니 제대로들 알아보는 것도 아니더만 기부는 매달 하지만 기분은 그닥이구만 나누는 건 기쁨이라네 Ay 최고의 래퍼가 되면 부자가 될거란 터무니없는 생각 개꿈이라네 Ay 멋있는 건 뜨게 돼 있지 다만 미쳐 생각 못한 건 배껴서 돈 버는 놈들 Ay 마음껏 배껴라 결국 배끼는 놈이 이기지 한 입만 줬음 싶기도 하지만 Bitch you know what it is Bitch you know what I do 은수저 쥐고 어려운 척하는 정신이 뭐 근데 왜 이 병신이 제일 그 놈의 병신 같은 힙합일지도 그 놈의 밑에서 올라온 놈들 결국 어떻게 됐는지 벌었어 배불리 Okay 그래 내가 멍청한 걸지도 현실을 거슬러 폼만 잡던 병신은 결국에 여기 제대로 질렸어 아버지 벤틀리는 죄송하지만 없던 걸로 }}} || === Ugly === [include(틀:영상 정렬,url=YTINxmzFHkM)] || '''{{{#fff "Ugly"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Stop that stutter type mood maybe 넌 항상 빨리 가길 원했어 You on that stool lately When you in school 넌 널 더 벌했어 여러 기분에 이미 무뎌진 기준은 멍청해 너무 집중해 앞서 가려고 넘겨짚다 보니 On that ugly fuck boy stance No compete, No turn backs 후회 마 어차피 늦었다고 보기에도 늦었으니 You wanna be a star Slash a business dog Slash designer fucking up your 자리라도 잡혀있는 career Who the fuck thinks like that Ugly Who the fuss brings their parents 골라먹을라니 도대체 누구 코에 붙여 I'm hanging 너희 오빤, yeah Baby 니 오빠 돈을 존나게 벌어 나 같은 건 잽이 안돼 다이 뜨면 내 아가리 털려 그럼 내 건 예술의 범주에 좆도, 거지 예술은 범죄 좆도, 돈은 써야지 돈 되지 어째서 이렇게 고운데 That shit ugly What the fuck you mean Bitch I grew up to this 뭐 새삼스럽게 그래 이런 게 너무 낯설다는 듯이 (Started to Set up)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1년 만에 또 찾네 cosmetic god Now I be more to the point 이번엔 쌍판의 문제보다 내 도덕의 보형물로 내 욕심은 부풀어 계속 내 한계에 도달할 때면 내 예술과 상업 사이 메스 대 1대 1대 1의 비율 나약한 소리만 할거야 I quit it 쉽게 낭비해 내 지분 이 앨범으로 묻어버려 서열, 빈곤에 찌든 정신을 결국에 못 뜨는 음악 결국 왜 틀을 깼냐는 듯 반응하는 대중을 내가 어디서 감히 탓해야 쓰나 맨날 궁시렁 대기만 결국에 다 대주는 방식 뒤집겠다는 각오로 결국에 뒤집히는 가식 결국에 나 또한 똑같아지겠지 It's all about the It's all about the money It's all about that nasty bitch we all chasing It's the mind for the taking 모두의 그 오빠 공연 매진 티켓같이 난 암시장의 싼 표처럼 사기치는 듯 뵈지 What's good y'all Yeah Ugly fucking market 남들은 다 좋다는데 여기서 계속 나만 질투하네 (You want a be a star) (Slash a business dog) (Slash designer) (Stopped to Set up)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Darkness)}}} || === 수작 === [include(틀:영상 정렬,url=FFG4AQkAH-I)] || '''{{{#fff "수작"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Strip club casket Body in that basket Still here basement Fuck's with that plasma Fuck's wrong A paper stuck with my Asthma 흩뿌리는 tip 부시는 빈곤의 격차 무리는 일수 죽이는 짓 돈을 번 다음 뿌리 못 내리는 송판들 연타로 깨지면 애매한 내용의 이 가사처럼 파산 때리고 취업난에 할 줄 아는 게 없다는 얘기는 진퇴양난에 네 건 너무 난해해 개또라이도 아닌데 씹연예인도 아닌 음악하는 학생 정도 명작들이나 정독 수작들은 작품으로 치지도 않지 그럼 내 건 내 건 임마 아무래도 개좆같지 먹힐 듯 안 먹히는 뽐새는 애물단지 내가 이러고도 한국에서 뜨겠다는 놈이 도대체 쓰는 가사마다 반이 꼬부랑이냐 Strip club casket Body in that basket Still here basement Fucks with that plasma Fucks wrong with paper Stuck with my Asthma 흩뿌리는 tip 부시는 빈곤의 격차 무리는 일수 죽이는 짓 돈을 번 다음 뿌리 못 내리는 송판들 연타로 깨지면 애매한 내용의 이 가사처럼 파산 때리고 취업난에 할 줄 아는게 없다는 얘기는 진퇴양난에 네 건 너무 난해해 개 또라이도 아닌데 씹연예인도 아닌 음악하는 학생 정도 명작들이나 정독 수작들은 작품으로 치지도 않지 Body in that basket Still here basement Fuck's with that plasma Fuck's wrong A paper stuck with my Asthma 흩뿌리는 팁 부시는 빈곤의 격차 무리는 일수 죽이는 짓 돈을 번 다음 뿌리 못 내리는 송판들 연타로 깨지면 애매한 내용의 이 가사처럼 그럼 외국으로 뜰까? 쫄아서 튀어 버린 듯이 다 이렇게 사는 거 아닌가 명분에 명분에 명분에 이유와 증명을 어디서, 어떻게 널 위해 준비했어 근데 알아듣지는 마 널 위해 숨은 재미들은 뺐어 먹일 힘은 없으니까 이것저것 숨겨 놨더니 썩어 버렸더만 What the fuck is up with you? 입만 삐죽 나와 있지 What the fuck is up with me?}}} || === 간주곡 === [include(틀:영상 정렬,url=3Iew1jlLDJg)] || '''{{{#fff "간주곡"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I don't want no problem End up in that body Bag with all these fools 나름 난 더 밝은 시장의 미랠 위해 온 몸 바친 듯 역시 뭐든 빨리 질리는 타입이야 여긴 존나 역겹군 나도 문제 있지 미친 음악 멀쩡한 애들한테 팔려구 좆까, 그만해 차트 못 올라가면 끝 알다시피 존나 빨리는 형 앨범은 내가 차트 통해 돌렸지 닥쳐 이 Bitch I got it right 내가 그 새끼 변한다 했지 결국 쫒아가잖아 그게 니들이 나와 아주 똑같은 이유 아 미안 미안 근데 아무래도 우린 어려움을 모르쇠 미안 미안 근데 옛날이 더 대단했음 혼자 옛날해 니들이 말하는 진짜는 좆도 그럼 도대체 뭔데 아무리 봐도 그냥 싸그리 빠구리에 미친 놈들 뿐이지 그건 우리도 같애 Bottom line that's how it goes 같은 말을 해도 참 좆같이 하는 애들은 아무래도 말이 안 통하는 어법을 구사하는 듯 뱉으면 그게 다 말인 줄 착각하는 것으로 보이지 그래 서로 하고 싶은 말들 하자구 Ay, 지랄 지랄 하여튼 겁쟁이 새끼들 내가 하나 묻지 What you doing? What you aiming for? 나는 너흴 도대체가 이해할 수 없지 아무래도 내가 뵈기엔 음 따라오기 어려워서 그냥 자리 지키는걸 택한 새끼 음 나도 꼰대되면 불러줘 그 직업 외로운 것이더만 음 술자린 많은데 꼰대들 꼬리도 못 본 걸 보니깐 말야 말야 말야 좆같은 한국은 내 음악을 싫어해 그건 누구의 잘못도 아니지만 좀 들여다보면 사실 또 알지 내 지루한 음악이 해답이니까}}} || === Trust Us === [include(틀:영상 정렬,url=V0aes4W2pYI)] || '''{{{#fff "Trust Us"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Prove it till I could fucking believe 니 앞뒤 헷갈린 bullshit you want me to reach 그렇게 털어봐야 아랫도리 비치는 수로 무슨 사기는 웃기네 네 옆에 똘마니들은 속여도 난 절대 못 속이지 계속 빡돌게 하는 븅신들 돈 벌어대니 결국 시기에 잠긴 몸 밤마다 잠 못 드는 내 아들에 아버진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깨우친 뒤 바로 현실을 보곤 은행에 머리 조아린 폼 애매한 새끼들 나랑 다 같이 방석 깔아재낄 시간이 왔지 You fucking fucks 쪽 안팔고 번 척 존나하네 개 좆같게 느낀 척 좀 하지마라 느낀 애들 좆같게 우리 언급해봐야 니들이 개이득이지 매일 아침 빠짐없이 확인해봐도 내 통장잔고는 똑같애 또 돈 얘기, 돈 돈 돈 나도 싫어 그럼 auto mobile 얘기를 하니 아니 이런 힙합은 돈 얘기말고 뭐 있어? Do not believe nobody That biss you bought it That sh you copping That thing you got Bitch you keep it nice Bitch you need to know Bitch 뭐 Bitch I'm Bitch I'm Bitch I'm Bout to change your motherfucking gender When I teach you 제발 좀 그냥 조용히 받아 적어 You do not trust nobody That's an understatement This is not a favor Oh, it is not your flavor Oh, it is not the plating Oh, then tell me what it is You know my belief in my senses Just like these joggers on they paces Just like a pre soldier being a patient Just like chuck taylor with no laces Just like lame kick starter raises Just like these biss be so shameless Just how they bluffing on they traces Don't let them ball Don't let them eat that fucking 위엔 that fucking 원 Bitch your stupid taste 노후 준비나 제 때 하고 벌 때 번다고 막 쓰던데 존나 부럽군 Hold up 궁지에 몰리고 나서 동정표를 that child begger 아니, 됐어 내가 한 턱을 내길 기다리던 친구들은 모두 다 입대했어 비위 못 맞춰주는 내 탓이지 30 꺾임 다르댔어 아니 이런 이런 이런 간지 좇다보니 비참해진 꼴에 내가 그리고 있던 내 생활과는 조금 다른 그림 Fuck this}}} || === S_it === [include(틀:영상 정렬,url=UV3u4XYmSrc)] || '''{{{#fff "S_it"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Stuck with your wishes and thesis Fuck it I boycott that 평가는 됐어 내 속단은 죄 질투 이상의 hate Under these nasty skin Better run like the sun shines forever Yall wanna fuck up Coachella Fuck that 돈 that don't matter When them 좆같은 veteran 척한 꼰대도 내게 이젠 영향을 끼칠 수 없지 시대적 hit song 어차피 5년 후 똑같은 새끼 들여다 보니 결국 돈 앞에 장사는 하나도 없군 Still wanna talk shit? 껍데기의 좋은 기름인 듯 끼워 팔아도 안돼, 파묻혀서 좋은 거름인 듯 Oh and you still wanna talk shit? You better talk nice 한국 래퍼들 고꾸라지거나 연예인 놀이 또는 애초에 관심없는 척 그 새낀 부잣집 아들 혹은 존나 똑똑한 새낀 혹은 존나 예술가인 척 난 그 사이 어딘가에 난 이제 더 이상 래퍼가 아니지 숨어사는 느낌 Don't you ever fuck with my aftermath? Don't fuck with it 이 좁아터진 속은 내 꺼 Pity no pity Don't you ever fuck with it 깃 세운 새끼들은 뒷 말까야 제 맛이지 Sweet 11 on the deck I tap that I just double it Sweet like 11 Tap that let me double that Ace coming up in y'all cases Fix your laces 비켜 이 새끼들아 Y'all wanna know what the fuck hiphop is? 한국에 그런 사치가 있을리 음 장르로 활용할 뿐 그건 돈이 안되지 흠 [[켄드릭 라마|K. Dot]] 좀 똑바로 배워야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신을 정의하려 들어 배은망덕하군 (Einstein) (I ain't surprised) Bunch of [[KIDS SEE GHOSTS|kids wanna see ghost]] But they only see dollars You'll never be like me You sitting ducks Ducking all the consequences No more problems 니 좆같은 앨범 다 팔어 수익낸 돈으로 내 좆이나 You sneaky fuck snitches Ripping off my shit like you Einstein 니 평판에 걸맞아 I ain't surprised 너희는 어차피 사라질거라고 나에게 진정하래 좆까 난 너희를 눈 앞에서 찢어 버려야 돼 (So this is it huh) (Save you, pray you...) (Fuck!) 눈 씻고 다시 봐도 너희는 내 자식 애비도 못알아보는 병신새끼들을 내가 낳았어 도로 좆구멍으로 주워 담기에 너희는 너무 컸어 다 참고 뒷바라지에 퍼다 줘도 속을 썩여 So this is it huh 돈 백 타러 애비고 애미고 결국 너는 속세 타령 근데 왜 비트는 못 베끼냐? 조금이라도 복잡해지면 노력하고는 못 배기나봐 Let me give you a hand 돈을 벌고 유명해져도 너희가 불안한 이유 'Cause you not ready 너흰 그냥 상품 안팔리면 쫑 뱁새년이 몸 굴려봤자 You still pretending I ain't telling you to be conscious I want you to be cautious 널 죽일라니까 이제 Nobody gon' save you Nobody gon' pray for you Let me give you a hand (So this is it huh) 너희가 불안한 이유 'Cause you not ready 뱁새년이 몸굴려봤자 You still pretending I ain't telling you to be conscious I want you to be cautious 널 죽일라니까 이제 Nobody gon' save you Nobody gon' pray for you Nobody gon' save you Nobody gon' pray for you} Nobody gon' save you Nobody gon' pray for you}}} || === 뭐 어쩔까 그럼 === [include(틀:영상 정렬,url=v1zxdvrxj38)] || '''{{{#fff "뭐 어쩔까 그럼"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What you want me to do Dig they pants Suck they life Success they brag Prayers they type What you want me to do 의미 부여해서 음악은 만들어도 조의금의 출처는 안 물었어 Think I ball for some reason Okay man that thought 좆까 I'm off this cliff So mature Don't say that This sh bout to flip 어차피 되물릴 바에 되물릴 바에 되물어 What you want me to do Want me to stay strong? Want me to stay tough? 내 푼돈과 인기에 대해서 난 결국 새로 배운 게 있어 근데 이제 돈 얘긴 그만 근데 이제 돈 얘긴 그만 Baby don't think just live it 씨부리기 전에 you mean it 씨 뿌리기 전에 you kiss it Don't you see my life at stake Don't you see the mind at paste Premature state of cashing out 좆빠지게 달려도 안타까워 내 baby steps 한없이 짜쳐도 다 내 위에 근데 이제 돈 얘긴 그만 잠깐 근데 이제 돈 얘긴 그냥 What you want me to do Talk about rap Oh but no I ain't got them racks on leather I ain't got them teeth like Dempsey Oh baby that shit so fancy 맷집은 얼마일까 면상에 지폐를 들이대도 그 pinky ring 안 더러워지나 돈 얘긴 그만 I just wanna talk art 예술은 인간 인간은 욕심 욕심은 돈 Wait Hold up 돈 얘긴 그만 I just wanna talk art 예술은 상업 상업은 이익 이익은 돈 Wait Hold up 돈 얘긴 그만 돈 얘긴 그만 돈 얘긴 그만 I just wanna talk art 예술은 인간 인간은 욕심 욕심은 돈 Wait Hold up 돈 얘긴 그만 I just wanna talk art 예술은 상업 상업은 이익 이익은 돈 Wait Hold up 돈 얘긴 그만 I just wanna talk art 예술은 사랑 사랑은 자연 자연은}}} || === Arranged === [include(틀:영상 정렬,url=DpuWaCQlP5Y)] || '''{{{#fff "Arranged"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You forgot (forgot) Excuse (got) 궁금하지 않은가 (가,가,가) Excuse me Bottom heels 신논현에 Tom Sawyer Ooh this woman so loyal 잣대없이 Powder, Skin 안에 Bone 외모는 다가 아닌 줄 알았지만 I guess this is the fun of it Excuse me The whole city on acid The whole city on shot gun 약은 하더라 Pass Rip off the plastic Sex money power Sex money browser I just don't wanna hurt nobody no more Stack my conscious Ask myself The same question over again 구분없이 나에게 선사하는 것은 주목 뿐이야 관심이란 것은 상대적 관심이란 것은 파괴적 상징이란 것에 강제성과 (사치를....) I just need a paper bag Sex money power You forgot what you started I don't give a shit about your problems 너의 존재감은 그저 Chop Plain 너의 Fan들은 그냥 starving Cuz all you do is curving for your shit to blow up And I think you deserve it 궁금하지 않은 가사들이 무지하게 나열된 (무지하게 나열된) 때로 남을 까는 가사를 안 쓰는 건 진작에 Manual에서 포기 You forgot your mama's starving You forgot your mama's starving Back home for no food your college 안타까운 반항 한심하군 대학 때려치곤 겨우 이거}}} || === Bad For You === [include(틀:영상 정렬,url=iycG9_KA6oM)] || '''{{{#fff "Bad For You"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Quick cash Put it back boy that shit bad for you Quit that, 창의력의 한계 내에 최고 scapegoat Man I don't wanna talk about it 왠지 그냥 또 내 좁은 속에 못 버티고 터져버린 좆이다 굳이 짜증내면 조금 풀리지 긁어버릇하다 한도 앞에 무릎 꿇리면 What's up man 집주인 아주머니와 눈이 뒤집히는 실랑이를 상상하며 꼬박 보낸 월센 내 친구 작업실을 석 달 쓰는 돈 쓸 거 쓰는 내가 닥달하기 몹쓸 노릇 this shit bad for you 돈은 그냥 버는 것 작정하면 예술보다 잘 벌리는대로 벌써 튀어갔겟지 Motherfucker I'm about it 예술하는 척쟁이 you fuck wanna buy it 어쩜 덜 버냐의 싸움 so you bitch wanna try me Man cut that flick, fuck that bitch, I don't think so Up up down down down shit like them seesaw Clips and youtube could do it to that shit fraud As usual 연줄, 돈이 다 이기게 돼있어 So think big fools But think big that shit, bad for you 천재병의 원인, 큰 그림보다는 뜬 구름. 맹신은 강력하지만 왠지 넌 멍청해보여. 넌 남몰래 따라하는 그 래퍼, 은퇴하면 실직. Business dude 이건 business tool 빡치는 이유 서술해서 푼돈버는 business 중 And I love this job I love this dime 단순히 버는 것보다는 내 좆대로 사는걸 골랐지, 우선 Fucking karma 는 내게 so polite 괜시리 들떠있는 건 bad for you so no more hypes Baby what you mean? you don't wanna do this shit no more 음악 아니면 안된다며 실체를 보니 What the fuck is up with this? 체중관리 실패처럼 봇물터진 듯이 주워 입으로 도로 넣어 반쯤 등 떠밀려 뱉은 말을 Oh 놀랍네 이건 배운 반응 나머진 취향으로 대응하며 놀랍지도 않게 그 취향 that shit bad for you 막무가내 스타일로 I dont give a fuck 이라네 신경 쓰인다는 말이지 곧 Ay 좆도 신경쓰면 어때 Ay 좆도 뭐가 어쩔건데 And I love this job I love this dime 단순히 버는 것보다는 내 좆대로 사는걸 골랐지 우선 Fucking karma 는 내게 so polite 괜시리 들떠있는 건 bad for you so no more hypes Baby what you mean you don't wanna do this shit no more 음악 아니면 안된다며 실체를 보니[* 앞의 김심야의 verse에서 기괴하게 변주되어 등장한다.]}}} || === Told You === [include(틀:영상 정렬,url=v5GGg_eSjaA)] || '''{{{#fff "Told You" 가사}}}''' || || {{{#!folding [ 열기 / 닫기 ] 구두 또각거림 on that marble floors 표정 고친 models bout to start a war Pixel로는 담지 못 할 odor Bout to bring the fucking 40's Back like what the fuss the problem y'all (The problems what y'all doing) The problem bout to kill me off (Kill me off) 난 또 습관처럼 달렸어 또 습관처럼 돈 땜에 돈 못버는 일 벌렸어? What you think '쫒아가는 발버둥이 보였어?' What you think '바짝 벌고 다 빨려서 결국 불과 몇 시즌 만에 전부 탄로나버릴게 뻔했어?' Damn right boy 깝치면은 안되지 감각 하나 믿고 시장 고객 바꾼 파렴치 (Oh boy) (깝치면은 안되지) (감각 하나 믿고 시장 고객 바꾼 파렴치) 딱 보니 잘만하던 음악까지도 말아 먹었네 듣자하니 회사 또 진수형과도 갈라섰던데 Damn right boy 욕먹을 일 남았지 음악으로 벌어 멍청하게 걸레짓한 양아치 또 짜치는 건 알아서 이름 안팔다가 망했네 같이 일하던 직원들은 무슨 죄야 What you think 같이 망했으니 말없지 you bitches 날 위해 일했으니 책임지고 싶지만 넌 앨범 다시 내면 재기할거 알고 있지 어떻게든 할게, 제발 좀 봐줘라 내 위치는 Damn right boy 멋 따라 살지 하고 싶은 거 하래서 당연히 하고 싶은 거 하지 언젠가 내 옷과 cat walk에 대리석 바닥 간지 어떻게든 해내, 똑바로들 봐둬라 내 위치는 (Boy, Boy, Boy....) Damn right boy 잘나갈 듯 말 듯 불만 많은 래퍼 계속 쪼잔하네 하여튼 자꾸 진실만을 얘기하니 찔려서 넌 안 껴 한국에서 돈 벌 생각 접어 니가 튈 자리가 아니야 Damn right boy 튀어야 살아남지 남들과는 달라야해 유행은 그냥 바람막이 TV같은거 나와서 유명해지면 뭐 우리 예술가들은 진짜 안 짜치는 예술로 살림 살지 또 다양한 걸 하지, boy you just an amateur 순수한 예술의 상업화는 정말 매너 없어 '넌 벌고 변하는 새끼들과는 다르길 바란다' 말하던 새끼들은 다 변했고 몇 안 남았군 중학교 구두 또각거림 on that marble floors 표정 고친 나는 처음 학교에 나갔어 현실 같은 새끼를 만났지 같은 한국인 친구는 맨날 맞더라 뭐 그냥 도와주고 싶어서 찾아가 말했지 그냥 다구리를 까자고 근데 그 현실 같은 새끼 집안.....}}} || == 앨범 크레딧 == '''ALL TRACKS PRODUCED AND ARRANGED BY''' [[FRNK|JINSU PARK]], '''EXCEPT FOR "간주곡" VIOLIN SOLO & ARRANGED BY''' [[강이채|ECHAE KANG]] '''ALL LYRICS WRITTEN BY''' [[김심야|DONG HYUN KIM]] '''ALL PROGRAMMING AND INSTRUMENTS BY''' JINSU PARK '''ALL SONGS RECORDED AND ENGINEERED BY''' JINSU PARK AT JINSUNE '''ALL SONGS MIXED BY''' JINSU PARK, '''EXCEPT FOR "간주곡" MIXED BY''' HYOMIN KANG '''ALL SONGS MASTERED BY''' VLADO MELLER[* [[KYOMI]]의 마스터링을 맡은 사람이다.] OF VLADO MELLER MASTERING LOCTED IN CHARLESTON, SOUTH CAROLINA '''ALL MASTERING ASSISTED BY''' JEREMY LUBSEY '''EXECUTIVE PRODUCER''' KEYON KIM[* 소속사 [[비스츠앤네이티브스]]의 대표] '''ALBUM PRODUCERS''' JINSU PARK DONG HYUN KIM '''A&R DIRECTION & COORDINATION''' KEYON KIM '''INTERNATIONAL A&R & PROMOTION''' HANA CHO '''PUBLICITY''' DAEBUM IM '''ART DIRECTION & DESIGN''' HYUNJI KIM '''MUSIC VIDEO''' ANDRE BATO == 영상 == === 뮤직비디오 === || '''간주곡 (Official MV)'''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JovVG7vmSSw)]}}}|| || '''[[https://youtu.be/JovVG7vmSSw|{{{#fff BANATV}}}]]''' || '''XXX - 간주곡 (Ganju Gok) (Official MV)''' {{{-2 (2019. 2. 7.)}}} === 관련 영상 === || '''XXX [LANGUAGE] 인터뷰'''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bX4h22avAqE)]}}}|| || '''[[https://youtu.be/bX4h22avAqE&t=4s|{{{#fff HIPHOPLE}}}]]''' || '''독점 인터뷰! XXX가 [LANGUAGE]에 대해 최초로 입을 열었다''' {{{-2 (2018. 11. 19.)}}} || '''수작 [DF LIVE]'''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DFMV_nePuGM)]}}}|| || '''[[https://youtu.be/DFMV_nePuGM|{{{#fff dingo freestyle}}}]]''' || '''XXX - 수작 [DF LIVE]''' [* 편집 방식이 [[광과민성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2 (2018. 12. 29.)}}} || '''[온스테이지2.0] 수작'''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ecKEnrWIh7Q)]}}}|| || '''온스테이지ONSTAGE [[https://youtu.be/ecKEnrWIh7Q|{{{#fff YouTube}}}]] / [[https://tv.naver.com/v/5001350|{{{#fff Naver}}}]]''' || '''[온스테이지2.0]XXX - 수작 (Sujak)''' {{{-2 (2019. 1. 9.)}}} || '''[온스테이지2.0] Just Like'''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wlbDK3PHcLI)]}}}|| || '''온스테이지ONSTAGE [[https://youtu.be/wlbDK3PHcLI|{{{#fff YouTube}}}]] / [[https://tv.naver.com/v/5001576|{{{#fff Naver}}}]]''' || '''[온스테이지2.0]XXX - Just Like''' {{{-2 (2019. 1. 9.)}}} || '''[온스테이지2.0] Ugly'''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nx59bl-BB1o)]}}}|| || '''온스테이지ONSTAGE [[https://youtu.be/nx59bl-BB1o|{{{#fff YouTube}}}]] / [[https://tv.naver.com/v/5001534|{{{#fff Naver}}}]]''' || '''[온스테이지2.0]XXX - Ugly''' {{{-2 (2019. 1. 9.)}}} == 여담 == * 2018년 발매 당시 앨범의 수록곡 중 뮤직비디오가 있는 트랙이 없었다. 하지만 피지컬 앨범의 크레딧란에 뮤직비디오의 크레딧이 적혀 있다.[* 'MUSIC VIDEO[br]ANDRE BATO'라고 적혀 있다.] 따라서 추후에 뮤직비디오가 공개될 가능성이 농후했다. 소속사인 바나가 뮤비를 통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하는 회사기도 하고. * 2019년 2월 27일 밤에 '간주곡' 뮤직비디오가 나온다는 사실을 BANA 구독자들에게 메일로 기습 공지했다. 그리고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유튜브에 뮤직비디오를 공개했다. * 수록곡인 18거 1517의 이름은 김심야의 아버지의 체어맨의 번호가 아닌 가상의 번호라고 한다. (검색 결과 [[그랜저]] XG 모델로 나옴)[* '시팔거 쉬고싶지' 라는 해석이 절대적이지만 인터뷰에서 직접 말한 적이 없으므로 의미는 불명. 혹은 첫 번째 벌스가 15년에 작업한 것이며 두 번째 벌스가 17년에 작업하여서 1517이라는 해석도 있다.] * 댄스 크루 [[CocaNButter]]가 [[스트릿 우먼 파이터]] 결승전에서 2번 트랙 'Ugly'를 믹스한 음악을 사용하였다. == 외부 링크 == * '''HYPEBEAST 인터뷰''' [[https://hypebeast.kr/2018/11/xxx-language-interview-frnk-kim-ximya|XXX <랭귀지> 인터뷰 - 김심야와 프랭크만의 언어]] * '''[[하야로비|HAYAROBI]] 인터뷰''' [[https://hayarobi.zone/19?category=778330|한국 힙합 작가주의의 최전선 - XXX 인터뷰]] * '''[[동아일보]] 인터뷰'''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20&aid=0003193031|“이달 말 새 앨범, 들을 때마다 다른 느낌일 겁니다”]] * '''W코리아 인터뷰''' [[https://wkorea.com/2019/01/21/우리는-화가-나-있어/|우리는 화가 나 있어 (XXX)]] * '''[[빌보드]] 인터뷰''' [[https://billboard.com/articles/columns/hip-hop/8489419/xxx-language-album-interview|XXX Talks New Album 'LANGUAGE' & the State of South Korean Hip-Hop: 'We're Very Angry']] * '''오피스 매거진 인터뷰''' [[http://officemagazine.net/xxx-blowing|XXX is Blowing Up]][*번역 [[http://hiphople.com/kboard/13080474|힙합엘이 유저의 번역문]]] * '''[[이즘|IZM]] LANGUAGE 리뷰''' [[https://izm.co.kr/contentRead.asp?idx=29399&bigcateidx=1&subcateidx=3&view_tp=1|LANGUAGE]] * '''[[리드머]] LANGUAGE 리뷰''' [[http://board.rhythmer.net/src/go.php?n=18506&m=view&c=16&s=review|XXX - Language]] * '''[[피치포크 미디어]] LANGUAGE 리뷰''' [[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xxx-language/|XXX Language]] [[분류:XXX(가수)]][[분류:Beasts And Natives Alike 발매 음반]][[분류:2018년 음반]][[분류:한국 힙합 음반]][[분류:한국 힙합 어워즈 수상]][[분류:한국대중음악상 후보]][[분류:익스페리멘탈 힙합]][[분류:인더스트리얼 힙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