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방탄소년단)] ||<-5>
<#000000> [[방탄소년단/음반 목록|{{{#ffffff '''방탄소년단의 음반 (발매일순)'''}}}]] || ||<#b14cc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3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b14cc7, #896082, #ffffff, #3c6798)" {{{-3 {{{#000000 일본 정규 3집}}}}}}[br][[FACE YOURSELF|{{{#000000 FACE YOURSELF}}}]][br]{{{-3 {{{#000000 (2018.04.04)}}}}}}}}} || {{{+1 →}}} || {{{-3 '''{{{#eda7c2 정}}}{{{#d4b1d3 규}}} {{{#9dc8ec 3집}}}'''}}}[br][[LOVE YOURSELF 轉 'Tear'|'''{{{#f8bdbe LOV}}}{{{#f6b8be E YO}}}{{{#eea9c7 URS}}}{{{#ddaed0 ELF}}} {{{#c7b7da 轉}}} {{{#b9bde0 'Te}}}{{{#a1c7eb ar'}}}''']][br]{{{-3 '''{{{#f8bdbe (2}}}{{{#f6b8be 0}}}{{{#eea9c7 1}}}{{{#ddaed0 8}}}{{{#c7b7da .05}}}{{{#b9bde0 .1}}}{{{#a1c7eb 8)}}}'''}}} || {{{+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bd0b6, #f4a9c5, #d5b2d5, #c1bbde, #9dcaee)" {{{-3 {{{#f1f4fb LOVE YOURSELF 리패키지}}}}}}[br][[LOVE YOURSELF 結 'Answer'|{{{#f1f4fb LOVE YOURSELF[br]結 'Answer'}}}]][br]{{{-3 {{{#f1f4fb (2018.08.24)}}}}}}}}} || [include(틀:방탄소년단/LOVE YOURSELF)]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ts_lys_tear_ver.o_1627010_01.jpg|width=100%]]}}} || || {{{#ffffff [[제이홉|{{{#f8bdbe 제이홉}}}]], [[정국(방탄소년단)|{{{#f6b8be 정국}}}]], [[뷔|{{{#eea9c7 뷔}}}]], [[진(방탄소년단)|{{{#ddaed0 진}}}]], [[RM|{{{#c7b7da RM}}}]][* 이 앨범(국내 앨범 한정. 일본 앨범은 《[[FACE YOURSELF]]》 부터다.)부터 활동명을 '랩몬스터'에서 'RM'으로 바꾸어 활동하게 되었다.], [[슈가(방탄소년단)|{{{#b9bde0 슈가}}}]], [[지민|{{{#a1c7eb 지민}}}]]}}} [br]{{{-3 {{{#eea9c7 Concept Photo O version}}}}}}{{{#ffffff ,}}} '''{{{#f8bdbe LOV}}}{{{#f6b8be E YO}}}{{{#eea9c7 URS}}}{{{#ddaed0 ELF}}} {{{#c7b7da 轉}}} {{{#b9bde0 'Te}}}{{{#a1c7eb ar'}}}''' || || {{{#eea9c7 {{{#!folding 다른 사진 [ 펼치기 · 접기 ] ||
[[파일:Y ver.jpg|width=100%]] || || {{{-3 {{{#eea9c7 (왼쪽부터)}}}}}} {{{#ffffff [[지민|{{{#f8bdbe 지민}}}]], [[뷔|{{{#f6b8be 뷔}}}]], [[정국(방탄소년단)|{{{#eea9c7 정국}}}]], [[진(방탄소년단)|{{{#ddaed0 진}}}]], [[RM|{{{#c7b7da RM}}}]], [[슈가(방탄소년단)|{{{#b9bde0 슈가}}}]], [[제이홉|{{{#a1c7eb 제이홉}}}]]}}} [br]{{{-3 {{{#eea9c7 Concept Photo Y version}}}}}}{{{#ffffff ,}}} '''{{{#f8bdbe LOV}}}{{{#f6b8be E YO}}}{{{#eea9c7 URS}}}{{{#ddaed0 ELF}}} {{{#c7b7da 轉}}} {{{#b9bde0 'Te}}}{{{#a1c7eb ar'}}}''' || || [[파일:U ver.jpg|width=100%]] || || {{{-3 {{{#eea9c7 (시계방향으로)}}}}}} {{{#ffffff [[RM|{{{#f8bdbe RM}}}]], [[슈가(방탄소년단)|{{{#f6b8be 슈가}}}]], [[지민|{{{#eea9c7 지민}}}]], [[제이홉|{{{#ddaed0 제이홉}}}]], [[정국(방탄소년단)|{{{#c7b7da 정국}}}]], [[진(방탄소년단)|{{{#b9bde0 진}}}]], [[뷔|{{{#a1c7eb 뷔}}}]]}}} [br]{{{-3 {{{#eea9c7 Concept Photo U version}}}}}}{{{#ffffff ,}}} '''{{{#f8bdbe LOV}}}{{{#f6b8be E YO}}}{{{#eea9c7 URS}}}{{{#ddaed0 ELF}}} {{{#c7b7da 轉}}} {{{#b9bde0 'Te}}}{{{#a1c7eb ar'}}}''' || || [[파일:R ver.jpg|width=100%]] || || {{{-3 {{{#eea9c7 (왼쪽부터)}}}}}} [[RM|{{{#f8bdbe RM}}}]], [[진(방탄소년단)|{{{#f6b8be 진}}}]], [[지민|{{{#eea9c7 지민}}}]], [[정국(방탄소년단)|{{{#ddaed0 정국}}}]], [[뷔|{{{#c7b7da 뷔}}}]], [[제이홉|{{{#b9bde0 제이홉}}}]], [[슈가(방탄소년단)|{{{#a1c7eb 슈가}}}]][br]{{{-3 {{{#eea9c7 Concept Photo R version}}}}}}{{{#ffffff ,}}} '''{{{#f8bdbe LOV}}}{{{#f6b8be E YO}}}{{{#eea9c7 URS}}}{{{#ddaed0 ELF}}} {{{#c7b7da 轉}}} {{{#b9bde0 'Te}}}{{{#a1c7eb ar'}}}''' || }}}}}} || ||<-2>
<#141923> '''{{{+3 {{{#f8bdbe ''LOV''}}}{{{#f6b8be ''E YO''}}}{{{#eea9c7 ''URS''}}}{{{#ddaed0 ''ELF''}}} {{{#c7b7da ''轉''}}} {{{#b9bde0 '' 'T''}}}{{{#b1c0e4 ''e''}}}{{{#a9c4e7 ''a''}}}{{{#a1c7eb ''r' ''}}}}}}'''[br]'''{{{#f8bdbe Th}}}{{{#f6b8be e}}} {{{#eea9c7 3}}}{{{#ddaed0 rd}}} {{{#c7b7da Al}}}{{{#b9bde0 b}}}{{{#b1c0e4 u}}}{{{#a1c7eb 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ts_ly_tear_cover_01.jpg|width=100%]]}}} || ||<-2><#141923> '''{{{#eda7c2 정}}}{{{#d4b1d3 규}}} {{{#9dc8ec 3집}}}''' || ||<#141923> '''{{{#f8bdbe 아}}}{{{#eea9c7 티}}}{{{#b9bde0 스}}}{{{#a1c7eb 트}}}''' || [[방탄소년단]] || ||<#141923> '''{{{#f8bdbe 발}}}{{{#ddaed0 매}}}{{{#a1c7eb 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18년]] [[5월 18일]] || ||<#141923> '''{{{#f8bdbe 프}}}{{{#eea9c7 로}}}{{{#b9bde0 듀}}}{{{#a1c7eb 서}}}''' || [[Pdogg]][* [[https://www.youtube.com/watch?v=8NGILO54LTw|#]]] || ||<#141923> '''{{{#f8bdbe 기}}}{{{#ddaed0 획}}}{{{#a1c7eb 사}}}''' || [[빅히트 뮤직|[[파일:빅히트 뮤직 로고.svg|width=50]]]] || ||<#141923> '''{{{#f8bdbe 유}}}{{{#ddaed0 통}}}{{{#a1c7eb 사}}}''' || [[YG PLUS]] || ||<#141923> '''{{{#f8bdbe 곡}}} {{{#a1c7eb 수}}}''' || 11곡 || ||<#141923> '''{{{#f8bdbe 재}}}{{{#eea9c7 생}}} {{{#b9bde0 시}}}{{{#a1c7eb 간}}}''' || 43:54 || ||<#141923> '''{{{#f8bdbe 타}}}{{{#eea9c7 이}}}{{{#b9bde0 틀}}} {{{#a1c7eb 곡}}}''' || [[FAKE LOVE|{{{#000,#fff '''FAKE LOVE'''}}}]] || ||<-2><#14192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ea9c7 {{{#!folding [ 수록곡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eda7c2 트}}}{{{#d4b1d3 랙}}}''' ||<-3> '''{{{#d4b1d3 곡}}}{{{#9dc8ec 명}}}''' || || {{{#000,#fff 1}}} ||[[Intro : Singularity]] ||{{{-2 [[뷔]]}}} || {{{-3 [[https://www.youtube.com/watch?v=qHfqRUzz02k|♫]]}}} || || {{{#000,#fff 2}}} ||<-2>'''[[FAKE LOVE]]^^{{{-2 {{{#000,#fff TITLE}}}}}}^^''' || {{{-3 [[https://www.youtube.com/watch?v=NT8ePWlgx_Y|♫]]}}} || || {{{#000,#fff 3}}} ||[[전하지 못한 진심]] {{{-3 {{{#000,#fff feat.}}} [[스티브 아오키|Steve Aoki]]}}}[* 지난 [[2017년]] [[11월]] 말에 발매된 리믹스 싱글 '[[MIC Drop]]'에 이어 [[스티브 아오키]]와 다시 [[컬래버레이션]]을 하게 되었다.] ||{{{-2 [[진(방탄소년단)|진]][br][[지민]][br][[뷔]][br][[정국(방탄소년단)|정국]]}}} || {{{-3 [[https://www.youtube.com/watch?v=ITc-om9SVr4|♫]]}}} || || {{{#000,#fff 4}}} ||<-2>[[134340]][* [[명왕성]]의 식별 번호이다.] || {{{-3 [[https://www.youtube.com/watch?v=lu0XVRP_Bfc|♫]]}}} || || {{{#000,#fff 5}}} ||<-2>{{{#000,#fff 낙원}}} || {{{-3 [[https://www.youtube.com/watch?v=obH7iPDAn2Q|♫]]}}} || || {{{#000,#fff 6}}} ||<-2>{{{#000,#fff Love Maze}}} || {{{-3 [[https://www.youtube.com/watch?v=n_R0-YosZ3g|♫]]}}} || || {{{#000,#fff 7}}} ||<-2>{{{#000,#fff Magic Shop}}} || {{{-3 [[https://www.youtube.com/watch?v=38k5zr1e0HI|♫]]}}} || || {{{#000,#fff 8}}} ||<-2>[[Airplane pt.2]][* [[제이홉]]의 [[믹스테입]]인 《Hope World》의 트랙 'Airplane'의 연장선인 곡이다.] || {{{-3 [[https://www.youtube.com/watch?v=3J9G-PWo2oE|♫]]}}} || || {{{#000,#fff 9}}} ||<-2>[[호빵맨|Anpanman]] || {{{-3 [[https://www.youtube.com/watch?v=EBf6lwkChnQ|♫]]}}} || || {{{#000,#fff 10}}} ||<-2>{{{#000,#fff So What}}} || {{{-3 [[https://www.youtube.com/watch?v=zdLvqiOmWq4|♫]]}}} || || {{{#000,#fff 11}}} ||{{{#000,#fff Outro : Tear}}} ||{{{-2 [[RM]][br][[슈가(방탄소년단)|슈가]][br][[제이홉]]}}} || {{{-3 [[https://www.youtube.com/watch?v=639hc_F2TZU|♫]]}}} || }}}}}}}}}}}} || [목차] [clearfix] == 개요 == [include(틀:IFPI, 연도=2018, 순위=3)] ||<-5>
{{{+1 [[빌보드 200|{{{#b2a529 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앨범'''}}}}}} || || [[beerbongs & bentleys]] || {{{+1 → }}} || [[LOVE YOURSELF 轉 'Tear']][*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18&aid=0004112498|관련 기사]]] || {{{+1 → }}} || [[Shawn Mendes#s-4.1]]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 album=love-yourself-tear, artist=bts, critic=74, user=8.5)] [include(틀:온음 2018 총결산 선정 결과)] ||<-2> 레코드 협회 인증 || || [[가온차트|KMCA]] || '''2×Million''' || || [[RIAJ]] || {{{#ffd700 '''GOLD'''}}} || || BPI || {{{#c0c0c0 '''SILVER'''}}} || '''[[2018년]] [[5월 18일]]'''에 발매된[* 해당 일자는 [[금요일]]로, 국내 [[음반]] 시장보다는 [[미국]]의 [[빌보드 차트]]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방탄소년단]]의 정규 3집. 미니앨범 5집 《[[LOVE YOURSELF 承 'Her']]》의 발매 후 8개월 후에 출시된 앨범이자 [[2016년]] 정규 2집 《[[WINGS]]》 이후 약 2년 만에 선보이는 3번째 정규 앨범이다.[* [[2014년]]에 발매된 1집 《[[DARK&WILD]]》, [[2016년]]에 발매된 2집 《[[WINGS]]》, 그리고 [[2018년]]에 발매된 3집 《LOVE YOURSELF 轉 'Tear'》 때문에 [[방탄소년단]]의 [[앨범#s-3|정규 앨범]]은 2년에 한 번 나온다는 [[카더라 통신|카더라]]가 있다. ~~전부 어두운 색깔 커버라는 [[카더라 통신|카더라]]도 있다~~ 그 [[카더라 통신|카더라]]가 맞았다. 그리고 4집인 《[[MAP OF THE SOUL : 7]]》도 [[2018년]]의 2년 뒤인 [[2020년]]에 나왔다. ~~컬러는 좀 밝아졌다...~~] '''[[학교]] [[2 COOL 4 SKOOL|3]][[O!RUL8,2?|부]][[SKOOL LUV AFFAIR|작]]''', '''[[청춘]] [[화양연화 pt.1|2]][[화양연화 pt.2|부작]]'''을 이어서 새롭게 시작되는 '[[틀:방탄소년단/LOVE YOURSELF|LOVE YOURSELF]] [[LOVE YOURSELF 起 'Wonder'|起]][[LOVE YOURSELF 承 'Her'|承]][[LOVE YOURSELF 轉 'Tear'|轉]][[LOVE YOURSELF 結 'Answer'|結]] 시리즈'의 3번째 편이자 2번째 앨범이다. 앨범의 주제는 ''''가면을 쓴 사랑의 끝''''. [[LOVE YOURSELF 承 'Her'|전작]]에서 [[사랑]]에 빠진 소년들의 [[설렘]]과 두근거림을 노래했다면, 이번 앨범에서는 [[이별]]을 마주한 소년들의 아픔을 노래한다. 그 중에서도 '''[[FAKE LOVE|가짜 사랑]]'''은 주요 키워드들 중 하나이다. 이는 전작에서도 주된 주제들 중 하나였다. 그러나 전작이 가짜 사랑이라도 감수하겠다는 내용이었던 반면에, 이번 앨범은 그 끝이 필연적인 이별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내용이다.[* 이러한 주제가 직접적으로 드러난 곡이 [[타이틀 곡]] '[[FAKE LOVE]]'.] 결국 '''나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진정한 사랑의 시작'''이라는 '[[틀:방탄소년단/LOVE YOURSELF|LOVE YOURSELF 시리즈]]'의 주제와도 이어진다고 할 수 있겠다. >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은 [[세상]]을 [[사랑]]하는 일. > 하지만 우리는 [[두려움]]에 [[가면]]을 쓴다. > 나 자신으로는 [[사랑]]받지 못할 것이라는 [[두려움]]. > [[가짜]] [[사랑]]의 [[끝]]은 필연적으로 [[이별]]. >---- > 2017 [[멜론 뮤직 어워드|MMA]] [[무대]] [[내레이션]] 이번 [[앨범]] 수록곡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LOVE YOURSELF 承 'Her'|전작]]과 대비되는 [[가사]]들이 [[눈(신체)|눈]]에 띄는데, 이 역시 흥미로운 부분. > [[영원]]을 말해 줘 > Just one more time >- {{{-2 [[LOVE YOURSELF 承 'Her']] 04. '[[Best Of Me(방탄소년단)|Best Of Me]]' 中}}} > > > [[영원]]을 말하던 우리였는데 > 가차없이 서로를 부수네 > - {{{-2 LOVE YOURSELF 轉 'Tear' 11. 'Outro : Tear' 中}}} > 난 절대 [[가면]]을 벗지 못해 > 이 [[가면]] 속의 난 니가 아는 걔가 아니기에 > - {{{-2 [[LOVE YOURSELF 承 'Her']] 09. 'Outro : Her' 中}}} > > > 외로움의 [[정원]]에 핀 너를 닮은 [[꽃]] > 주고 싶었지 [[바보]] 같은 [[가면]]을 벗고서 > - {{{-2 LOVE YOURSELF 轉 'Tear' 03. '[[전하지 못한 진심]] {{{-3 (feat. [[스티브 아오키|Steve Aoki]])}}}' 中}}} > [[가짜]] 나라도 좋아 > 네가 안아 준다면 > - {{{-2 [[LOVE YOURSELF 承 'Her']] 09. 'Outro : Her' 中}}} > > > 이게 진짜 너고 이게 진짜 나야 > 이젠 끝을 봤고 원망도 안 남아 > - {{{-2 LOVE YOURSELF 轉 'Tear' 11. 'Outro : Tear' 中}}} >오늘도 make up to wake up >and dress up to mask on >당신이 [[사랑]]하는 내가 되기 위해 >- {{{-2 [[LOVE YOURSELF 承 'Her']] 09. 'Outro : Her' 中}}} > >낯설다 하네 니가 좋아하던 나로 변한 내가 >아니라 하네 예전에 니가 잘 알고 있던 내가 >아니긴 뭐가 아냐 난 눈 멀었어 >사랑은 뭐가 사랑 >- {{{-2 LOVE YOURSELF 轉 'Tear' 02. '[[FAKE LOVE]]' 中}}} == 앨범 소개 == ||
<#141923> '''{{{+3 {{{#f8bdbe ''LOV''}}}{{{#f6b8be ''E YO''}}}{{{#eea9c7 ''URS''}}}{{{#ddaed0 ''ELF''}}} {{{#c7b7da ''轉''}}} {{{#b9bde0 '' 'T''}}}{{{#b1c0e4 ''e''}}}{{{#a9c4e7 ''a''}}}{{{#a1c7eb ''r' ''}}}}}} {{{#eea9c7 -}}} {{{#f8bdbe Th}}}{{{#f6b8be e}}} {{{#eea9c7 3}}}{{{#ddaed0 rd}}} {{{#c7b7da Al}}}{{{#b9bde0 b}}}{{{#b1c0e4 u}}}{{{#a1c7eb m}}}''' || || {{{#000000 '''방탄소년단, 정규 3집 LOVE YOURSELF 轉 ‘Tear’ 발매!''' '''사랑을 얻기 위한 거짓은 결국 이별을 만난다!''' '''나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진정한 사랑의 시작''' 방탄소년단이 5월 18일 정규 3집 LOVE YOURSELF 轉 ‘Tear’를 발매한다. 방탄소년단의 LOVE YOURSELF 시리즈는 나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진정한 사랑의 시작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앞서 공개된 LOVE YOURSELF 起 ‘Wonder’ 영상과 LOVE YOURSELF 承 ‘Her’ 앨범이 사랑의 설렘과 두근거림을 표현했다면, 轉 ‘Tear’ 앨범은 이별을 마주한 소년들의 아픔을 담았다. 나 자신으로는 사랑받지 못할 것이라는 두려움에 소년들은 가면을 쓰고, 이렇듯 비뚤어진 사랑은 필연적으로 이별에 이른다. LOVE YOURSELF 轉 ‘Tear’는 가면을 쓴 사랑의 끝, 이별의 아픔과 상실감을 표현했다. 타이틀곡 ‘FAKE LOVE’는 운명인 줄 알았던 사랑이 거짓이었다는 것을 깨닫는 내용으로 앨범 전체의 테마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별의 감성을 방탄소년단만의 유니크한 노랫말과 사운드로 담아내 슬프지만, 에너지를 느낄 수 있다. 언제나 퍼포먼스로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아온 방탄소년단은 ‘FAKE LOVE’에서도 눈을 뗄 수 없는 퍼포먼스를 선사한다. 특히, 세계 각국에 퍼져있는 세 원숭이의 이미지를 비틀어 진실을 외면하려 하는 소년을 형상화한 안무가 인상적이다. 방탄소년단은 이번 앨범에도 자신들의 고민과 이야기를 진솔하게 풀어냈다. 제이홉의 믹스테이프 수록곡 ‘Airplane’의 연장선인 ‘Airplane pt.2’는 멤버들이 월드 투어로 전 세계를 누비며 느낀 솔직한 감정들을 담았다. 영웅 Anpanman의 모습을 방탄소년단에 빗댄 ‘Anpanman’은 음악과 무대로 사람들에게 희망의 에너지를 전달하고 싶은 바람을 들려준다. 이외에도 막내 정국이 프로듀싱에 참여한 팬송 ‘Magic Shop’과 보컬 라인의 매력적인 목소리가 돋보이는 유닛 곡 ‘전하지 못한 진심’, 래퍼 라인의 파워풀한 래핑이 압권인 ‘Outro : Tear’ 등이 수록됐다. 총 11개의 트랙으로 구성된 앨범은 이모 힙합(Emo Hip hop), 팝 발라드, UK 퓨처 힙합, 라틴 팝 등 장르에서 최신 트렌드까지를 다양하게 채워 더욱 넓어진 음악 세계를 보여준다. '피독(Pdogg)', '방시혁(hitman bang)', '슬로우 래빗(Slow Rabbit)', '슈프림 보이(Supreme Boi)', ‘아도라(ADORA)’, ‘히스 노이즈(Hiss noise)’ 등 빅히트 사단을 필두로 ‘MIC Drop’ 리믹스에서 호흡을 맞췄던 스티브 아오키(Steve Aoki), 조자 스미스(Jorja Smith)의 프로듀서 찰리 제이 페리(Charlie J. Perry), 로필(Lophiile), 유망한 싱어송라이터 엠넥(MNEK), 카밀라 카베요(Camila Cabello)의 ‘Havana’, 디제이 스네이크(DJ Snake)의 ‘Let Me Love You’를 만든 작곡가 알리 탐포시(Ali Tamposi) 등 세계적인 스태프들이 앨범의 완성도를 끌어올렸다. 앨범 사양과 뮤직비디오도 글로벌 스탠더드를 뛰어넘는 스케일을 자랑한다. Y, O, U, R 의 4가지 버전으로 출시된 앨범은 이별의 다양한 감정을 표현했다. 여러 편의 화보를 보듯 완벽한 비주얼을 소화한 멤버들의 사진이 버전별로 다양하게 수록됐다. 타이틀곡 ‘FAKE LOVE’ 뮤직비디오는 방탄소년단 사상 최대의 물량이 투입돼 감각적이고 세련된 영상미를 보여준다. 여기에 화려한 세트를 오가며 펼쳐지는 멤버들의 완벽한 퍼포먼스가 더해져 볼거리를 선사한다.}}} || == 수록곡 == ※ 작사 & 작곡은 참여율이 높은 순서로 곡 정보에 작성 됨. === Intro : Singularity === ||
[anchor(Singularity)]'''[[https://www.youtube.com/watch?v=qHfqRUzz02k|Intro : Singularity]]'''[br]{{{#777777 ^^03m 14s^^}}} || ||{{{#f8bdbe ''나''}}}{{{#f6b8be ''는''}}} {{{#eea9c7 ''날''}}} {{{#ddaed0 ''잃''}}}{{{#c7b7da ''은''}}} {{{#b9bde0 ''걸''}}}{{{#a1c7eb ''까''}}}[br]{{{#f8bdbe ''아''}}}{{{#f6b8be ''님''}}} {{{#eea9c7 ''널''}}} {{{#ddaed0 ''얻''}}}{{{#c7b7da ''은''}}} {{{#b9bde0 ''걸''}}}{{{#a1c7eb ''까''}}}[br][br]{{{#f8bdbe ''Tell''}}} {{{#f6b8be ''me''}}} {{{#eea9c7 ''내''}}} {{{#ddaed0 ''목소''}}}{{{#c7b7da ''리가''}}} {{{#b9bde0 ''가짜''}}}{{{#a1c7eb ''라면''}}}[br]{{{#f8bdbe ''날 버''}}}{{{#f6b8be ''리지''}}} {{{#eea9c7 ''말았''}}}{{{#ddaed0 ''어''}}}{{{#c7b7da ''야''}}} {{{#b9bde0 ''했''}}}{{{#a1c7eb ''는지''}}}[br]{{{#f8bdbe ''Tell''}}} {{{#f6b8be ''me''}}} {{{#eea9c7 ''고통''}}}{{{#ddaed0 ''조''}}}{{{#c7b7da ''차''}}} {{{#b9bde0 ''가짜''}}}{{{#a1c7eb ''라면''}}}[br]{{{#f8bdbe ''그''}}}{{{#f6b8be ''때''}}} {{{#eea9c7 ''내가''}}} {{{#ddaed0 ''무얼''}}} {{{#c7b7da ''해야''}}} {{{#b9bde0 ''했''}}}{{{#a1c7eb ''는지''}}}|| >{{{#aaaaaa 작사 & 작곡 - {{{#000000 Charlie J, Perry, '''[[RM]]'''}}}}}} ||
{{{#000000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141923> '''{{{#f8bdbe 〈In}}}{{{#f6b8be tro : S}}}{{{#eea9c7 in}}}{{{#ddaed0 gu}}}{{{#c7b7da la}}}{{{#b9bde0 ri}}}{{{#a1c7eb ty〉}}}''' || || ^^ '''[[뷔|{{{#357d71 뷔}}}]]''' ^^ {{{#357d71 무언가 깨지는 소리 난 문득 잠에서 깨 낯설음 가득한 소리 귀를 막아보지만 잠에 들지 못해 목이 자꾸 아파와 감싸보려 하지만 나에겐 목소리가 없어 오늘도 그 소릴 들어 또 울리고 있어 그 소리가 이 얼어붙은 호수에 또 금이 가 그 호수에 내가 날 버렸잖아 내 목소릴 널 위해 묻었잖아 날 버린 겨울 호수 위로 두꺼운 얼음이 얼었네 잠시 들어간 꿈 속에도 나를 괴롭히는 환상통은 여전해 나는 날 잃은 걸까 아니 널 얻은 걸까 난 문득 호수로 달려가 그 속엔 내 얼굴이 있어 부탁해 아무 말도 하지 마 입을 막으려 손을 뻗어보지만 결국엔 언젠가 봄이 와 얼음들은 녹아내려 흘러가 Tell me 내 목소리가 가짜라면 날 버리지 말았어야 했는지 Tell me 이 고통조차 가짜라면 그때 내가 무얼 해야 했는지}}} || }}}}}} || 이번 인트로의 주자는 [[뷔]]다. 《[[DARK&WILD]]》 앨범에서는 [[RM]], 《[[화양연화 pt.1]]》 앨범과 《[[화양연화 pt.2]]》 앨범에서는 [[슈가(방탄소년단)|슈가]], 《[[WINGS]]》 앨범에선 [[제이홉]]으로 [[래퍼]]라인들이 연이어 인트로를 장식했다면, LOVE YOURSELF [[LOVE YOURSELF 起 'Wonder'|起]][[LOVE YOURSELF 承 'Her'|承]][[LOVE YOURSELF 轉 'Tear'|轉]][[LOVE YOURSELF 結 'Answer'|結]] 시리즈에서는 [[보컬]]라인들이 차례로 인트로를 맡게 되었다. 앞서 이미 시리즈의 첫 번째 앨범인 《[[LOVE YOURSELF 承 'Her']]》에서 [[지민]]이 인트로 '[[Intro : Serendipity|Serendipity]]'를 담당했기 때문에 이번 《LOVE YOURSELF 轉 'Tear'》의 인트로 후보였던 '[[Euphoria(방탄소년단)|Euphoria]]'에서는 정국을 내세우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공개된 트레일러는 'Singularity'였으며 [[뷔]]가 담당하게 됐다.[* 사실 'Euphoria'의 정식 명칭에 起라는 말이 있다.] 현재 많은 [[A.R.M.Y|아미들]]은 차후 시리즈의 완성인 《[[LOVE YOURSELF 結 'Answer']]》 앨범에서는 [[세계관]]의 핵심이자 [[주인공]]인 [[진(방탄소년단)|진]]이 인트로를 맡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었고, 결국 다음 앨범 발매 전 컴백 트레일러인 'Epiphany'의 공개와 함께 그 예상이 완벽하게 적중되었다. 사실상 트레일러만 담당했지 인트로는 1번 트랙인 'Euphoria'가 되었다. 물론 인트로라는 이름이 붙지는 않는다. 이 곡은 Jorja Smith와 함께 작업했던 [[영국]]의 작곡가 Charlie J. Perry가 작곡했으며 작사는 [[RM]]이 했다. [[뷔]]의 음색이 잘 어울리는 [[몽환]]적이고 그루비한 곡. 여담으로 [[갤런트]]가 초반 몇 소절을 [[한국어]]로 직접 [[https://twitter.com/SoGallant/status/996913206919618563?s=19|커버해서]] [[트위터]]에 올려주기도 했다. [[뷔]]는 평소 그를 향한 팬심을 밝혀 온 바 있다. === [[FAKE LOVE]] === ||
[anchor(FAKE LOVE)]'''[[FAKE LOVE]]'''[br]{{{#777777 ^^04m 02s^^}}} || ||{{{#f8bdbe ''널''}}} {{{#f6b8be ''위''}}}{{{#eea9c7 ''해''}}}{{{#ddaed0 ''서''}}}{{{#c7b7da ''라''}}}{{{#b9bde0 ''면''}}} {{{#a1c7eb ''난''}}}[br]{{{#f8bdbe ''슬퍼''}}}{{{#f6b8be ''도''}}} {{{#eea9c7 ''기쁜''}}} {{{#ddaed0 ''척''}}} {{{#c7b7da ''할''}}} {{{#b9bde0 ''수가''}}} {{{#a1c7eb ''있었어''}}}[br]{{{#f8bdbe ''널''}}} {{{#f6b8be ''위''}}}{{{#eea9c7 ''해''}}}{{{#ddaed0 ''서''}}}{{{#c7b7da ''라''}}}{{{#b9bde0 ''면''}}} {{{#a1c7eb ''난''}}}[br]{{{#f8bdbe ''아파''}}}{{{#f6b8be ''도''}}} {{{#eea9c7 ''강한''}}} {{{#ddaed0 ''척''}}} {{{#c7b7da ''할''}}} {{{#b9bde0 ''수가''}}} {{{#a1c7eb ''있었어''}}}|| >{{{#aaaaaa 작사 & 작곡 - {{{#000000 [[Pdogg]], [[방시혁|"hitman" bang]], '''[[RM]]'''}}}}}}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AKE LOVE)] === 전하지 못한 진심 (The Truth Untold) (feat. [[스티브 아오키|Steve Aoki]]) === ||
[anchor(전하지 못한 진심)]'''[[https://www.youtube.com/watch?v=ITc-om9SVr4|전하지 못한 진심 (feat. Steve Aoki)]]'''[br]{{{#777777 ^^04m 02s^^}}} || ||{{{#f8bdbe ''어쩌''}}}{{{#f6b8be ''면''}}} {{{#eea9c7 ''그''}}}{{{#ddaed0 ''때''}}} {{{#c7b7da ''조금만''}}} {{{#b9bde0 ''이만큼''}}}{{{#a1c7eb ''만''}}}[br]{{{#f8bdbe ''용길''}}} {{{#f6b8be ''내서''}}} {{{#eea9c7 ''너의''}}} {{{#ddaed0 ''앞''}}}{{{#c7b7da ''에''}}} {{{#b9bde0 ''섰더''}}}{{{#a1c7eb ''라면''}}}[br]{{{#f8bdbe ''지금''}}} {{{#f6b8be ''모''}}}{{{#eea9c7 ''든''}}} {{{#ddaed0 ''건''}}} {{{#c7b7da ''달라''}}}{{{#b9bde0 ''졌을''}}}{{{#a1c7eb ''까''}}}[br]{{{#f8bdbe ''난''}}} {{{#eea9c7 ''울''}}}{{{#c7b7da ''고''}}} {{{#b9bde0 ''있''}}}{{{#a1c7eb ''어''}}}[br]{{{#f8bdbe ''사''}}}{{{#ddaed0 ''라''}}}{{{#a1c7eb ''진''}}}[br]{{{#f8bdbe ''무''}}}{{{#ddaed0 ''너''}}}{{{#a1c7eb ''진''}}}[br]{{{#f8bdbe ''홀로''}}} {{{#f6b8be ''남겨''}}}{{{#eea9c7 ''진''}}} {{{#ddaed0 ''이''}}} {{{#c7b7da ''모래성''}}}{{{#b9bde0 ''에''}}}{{{#a1c7eb ''서''}}}[br]{{{#f8bdbe ''부서''}}}{{{#f6b8be ''진''}}} {{{#eea9c7 ''가면''}}}{{{#ddaed0 ''을''}}} {{{#c7b7da ''바라''}}}{{{#b9bde0 ''보면''}}}{{{#a1c7eb ''서''}}}[br]{{{#f8bdbe ''An''}}}{{{#f6b8be ''d''}}} {{{#eea9c7 ''I''}}} {{{#ddaed0 ''sti''}}}{{{#c7b7da ''ll''}}} {{{#b9bde0 ''want''}}} {{{#a1c7eb ''you''}}}[br]{{{#f8bdbe ''Bu''}}}{{{#f6b8be ''t''}}} {{{#eea9c7 ''I''}}} {{{#ddaed0 ''sti''}}}{{{#c7b7da ''ll''}}} {{{#b9bde0 ''want''}}} {{{#a1c7eb ''you''}}}[br]{{{#f8bdbe ''Bu''}}}{{{#f6b8be ''t''}}} {{{#eea9c7 ''I''}}} {{{#ddaed0 ''sti''}}}{{{#c7b7da ''ll''}}} {{{#b9bde0 ''want''}}} {{{#a1c7eb ''you''}}}[br]{{{#f8bdbe ''An''}}}{{{#f6b8be ''d''}}} {{{#eea9c7 ''I''}}} {{{#ddaed0 ''sti''}}}{{{#c7b7da ''ll''}}} {{{#b9bde0 ''want''}}} {{{#a1c7eb ''you''}}}|| >{{{#aaaaaa 작사 & 작곡 - {{{#000000 '''[[스티브 아오키|Steve Aoki]]''', Roland Spreckley, Jake Torrey, Noah Conrad, Annika Wells, '''[[RM]]''', [[Slow Rabbit]]}}}}}} ||
{{{#000000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141923> '''{{{#f8bdbe 〈전}}}{{{#f6b8be 하}}}{{{#eea9c7 지}}} {{{#ddaed0 못}}}{{{#c7b7da 한}}} {{{#b9bde0 진심}}}{{{-3 {{{#ffffff (feat. [[스티브 아오키|{{{#ffffff Steve Aoki}}}]])}}}}}}{{{#a1c7eb 〉}}}''' || || ^^ '''ALL [[진(방탄소년단)|{{{#c77b7f 진}}}]] [[지민|{{{#fcd353 지민}}}]] [[뷔|{{{#357d71 뷔}}}]] [[정국(방탄소년단)|{{{#561689 정국}}}]]''' ^^ {{{#357d71 외로움이 가득히 피어있는 이 garden 가시투성이 이 모래성에 난 날 매었어}}} {{{#561689 너의 이름은 뭔지 갈 곳이 있긴 한지 Oh could you tell me? 이 정원에 숨어든 널 봤어}}} {{{#c77b7f And I know 너의 온긴 모두 다 진짜란 걸 푸른 꽃을 꺾는 손 잡고 싶지만}}} {{{#fcd353 내 운명인걸 Don't smile on me Light on me 너에게 다가설 수 없으니까 내겐 불러줄 이름이 없어}}} {{{#561689 You know that I can't Show you ME Give you ME 초라한 모습 보여줄 순 없어 또 가면을 쓰고 널 만나러 가 But I still want you}}} {{{#c77b7f 외로움의 정원에 핀 너를 닮은 꽃 주고 싶었지 바보 같은 가면을 벗고서}}} {{{#fcd353 But I know 영원히 그럴 수는 없는걸 숨어야만 하는걸 추한 나니까}}} {{{#357d71 난 두려운걸 초라해 I’m so afraid 결국엔 너도 날 또 떠나버릴까 또 가면을 쓰고 널 만나러 가}}} {{{#561689 할 수 있는 건 정원에 이 세상에 예쁜 너를 닮은 꽃을 피운 다음 니가 아는 나로 숨쉬는 것 But I still want you I still want you}}} {{{#c77b7f 어쩌면 그때 조금만 이만큼만 용길 내서 너의 앞에 섰더라면 지금 모든 건 달라졌을까}}} {{{#fcd353 난 울고 있어 사라진 무너진 홀로 남겨진 이 모래성에서 부서진 가면을 바라보면서 And I still want you But I still want you But I still want you And I still want you}}} || }}}}}} || 보컬라인의 [[유닛]]곡으로, [[LOVE YOURSELF 承 'Her'|전 앨범]]에서 [[콜라보]]했던 [[스티브 아오키]]와 다시 [[콜라보]]를 하게 되었다. 아름다운 [[가사]]와 서정적인 [[분위기]]의 [[발라드]]로, [[진(방탄소년단)|보]][[지민|컬]][[뷔|라]][[정국(방탄소년단)|인]]의 발전한 역량을 실감할 수 있는 [[노래]]이다. [[피아노]] 한 대만으로 이루어진 정적인 [[분위기]]로 [[시작]]해서, 점점 드라마틱하고 풍성해지는 곡 진행이 인상적이다. 곡들이 발매된 지 수개월 뒤, 이 '''전하지 못한 진심'''의 가사 뜻은 '''사랑하는 사람에게 진심으로 전하고 싶었던 감정을 전하지 못하고 후회하는 내용'''을 담고 있고, 가사와의 화음의 조화 등 아이돌 음악의 틀을 깨뜨리는 듯한 느낌을 얻어 음원사이트 멜론의 리스너들에게 매우 많은 호감을 받고 있다. 총 하트 수 20만 개라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결국 [[2018년]] 연간 차트에서 61위를 차지하게 된다. 수록곡으로서는 대단한 셈.[* [[MAP OF THE SOUL : PERSONA|다음 앨범]] 수록곡인 '[[소우주 (Mikrokosmos)]]'도 곡 자체의 장르는 다르지만 비슷한 평을 받고 있다.] 가사도 예뻐서 자주 인용된다 . Rolling stone지 선정 2018 최고의 노래 '''38위'''에 선정되었다. === 134340 === ||
[anchor(134340)]'''[[https://www.youtube.com/watch?v=lu0XVRP_Bfc|134340]]'''[br]{{{#777777 ^^03m 50s^^}}} || ||{{{#f8bdbe ''난''}}} {{{#f6b8be ''맴''}}}{{{#eea9c7 ''돌''}}}{{{#ddaed0 ''고''}}}{{{#c7b7da ''만''}}} {{{#b9bde0 ''있''}}}{{{#a1c7eb ''어''}}}[br]{{{#f8bdbe ''(난''}}} {{{#f6b8be ''널''}}} {{{#eea9c7 ''놓쳤''}}}{{{#ddaed0 ''어''}}} {{{#c7b7da ''난''}}} {{{#b9bde0 ''널''}}} {{{#a1c7eb ''잃었어)''}}}[br]{{{#f8bdbe ''난''}}} {{{#f6b8be ''헛''}}}{{{#eea9c7 ''돌''}}}{{{#ddaed0 ''고''}}}{{{#c7b7da ''만''}}} {{{#b9bde0 ''있''}}}{{{#a1c7eb ''어''}}}[br]{{{#f8bdbe ''(넌''}}} {{{#f6b8be ''날''}}} {{{#eea9c7 ''지웠''}}}{{{#ddaed0 ''어''}}} {{{#c7b7da ''넌''}}} {{{#b9bde0 ''날''}}} {{{#a1c7eb ''잊었어)''}}}[br]{{{#f8bdbe ''한때''}}}{{{#f6b8be ''는''}}} {{{#eea9c7 ''태양''}}}{{{#ddaed0 ''의''}}} {{{#c7b7da ''세계에''}}} {{{#b9bde0 ''속했''}}}{{{#a1c7eb ''던''}}}[br]{{{#f8bdbe ''(노''}}}{{{#f6b8be ''랜''}}} {{{#eea9c7 ''멈췄''}}}{{{#ddaed0 ''어''}}} {{{#c7b7da ''노랜''}}} {{{#b9bde0 ''멎었''}}}{{{#a1c7eb ''어)''}}}[br]{{{#f8bdbe ''별''}}}{{{#f6b8be ''의''}}} {{{#eea9c7 ''심장''}}}{{{#ddaed0 ''엔''}}} {{{#c7b7da ''텁텁한''}}} {{{#b9bde0 ''안개층''}}}{{{#a1c7eb ''뿐)''}}}[br]{{{#f8bdbe ''(넌''}}} {{{#f6b8be ''날''}}} {{{#eea9c7 ''지웠''}}}{{{#ddaed0 ''어''}}} {{{#c7b7da ''넌''}}} {{{#b9bde0 ''날''}}} {{{#a1c7eb ''잊었어)''}}}|| >{{{#aaaaaa 작사 & 작곡 - {{{#000000 [[Pdogg]], [[ADORA]], [[정바비]], '''[[RM]]''', Martin Luke Brown, Orla Gartland, '''[[슈가(방탄소년단)|SUGA]]''', '''[[제이홉|j-hope]]'''}}}}}} ||
{{{#000000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141923> '''{{{#f8bdbe 〈1}}}{{{#f6b8be 3}}}{{{#eea9c7 4}}}{{{#ddaed0 3}}}{{{#c7b7da 4}}}{{{#a1c7eb 0〉}}}''' || || ^^ '''ALL [[진(방탄소년단)|{{{#c77b7f 진}}}]] [[슈가(방탄소년단)|{{{#777676 슈가}}}]] [[제이홉|{{{#ce2939 제이홉}}}]] [[RM|{{{#71a4d9 RM}}}]] [[지민|{{{#fcd353 지민}}}]] [[뷔|{{{#357d71 뷔}}}]] [[정국(방탄소년단)|{{{#561689 정국}}}]]''' ^^ {{{#357d71 그럴 수만 있다면 물어보고 싶었어 그때 왜 그랬는지 왜 날 내쫓았는지}}} {{{#561689 어떤 이름도 없이 여전히 널 맴도네 작별이 무색해 그 변함없는 색채}}} {{{#71a4d9 나에겐 이름이 없구나 나도 너의 별이었는데 넌 빛이라서 좋겠다 난 그런 널 받을 뿐인데 무너진 왕성에 남은 명이 뭔 의미가 있어 죽을 때까지 받겠지 니 무더운 시선 아직 난 널 돌고 변한 건 없지만 사랑에 이름이 없다면 모든 게 변한 거야 넌 정말로 [[에리스(왜행성)|{{{#71a4d9 Eris}}}]]를 찾아낸 걸까 말해 내가 저 달보다 못한 게 뭐야 us는 u의 복수형일 뿐 어쩌면 거기 처음부터 난 없었던 거야 언젠가 너도 이 말을 이해하겠지 나의 계절은 언제나 너였어 내 차가운 심장은 영하 248도 니가 날 지운 그 날 멈췄어 Damn}}} {{{#fcd353 난 맴돌고만 있어}}} {{{#c77b7f (난 널 놓쳤어 난 널 잃었어)}}} {{{#fcd353 난 헛돌고만 있어}}} {{{#c77b7f (넌 날 지웠어 넌 날 잊었어)}}} {{{#561689 한때는 [[태양계|{{{#561689 태양의 세계}}}]]에 [[명왕성#s-6|{{{#561689 속했던}}}]]}}} {{{#357d71 (노랜 멈췄어 노랜 멎었어)}}} {{{#561689 별의 심장엔 텁텁한 안개층뿐}}} {{{#357d71 (넌 날 지웠어 넌 날 잊었어)}}} {{{#777676 어제와는 그리 다를 건 없네 ay 똑같은 일상 속에 딱 너만 없네 ay 분명 어제까지는 함께였는데 ay 무서울 정도로 똑같은 하루 속엔 딱 너만 없네 솔직히 말해 니가 없던 일년쯤 덤덤했지 흔히 말하는 미련도 없던 지난 날 이젠 깜빡 니 향기 따윈 기억도 안나 잠깐 근데 어디선가 맡아봤던 향순데 ay 기억이 어렴풋이 피어날 듯해 ay 저기 저기 고개를 돌려보니 환하게 웃으며 다가오는 니 옆엔 그... (안녕?) 안녕 어떻게 지내? 나는 뭐 잘 지내 왠지 터질듯한 내 심장과는 달리 이 순간 온도는 영하 248}}} {{{#c77b7f 난 맴돌고만 있어}}} {{{#561689 (난 널 놓쳤어 난 널 잃었어)}}} {{{#c77b7f 난 헛돌고만 있어}}} {{{#561689 (넌 날 지웠어 넌 날 잊었어) 한때는 태양의 세계에 속했던}}} {{{#fcd353 (노랜 멈췄어 노랜 멎었어)}}} {{{#561689 별의 심장엔 텁텁한 안개층뿐}}} {{{#fcd353 (넌 날 지웠어 넌 날 잊었어)}}} {{{#c77b7f 난 맴돌고만 있어}}} {{{#ce2939 (안개 너머의 여전히 미소 띤 널 지켜보지 의미도, 너도, 다 없는 불규칙 내 궤도의 현실)}}} {{{#c77b7f 난 헛돌고만 있어}}} {{{#ce2939 (너에겐 기억하기 힘든 숫자와 어둠의 pluto 그래도 계속 난 너의 주위를 맴돌겠지 damn)}}} {{{#357d71 난 맴돌고만 있어}}} {{{#561689 (난 널 놓쳤어 난 널 잃었어)}}} {{{#357d71 난 헛돌고만 있어}}} {{{#561689 (넌 날 지웠어 넌 날 잊었어) 한때는 태양의 세계에 속했던}}} {{{#fcd353 (노랜 멈췄어 노랜 멎었어)}}} {{{#561689 별의 심장엔 텁텁한 안개층뿐}}} {{{#fcd353 (넌 날 지웠어 넌 날 잊었어)}}} || }}}}}} || [[명왕성]]이 [[태양계]]의 [[행성]] 지위를 상실한 것을 골격으로 하는 노래. 헤어진 [[연인]]을 잊지 못하고 주위를 맴도는 자신의 처지를 명왕성에 비유하고 있다. 실제로 명왕성이 [[달]]보다 크기가 작다는 점이라든지, [[에리스(왜행성)|에리스]]의 발견이 명왕성의 태양계 퇴출로 이어진 과정을 [[인간관계]]와 꽤나 잘 엮어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곡에 대한 미국인들의 애정이 큰 듯하다. [[2024년]] '''[[NASA]]의 달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계획]] 우주비행사들의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되어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달에서 재생될 예정이라고 한다]]'''. === 낙원 (Paradise) === ||
[anchor(낙원)]'''[[https://www.youtube.com/watch?v=obH7iPDAn2Q|낙원]]'''[br]{{{#777777 ^^03m 30s^^}}} || ||{{{#f8bdbe ''멈''}}}{{{#f6b8be ''춰''}}}{{{#eea9c7 ''서''}}}{{{#ddaed0 ''도''}}} {{{#c7b7da ''괜''}}}{{{#b9bde0 ''찮''}}}{{{#a1c7eb ''아''}}}[br]{{{#f8bdbe ''아무''}}} {{{#f6b8be ''이유도''}}} {{{#eea9c7 ''모르는''}}} {{{#ddaed0 ''채''}}} {{{#c7b7da ''달릴''}}} {{{#b9bde0 ''필요''}}} {{{#a1c7eb ''없어''}}}[br]{{{#f8bdbe ''꿈''}}}{{{#f6b8be ''이''}}} {{{#eea9c7 ''없어''}}}{{{#ddaed0 ''도''}}} {{{#c7b7da ''괜''}}}{{{#b9bde0 ''찮''}}}{{{#a1c7eb ''아''}}}[br]{{{#f8bdbe ''잠시''}}} {{{#f6b8be ''행복''}}}{{{#eea9c7 ''을''}}} {{{#ddaed0 ''느낄 네''}}} {{{#c7b7da ''순간''}}}{{{#b9bde0 ''들이''}}} {{{#a1c7eb ''있다면''}}}[br]{{{#f8bdbe ''멈''}}}{{{#f6b8be ''춰''}}}{{{#eea9c7 ''서''}}}{{{#ddaed0 ''도''}}} {{{#c7b7da ''괜''}}}{{{#b9bde0 ''찮''}}}{{{#a1c7eb ''아''}}}[br]{{{#f8bdbe ''이젠''}}} {{{#f6b8be ''목적도''}}} {{{#eea9c7 ''모르는''}}} {{{#ddaed0 ''채''}}} {{{#c7b7da ''달리''}}}{{{#b9bde0 ''지''}}} {{{#a1c7eb ''않아''}}}[br]{{{#f8bdbe ''꿈''}}}{{{#f6b8be ''이''}}} {{{#eea9c7 ''없어''}}}{{{#ddaed0 ''도''}}} {{{#c7b7da ''괜''}}}{{{#b9bde0 ''찮''}}}{{{#a1c7eb ''아''}}}[br]{{{#f8bdbe ''네가''}}} {{{#f6b8be ''내뱉는''}}} {{{#eea9c7 ''모든''}}} {{{#ddaed0 ''호흡은''}}} {{{#c7b7da ''이미''}}} {{{#b9bde0 ''낙원''}}}{{{#a1c7eb ''에''}}}|| >{{{#aaaaaa 작사 & 작곡 - {{{#000000 Tyler Acord, MNEK, '''[[RM]]''', [[9와 숫자들|송재경]], '''[[슈가(방탄소년단)|SUGA]]''', '''[[제이홉|j-hope]]'''}}}}}} ||
{{{#000000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141923> '''{{{#f8bdbe 〈낙}}}{{{#a1c7eb 원〉}}}''' || || ^^ '''ALL [[진(방탄소년단)|{{{#c77b7f 진}}}]] [[슈가(방탄소년단)|{{{#777676 슈가}}}]] [[제이홉|{{{#ce2939 제이홉}}}]] [[RM|{{{#71a4d9 RM}}}]] [[지민|{{{#fcd353 지민}}}]] [[뷔|{{{#357d71 뷔}}}]] [[정국(방탄소년단)|{{{#561689 정국}}}]]''' ^^ {{{#561689 마라톤 마라톤 삶은 길어 천천히 해 42.195 그 끝엔 꿈의 낙원이 가득해}}} {{{#fcd353 하지만 진짜 세상은 약속과는 달라 우린 달려야 해 밟아야 해 신호탄을 쏘면 너, 목적지도 없어 아무 풍경도 없어 숨이 턱까지 넘칠 때 You need to you need to}}} {{{#357d71 멈춰서도 괜찮아 아무 이유도 모르는 채 달릴 필요 없어}}} {{{#561689 꿈이 없어도 괜찮아 잠시 행복을 느낄 네 순간들이 있다면}}} {{{#c77b7f 멈춰서도 괜찮아 이젠 목적도 모르는 채 달리지 않아}}} {{{#fcd353 꿈이 없어도 괜찮아 네가 내뱉는 모든 호흡은 이미 낙원에}}} {{{#71a4d9 우린 꿈을 남한테서 꿔 (빚처럼) 위대해져야 한다 배워 (빛처럼) 너의 dream. 사실은 짐 미래만이 꿈이라면 내가 어젯밤 침대서 꾼 건 뭐? 꿈의 이름이 달라도 괜찮아 다음달에 노트북 사는 거 아니면 그냥 먹고 자는 거 암것도 안 하는데 돈이 많은 거 꿈이 뭐 거창한 거라고 그냥 아무나 되라고 We deserve a life 뭐가 크건 작건 그냥 너는 너잖어}}} {{{#fcd353 하지만 진짜 세상은 약속과는 달라 우린 달려야 해 밟아야 해 신호탄을 쏘면 너, 목적지도 없어 아무 풍경도 없어 숨이 턱까지 넘칠 때 You need to you need to}}} {{{#561689 멈춰서도 괜찮아 아무 이유도 모르는 채 달릴 필요 없어}}} {{{#c77b7f 꿈이 없어도 괜찮아 잠시 행복을 느낄 네 순간들이 있다면}}} {{{#357d71 멈춰서도 괜찮아 이젠 목적도 모르는 채 달리지 않아}}} {{{#fcd353 꿈이 없어도 괜찮아 네가 내뱉는 모든 호흡은 이미 낙원에}}} {{{#777676 I don't have a dream 꿈을 꾸는 게 때론 무섭네 그냥 이렇게 살아가는 게 살아남는 게 이게 나에겐 작은 꿈인데 꿈을 꾸는 게 꿈을 쥐는 게 숨을 쉬는 게 때론 버겁네 누군 이렇게 누군 저렇게 산다면서 세상은 내게 욕을 퍼붓네}}} {{{#ce2939 Yeah 세상은 욕할 자격이 없네 꿈을 꾸는 법이 무엇인지 가르쳐 준 적도 없기에 꾸며 낸 꿈이기에 눈물의 잠꼬대 악몽에서 깨워내 널 위해 이젠 매일 웃어보자고 저 낙원에서}}} {{{#357d71 멈춰서도 괜찮아 이젠 목적도 모르는 채 달리지 않아}}} {{{#fcd353 꿈이 없어도 괜찮아 네가 내뱉는 모든 호흡은 이미 낙원에}}} Stop runnin' for nothin' my friend Now 어리석은 경주를 끝내 Stop runnin' for nothin' my friend 네가 내뱉는 모든 호흡은 이미 낙원에 Stop runnin' for nothin' my friend 다 꾸는 꿈 따윈 없어도 돼 Stop runnin' for nothin' my friend 너를 이루는 모든 언어는 이미 낙원에 || }}}}}} || [[슈가(방탄소년단)|슈가]]가 [[https://www.youtube.com/watch?v=47tC_G1DJ7M|신년 인사 영상]]에서 했던 '꿈이 없어도 괜찮습니다'라는 말을 확장시킨 곡이다. "No More Dream"으로 데뷔한 이래 꾸준히 '''[[꿈]]을 찾으라고 외쳐 왔던''' [[방탄소년단]]이 이제는 '''[[꿈]]이 없어도 괜찮다는 위로를 건네고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기분이 묘해지는 대목. [[비욘세]], [[마돈나]], [[두아 리파]] 등 최정상급의 아티스트들과 협업했던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MNEK이 작곡에, [[9와 숫자들]]의 리더 송재경이 작사에 참여했다. [[2018년|동년]]에 개봉한 [[방탄소년단]]의 전기 영화 〈[[번 더 스테이지: 더 무비]]〉의 엔딩 스탭롤에 삽입되었다. === Love Maze === ||
[anchor(Love Maze)]'''[[https://www.youtube.com/watch?v=n_R0-YosZ3g|Love Maze]]'''[br]{{{#777777 ^^03m 40s^^}}} || ||{{{#f8bdbe ''시련''}}}{{{#f6b8be ''은''}}} {{{#eea9c7 ''우''}}}{{{#ddaed0 ''릴''}}} {{{#c7b7da ''속이려''}}} {{{#b9bde0 ''하지''}}} {{{#a1c7eb ''but''}}}[br]{{{#f8bdbe ''그럴''}}} {{{#f6b8be ''땐''}}} {{{#eea9c7 ''내''}}}{{{#ddaed0 ''게''}}} {{{#c7b7da ''집''}}}{{{#b9bde0 ''중''}}}{{{#a1c7eb ''해''}}}[br]{{{#f8bdbe ''어''}}}{{{#f6b8be ''둠''}}} {{{#eea9c7 ''속에''}}}{{{#ddaed0 ''선''}}} {{{#c7b7da ''우리면''}}} {{{#b9bde0 ''충분''}}}{{{#a1c7eb ''해''}}}|| >{{{#aaaaaa 작사 & 작곡 - {{{#000000 [[Pdogg]], Jordan "DJ Swivel" Young, Candace Nicole Sosa, '''[[RM]]''', '''[[슈가(방탄소년단)|SUGA]]''', '''[[제이홉|j-hope]]''', [[정바비]], [[ADORA]], 윤기타}}}}}} ||
{{{#141923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141923> '''{{{#f8bdbe 〈Lo}}}{{{#f6b8be v}}}{{{#eea9c7 e}}} {{{#ddaed0 M}}}{{{#c7b7da a}}}{{{#b9bde0 z}}}{{{#a1c7eb e〉}}}''' || || ^^ '''ALL [[진(방탄소년단)|{{{#c77b7f 진}}}]] [[슈가(방탄소년단)|{{{#777676 슈가}}}]] [[제이홉|{{{#ce2939 제이홉}}}]] [[RM|{{{#71a4d9 RM}}}]] [[지민|{{{#fcd353 지민}}}]] [[뷔|{{{#357d71 뷔}}}]] [[정국(방탄소년단)|{{{#561689 정국}}}]]''' ^^ {{{#561689 Cuz I'll be in love maze Cuz I'll be in love maze}}} {{{#fcd353 선택의 미로 속에 갇혀 막다른 혼돈 속에 지쳐 우린 정답을 찾아 헤맸었지만 Lost in the maze, in the darkness}}} {{{#561689 끝없이 길을 달리고 달려봐도 저 수많은 거짓 아우성들이 우릴 갈라놓을 수 있어 정말인 걸 baby}}} {{{#fcd353 우린 우리만 믿어야 해}}} {{{#c77b7f 두 손 놓치면 안 돼}}} {{{#fcd353 영원히 함께여야 해}}} {{{#71a4d9 남들은 얘기해 이럼 너만 바보 돼 But I don't wanna use my head I don't wanna calculate Love ain't a business Rather like a fitness 머리 쓰며 사랑한 적 없기에 추울 걸 알아 겨울처럼 말야 그래도 난 부딪치고 싶어 ayy 니가 밀면 넘어질게 날 일으켜줘 yeah 내가 당겨도 오지 않아도 돼 Let them be them Let us be us Love is a maze damn But you is amaze yeah}}} {{{#fcd353 Take my ay ay hand 손을 놓지 마 Lie ay ay 미로 속에서 My ay ay 절대 날 놓치면 안돼 In love maze}}} {{{#357d71 Take my ay ay hand 손을 놓지 마 My ay ay 더 가까이 와 My ay ay 절대 엇갈리면 안돼 In love maze}}} {{{#fcd353 남들이 뭐라던 듣지 말자 Just let'em talk 누가 뭐라건}}} {{{#c77b7f 그럴 수록 난 더 확신이 생겨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fcd353 Can’t you hear me 날 믿어야 해}}} {{{#c77b7f Baby just don't give a damn}}} {{{#fcd353 Promise 내게 약속해}}} {{{#777676 사방이 막혀있는 미로 속 막다른 길 이 심연 속을 우린 거닐고 있지 저기 가느다란 빛 그 낙원을 향해 헤매고 있기를 명심해 때론 거짓은 우리 사일 가르려 하니 시련은 우릴 속이려 하지 but 그럴 땐 내게 집중해 어둠 속에선 우리면 충분해 덧없는 거짓 속에서 우리가 함께면 끝이 없는 미로조차 낙원}}} {{{#c77b7f Take my ay ay hand 손을 놓지 마 Lie ay ay 미로 속에서 My ay ay 절대 날 놓치면 안돼 In love maze}}} {{{#ce2939 뭐 어쩌겠어 우린 공식대로 와 있고 그래 어쩌겠어 그 법에 맞춰 맞닿아있어 방황하는 이 미로도 미지수의 그 기로도 서로를 위한 섭리 중 하나인걸 난 늘 생각해 영원은 어렵대도 해보고 싶다고 그래 영원해 보자고 둘만의 산, 둘만의 climb 둘만의 세계의 축, 둘만의 마음 출구를 향한 travel 잡은 두 손이 지도가 되어}}} {{{#561689 Take my ay ay hand 손을 놓지 마 Lie ay ay 미로 속에서 My ay ay 절대 날 놓치면 안돼 In love maze}}} {{{#357d71 Take my ay ay hand 손을 놓지 마 My ay ay 더 가까이 와 My ay ay 절대 엇갈리면 안돼 In love maze}}} || }}}}}} || [[러브송]] 같은 가사지만 [[방탄소년단]]과 [[A.R.M.Y|팬들]]의 [[관계]]에 대한 노래라고 한다. [[체인스모커스]]의 곡들 대다수를 프로듀싱하고 [[믹스]]한 DJ Swivel이 참여했다. --아미들 사이에서 떠들썩한 전설의 그 집착광공 노래다..-- === Magic Shop === ||
[anchor(Magic Shop)]'''[[https://www.youtube.com/watch?v=38k5zr1e0HI|Magic Shop]]'''[br]{{{#777777 ^^04m 35s^^}}} || ||{{{#f8bdbe ''내''}}}{{{#f6b8be ''가''}}} {{{#eea9c7 ''나인''}}} {{{#ddaed0 ''게''}}} {{{#c7b7da ''싫''}}}{{{#b9bde0 ''은''}}} {{{#a1c7eb ''날''}}}[br]{{{#f8bdbe ''영''}}}{{{#f6b8be ''영''}}} {{{#eea9c7 ''사라''}}}{{{#ddaed0 ''지고''}}} {{{#c7b7da ''싶''}}}{{{#b9bde0 ''은''}}} {{{#a1c7eb ''날''}}}[br]{{{#f8bdbe ''문을''}}} {{{#f6b8be ''하나''}}} {{{#eea9c7 ''만들자''}}} {{{#ddaed0 ''너의''}}} {{{#c7b7da ''맘''}}} {{{#b9bde0 ''속''}}}{{{#a1c7eb ''에다''}}}[br][br]{{{#f8bdbe ''나도''}}} {{{#f6b8be ''모든''}}} {{{#eea9c7 ''게''}}} {{{#ddaed0 ''다''}}} {{{#c7b7da ''두려웠''}}}{{{#b9bde0 ''다면''}}} {{{#a1c7eb ''믿어줄래''}}}[br]{{{#f8bdbe ''모든''}}} {{{#f6b8be ''진심''}}}{{{#eea9c7 ''들이''}}} {{{#ddaed0 ''남''}}}{{{#c7b7da ''은''}}} {{{#b9bde0 ''시간''}}}{{{#a1c7eb ''들이''}}}|| >{{{#aaaaaa 작사 & 작곡 - {{{#000000 '''[[정국(방탄소년단)|Jung Kook]]''', Hiss noise, '''[[RM]]''', Jordan "DJ Swivel" Young, Candace Nicole Sosa, [[ADORA]], '''[[제이홉|j-hope]]''', '''[[슈가(방탄소년단)|SUGA]]'''}}}}}} ||
{{{#141923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141923> '''{{{#f8bdbe 〈Ma}}}{{{#f6b8be g}}}{{{#eea9c7 i}}}{{{#ddaed0 c}}} {{{#c7b7da S}}}{{{#b9bde0 ho}}}{{{#a1c7eb p〉}}}''' || || ^^ '''ALL [[진(방탄소년단)|{{{#c77b7f 진}}}]] [[슈가(방탄소년단)|{{{#777676 슈가}}}]] [[제이홉|{{{#ce2939 제이홉}}}]] [[RM|{{{#71a4d9 RM}}}]] [[지민|{{{#fcd353 지민}}}]] [[뷔|{{{#357d71 뷔}}}]] [[정국(방탄소년단)|{{{#561689 정국}}}]]''' ^^ {{{#357d71 망설인다는 걸 알아 진심을 말해도 결국 다 흉터들로 돌아오니까}}} {{{#561689 힘을 내란 뻔한 말은 하지 않을 거야 난 내 얘길 들려줄게 들려줄게}}} {{{#71a4d9 내가 뭐랬어 이길 거랬잖아 믿지 못했어 (정말) 이길 수 있을까 이 기적 아닌 기적을 우리가 만든 걸까 (No) 난 여기 있었고 니가 내게 다가와준 거야 I do believe your galaxy 듣고 싶어 너의 멜로디 너의 은하수의 별들은 너의 하늘을 과연 어떻게 수놓을지 나의 절망 끝에 결국 내가 널 찾았음을 잊지마 넌 절벽 끝에 서 있던 내 마지막 이유야 Live.}}} {{{#c77b7f 내가 나인 게 싫은 날 영영 사라지고 싶은 날 문을 하나 만들자 너의 맘 속에다}}} {{{#fcd353 그 문을 열고 들어가면 이 곳이 기다릴 거야 믿어도 괜찮아 널 위로해줄 Magic Shop}}} {{{#561689 따뜻한 차 한 잔을 마시며 저 은하수를 올려다보며}}} {{{#fcd353 넌 괜찮을 거야 oh 여긴 Magic Shop}}} {{{#561689 So show me}}} (I'll show you) {{{#357d71 So show me}}} (I'll show you) {{{#fcd353 So show me}}} (I'll show you) Show you show you {{{#ce2939 필 땐 장미꽃처럼 흩날릴 땐 벚꽃처럼 질 땐 나팔꽃처럼 아름다운 그 순간처럼}}} {{{#777676 항상 최고가 되고 싶어 그래서 조급했고 늘 초조했어 남들과 비교는 일상이 돼버렸고 무기였던 내 욕심은 되려 날 옥죄고 또 목줄이 됐어 그런데 말야 돌이켜보니 사실은 말야 나 최고가 되고 싶었던 것이 아닌 것만 같아}}} {{{#ce2939 위로와 감동이 되고 싶었었던 나 그대의 슬픔, 아픔 거둬가고 싶어 나}}} {{{#561689 내가 나인 게 싫은 날 영영 사라지고 싶은 날 문을 하나 만들자 너의 맘 속에다}}} {{{#c77b7f 그 문을 열고 들어가면 이 곳이 기다릴 거야 믿어도 괜찮아 널 위로해줄 Magic Shop}}} {{{#357d71 따뜻한 차 한 잔을 마시며 저 은하수를 올려다보며}}} {{{#c77b7f 넌 괜찮을 거야 oh 여긴 Magic Shop}}} {{{#357d71 So show me}}} (I'll show you) {{{#c77b7f So show me}}} (I'll show you) {{{#561689 So show me}}} (I'll show you) Show you show you {{{#357d71 나도 모든 게 다 두려웠다면 믿어줄래 모든 진심들이 남은 시간들이}}} {{{#fcd353 너의 모든 해답은 니가 찾아낸 이 곳에 너의 은하수에 너의 마음 속에}}} You gave me the best of me So you'll give you the best of you 날 찾아냈잖아 날 알아줬잖아 You gave me the best of me So you'll give you the best of you 넌 찾아낼 거야 네 안에 있는 galaxy {{{#561689 So show me}}} (I'll show you) {{{#fcd353 So show me}}} (I'll show you) {{{#357d71 So show me}}} (I'll show you) Show you show you || }}}}}} || 무려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이 직접 프로듀싱한 [[팬송]]'''이다. [[마술]] 가게의 주인인 [[방탄소년단]]이 [[A.R.M.Y|팬들]]에게 자신의 경험담을 직접 들려주며 힘든 현실을 위로해 준다는 [[콘셉트]]. [[방탄소년단|가수]]가 반대로 팬들을 위로하는 노래라고 할 수 있겠다. 중간에 등장하는 [[슈가(방탄소년단)|슈가]]의 파트[* "남들과 비교는 일상이 돼버렸고 무기였던 내 [[욕심]]은 되려 날 옥죄고 또 목줄이 됐어" / "그런데 말야 돌이켜보니 사실은 말야 나 최고가 되고 싶었던 것이 아닌 것만 같아"]는 팬들로 하여금 눈물을 쏟게 했던 [[믹스테입]] 《[[Agust D(음반)|Agust D]]》의 수록곡 '[[Agust D(음반)#s-2.6|마지막]]'의 가사에서 따온 것이다. 팬송이라서 곡 제목인 매직샵 자체가 팬미팅인 머스터 5기 제목이 되기도 하고, [[브링 더 소울: 더 무비]] 엔딩 크레딧 곡으로도 삽입되었다. 이 곡도 DJ Swivel이 참여했다. 팬이 아닌 사람도 많이 아는 노래 중 하나이다. 고평가 받는 노래이기도 하다. === Airplane pt.2 === ||
[anchor(Airplane pt.2)]'''[[https://www.youtube.com/watch?v=3J9G-PWo2oE|Airplane pt.2]]'''[br]{{{#777777 ^^03m 39s^^}}} || ||{{{#f8bdbe ''We''}}} {{{#f6b8be ''goin’''}}} {{{#eea9c7 ''from''}}} {{{#ddaed0 ''N''}}}{{{#c7b7da ''Y''}}} {{{#b9bde0 ''to''}}} {{{#a1c7eb ''Cali''}}}[br]{{{#f8bdbe ''Lon''}}}{{{#f6b8be ''don''}}} {{{#eea9c7 ''to''}}} {{{#ddaed0 ''P''}}}{{{#c7b7da ''a''}}}{{{#b9bde0 ''ri''}}}{{{#a1c7eb ''s''}}}[br]{{{#f8bdbe ''우리''}}}{{{#f6b8be ''가''}}} {{{#eea9c7 ''가는''}}} {{{#ddaed0 ''그''}}} {{{#c7b7da ''곳이''}}} {{{#b9bde0 ''어디든''}}} {{{#a1c7eb ''party''}}}[br]{{{#f8bdbe ''El''}}} {{{#f6b8be ''Ma''}}}{{{#eea9c7 ''ri''}}}{{{#ddaed0 ''a''}}}{{{#c7b7da ''c''}}}{{{#b9bde0 ''h''}}}{{{#a1c7eb ''i''}}}[* [[멕시코]] 민속 [[음악]]. 또는 그것을 [[연주]]하는 [[사람]]들.][br]{{{#f8bdbe ''El''}}} {{{#f6b8be ''Ma''}}}{{{#eea9c7 ''ri''}}}{{{#ddaed0 ''a''}}}{{{#c7b7da ''c''}}}{{{#b9bde0 ''h''}}}{{{#a1c7eb ''i''}}}[br]{{{#f8bdbe ''El''}}} {{{#f6b8be ''Ma''}}}{{{#eea9c7 ''ri''}}}{{{#ddaed0 ''a''}}}{{{#c7b7da ''c''}}}{{{#b9bde0 ''h''}}}{{{#a1c7eb ''i''}}}|| >{{{#aaaaaa 작사 & 작곡 - {{{#000000 [[Pdogg]], '''[[RM]]''', Ali Tamposi, Liza Owen, Roman Campolo, [[방시혁|"hitman" bang]], '''[[제이홉|j-hope]]''', '''[[슈가(방탄소년단)|SUGA]]'''}}}}}} ||
{{{#141923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141923> '''{{{#f8bdbe 〈Air}}}{{{#f6b8be pl}}}{{{#eea9c7 a}}}{{{#ddaed0 n}}}{{{#c7b7da e}}} {{{#b9bde0 pt.}}}{{{#a1c7eb 2〉}}}''' || || ^^ '''ALL [[진(방탄소년단)|{{{#c77b7f 진}}}]] [[슈가(방탄소년단)|{{{#777676 슈가}}}]] [[제이홉|{{{#ce2939 제이홉}}}]] [[RM|{{{#71a4d9 RM}}}]] [[지민|{{{#fcd353 지민}}}]] [[뷔|{{{#357d71 뷔}}}]] [[정국(방탄소년단)|{{{#561689 정국}}}]]''' ^^ {{{#561689 이상한 꼬마 숨쉬듯 노래했네 어디든 좋아 음악이 하고 싶었네 오직 노래 심장을 뛰게 하던 thing 하나뿐이던 길을 걸었지만}}} {{{#fcd353 쉽지 않아 실패와 절망 지친 날 누군가 불러 세워 건넨 말}}} {{{#357d71 You're a singing star You're a singing star But I see no star.. 몇 년이 흘러가버린 뒤}}} {{{#c77b7f (We still)}}} {{{#71a4d9 Sky high, sky fly, sky dope}}} {{{#c77b7f (We still)}}} {{{#71a4d9 Same try, same scar, same work}}} {{{#c77b7f (We still)}}} {{{#71a4d9 세상 어딜 가도}}} {{{#c77b7f (We still)}}} {{{#71a4d9 호텔방서 작업}}} {{{#c77b7f (I still)}}} {{{#71a4d9 하루는 너무 잘 돼 그 다음날은 망해}}} {{{#c77b7f (I still)}}} {{{#71a4d9 오늘은 뭐로 살지 김남준 아님 RM? 스물 다섯, 잘 사는 법은 아직도 모르겠어 그러니 오늘도 우리는 그냥 go}}} {{{#fcd353 We goin' from NY to Cali London to Paris 우리가 가는 그 곳이 어디든 party El Mariachi El Mariachi El Mariachi}}} {{{#561689 We goin' from Tokyo, Italy Hong Kong to Brazil 이 세계 어디서라도 난 노래하리 El Mariachi El Mariachi El Mariachi El Mariachi..}}} {{{#ce2939 구름 위를 매일 구름 위를 매일 구름 위에 내 feel 구름 위에 check it 구름과의 케미 구름과 하루 종일 구름 타는 재미, 구름 보며 fade in 너흰 몰라 maybe 몇 년 동안의 비행 탓에 마일리지만 몇 십만 대 못 이룬 너희들을 위로해줄 때야 그 비행 포인트로 선물 할게 Love 에어플레인 모드 신경은 다 off 그 누구든지 뭐라던 그저 계속 퍼스트를 지키며 밤 하늘을 볼게 지금 내 자리에 맞춰}}} {{{#fcd353 I don't know I don't know I don't know I don't know}}} {{{#777676 그래 멈추는 법도}}} {{{#fcd353 I don't know I don't know I don't know I don't know}}} {{{#777676 그래 좀 쉬는 법도}}} {{{#fcd353 I don't know I don't know I don't know I don't know}}} {{{#777676 실패하는 법도}}} {{{#fcd353 I don't know I don't know I don't know I don't know}}} {{{#777676 TV 나와서 하는 귀여운 돈 자랑들은 fed up 여권은 과로사 직전 미디어의 혜택은 되려 너네가 받았지 깔깔깔깔 야 야 셀럽놀이는 너네가 더 잘 어울려 우린 여전히 그때와 똑같어 Woo!}}} {{{#357d71 We goin' from Mexico City London to Paris 우리가 가는 그 곳이 어디든 party El Mariachi El Mariachi El Mariachi}}} {{{#c77b7f We goin' from Tokyo, Italy Hong Kong to Brazil 이 세계 어디서라도 난 노래하리 El Mariachi El Mariachi El Mariachi El Mariachi..}}} || }}}}}} || [[제이홉]]의 [[믹스테입]] 《[[Hope World]]》의 수록곡 '[[Hope World#s-2.6|Airplane]]'의 연장곡으로, 멤버들이 월드투어를 다니며 느낀 솔직한 감정을 담았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라틴 [[대중음악|팝]] 장르로서, [[멕시코]]풍의 비트가 인상적인 곡. 작곡은 [[카밀라 카베요]]의 '[[Havana]]'와 [[DJ Snake]]의 'Let me love you'를 만든 Ali Tamposi가 했고, [[루이스 폰시]]의 '[[Despacito]]'의 믹싱 엔지니어였던 Jaycen Joshua가 작업에 참여했다. === Anpanman === ||
[anchor(Anpanman)]'''[[https://www.youtube.com/watch?v=EBf6lwkChnQ|Anpanman]]'''[br]{{{#777777 ^^03m 53s^^}}} || ||{{{#f8bdbe ''내''}}}{{{#f6b8be ''겐''}}} {{{#eea9c7 ''없지''}}} {{{#ddaed0 ''알통''}}}{{{#c7b7da ''이나''}}} {{{#b9bde0 ''갑''}}}{{{#a1c7eb ''빠''}}}[br]{{{#f8bdbe ''내겐''}}} {{{#f6b8be ''없지''}}} {{{#eea9c7 ''super''}}} {{{#ddaed0 ''car''}}} {{{#c7b7da ''like''}}} {{{#b9bde0 ''Bat''}}}{{{#a1c7eb ''man''}}}[br]{{{#f8bdbe ''되게''}}} {{{#f6b8be ''멋진''}}} {{{#eea9c7 ''영웅''}}}{{{#ddaed0 ''이''}}} {{{#c7b7da ''내''}}} {{{#b9bde0 ''낭''}}}{{{#a1c7eb ''만''}}}[br]{{{#f8bdbe ''But''}}} {{{#f6b8be ''줄''}}} {{{#eea9c7 ''수''}}} {{{#ddaed0 ''있는''}}} {{{#c7b7da ''건''}}} {{{#b9bde0 ''오직''}}} {{{#a1c7eb ''Anpan''}}}[br][br]{{{#f8bdbe ''I'm''}}} {{{#f6b8be ''a''}}} {{{#eea9c7 ''new''}}} {{{#ddaed0 ''super''}}}{{{#c7b7da ''hero''}}} {{{#b9bde0 ''Anpan''}}}{{{#a1c7eb ''man''}}}[br]{{{#f8bdbe ''내가''}}} {{{#f6b8be ''가진''}}} {{{#eea9c7 ''건''}}} {{{#ddaed0 ''이''}}} {{{#c7b7da ''노래''}}} {{{#b9bde0 ''한''}}}{{{#a1c7eb ''방''}}}[br]{{{#f8bdbe ''Lemme''}}} {{{#f6b8be ''say''}}} {{{#eea9c7 ''“All''}}} {{{#ddaed0 ''the''}}} {{{#c7b7da ''bad men''}}} {{{#b9bde0 ''cop''}}} {{{#a1c7eb ''out”''}}}|| >{{{#aaaaaa 작사 & 작곡 - {{{#000000 [[Pdogg]], [[Supreme Boi]], [[방시혁|"hitman" bang]], '''[[RM]]''', '''[[슈가(방탄소년단)|SUGA]]''', [[Jinbo]]}}}}}} ||
{{{#141923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141923> '''{{{#f8bdbe 〈A}}}{{{#f6b8be n}}}{{{#eea9c7 p}}}{{{#ddaed0 a}}}{{{#c7b7da n}}}{{{#b9bde0 ma}}}{{{#a1c7eb n〉}}}''' || || ^^ '''ALL [[진(방탄소년단)|{{{#c77b7f 진}}}]] [[슈가(방탄소년단)|{{{#777676 슈가}}}]] [[제이홉|{{{#ce2939 제이홉}}}]] [[RM|{{{#71a4d9 RM}}}]] [[지민|{{{#fcd353 지민}}}]] [[뷔|{{{#357d71 뷔}}}]] [[정국(방탄소년단)|{{{#561689 정국}}}]]''' ^^ {{{#357d71 Waiting for you Anpanman Waiting for you Anpanman}}} {{{#ce2939 내겐 없지 알통이나 갑빠 내겐 없지 super car like Batman 되게 멋진 영웅이 내 낭만 But 줄 수 있는 건 오직 Anpan 꿈꿔왔네 hero like Superman 힘껏 뛰었네 하늘높이 방방 무릎팍 까지는 것 따윈 두렵지 않아 순수한 내 어릴 적의 망상}}} {{{#777676 I'm not a superhero 많은 것을 바라지마 I can be your hero 이런 말이 가당키나 한 일인지 모르겠어 정말 근데 꼭 해야겠어요 엄마 내가 아니면 누가할까 You can call me say Anpan}}} {{{#c77b7f Waiting for you Anpanman}}} (Lemme hear ya say, lemme hear ya say) {{{#c77b7f Waiting for you Anpanman}}} (Turn it up, turn it up, turn it up) {{{#357d71 좀 더 힘을 내볼래}}} (Lemme hear ya say, lemme hear ya say) {{{#357d71 너의 힘이 돼줄래}}} (Turn it up, turn it up, turn it up) {{{#561689 계속 돌려 돌려 나의 Anpan Keep ballin’ ballin’ still 방탄 눈 뜨니 hero but still in 미로 그 young man, young man, young man}}} {{{#fcd353 계속 몰래 몰래 상처 만땅 But ballin’ ballin’ still 방탄 아파도 hero 두려움은 뒤로 Anpanman panman panman}}} {{{#777676 I’m a new generation}}} Anpanman {{{#777676 I’m a new superhero}}} Anpanman {{{#777676 내가 가진 건 이 노래 한방 Lemme say “All the bad men, cop out”}}} {{{#ce2939 I’m a new generation}}} Anpanman {{{#ce2939 I’m a new superhero}}} Anpanman {{{#ce2939 내가 가진 건 이 노래 한방 Lemme say “All the bad men, cop out”}}} {{{#71a4d9 가끔은 이 모든 게 두렵네 사랑하는 게 넘 많이 생겼기에 누군 말해 너도 이제 꼰대 다 됐으 자격 없어 그냥 하던 거나 잘 해 그래도 난 영웅이고파 줄 수 있는 건 단팥빵 과 수고했단 말뿐이다만 부름 바로 날라갈게 날 불러줘}}} {{{#fcd353 Waiting for you Anpanman}}} (Lemme hear ya say, lemme hear ya say) {{{#fcd353 Waiting for you Anpanman}}} (Turn it up, turn it up, turn it up) {{{#561689 좀 더 힘을 내볼래}}} (Lemme hear ya say, lemme hear ya say) {{{#561689 너의 힘이 돼줄래}}} (Turn it up, turn it up, turn it up) {{{#357d71 계속 돌려 돌려 나의 Anpan Keep ballin’ ballin’ still 방탄 눈 뜨니 hero but still in 미로 그 young man, young man, young man}}} {{{#fcd353 계속 몰래 몰래 상처 만땅 But ballin’ ballin’ still 방탄 아파도 hero 두려움은 뒤로 Anpanman panman panman}}} {{{#561689 솔직하게 무서워 넘어지는 게 너희들을 실망시키는 게 그래도 내 온 힘을 다해서라도 나 꼭 너의 곁에 있을게}}} {{{#fcd353 다시 넘어지겠지만 또다시 실수 하겠지만 또 진흙투성이겠지만 나를 믿어 나는 hero니까 Yeah yeah}}} {{{#561689 돌려 돌려 나의 Anpan Keep ballin’ ballin’ still 방탄 눈 뜨니 hero but still in 미로 그 young man, young man, young man}}} {{{#c77b7f 계속 몰래 몰래 상처 만땅 But ballin’ ballin’ still 방탄 아파도 hero 두려움은 뒤로 Anpanman panman panman}}} {{{#ce2939 I’m a new generation}}} Anpanman {{{#ce2939 I’m a new superhero}}} Anpanman {{{#ce2939 내가 가진 건 이 노래 한방 Lemme say “All the bad men, cop out”}}} {{{#71a4d9 I’m a new generation}}} Anpanman {{{#71a4d9 I’m a new superhero}}} Anpanman {{{#71a4d9 내가 가진 건 이 노래 한방 Lemme say “All the bad men, cop out”}}} || }}}}}} || --본격 [[호빵맨]] [[빙의]]곡-- 세계에서 제일 약한 [[영웅]]인 [[호빵맨|앙팡맨]](호빵맨)을 [[방탄소년단]]에 빗댄 곡이다. 대단한 능력을 가진 영웅은 아니지만 음악과 무대로 사람들에게 희망의 에너지를 전달하고 싶은 바람이 담겨 있다. 여담이지만 이 노래의 도입부를 맡은 [[뷔]]는 [[아이러니]]하게도 단팥을 못 먹는다. 그리고 [[지민]]은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에서 일일 판정단으로 나왔을때 [[팥의 전사 호빵왕자|호빵맨을 모티브로한 참가자]]가 가왕이 되는 모습을 본적이 있다. 2018년 연간 차트에서 '''87위'''를 차지했으며, 이 앨범에 2018년 연간 차트에 들어간 곡은 [[FAKE LOVE|타이틀 곡]]을 제외하면 2곡뿐이다. [[BT21]]의 데뷔곡이기도 하다. 엠넷 컴백 쇼의 앙팡맨 무대 때 멤버들이 입고 나온 복장에는 [[소방관]]들의 복장이 컨셉인 상,하의가 적어도 하나씩 섞여있는데 소방관들은 호빵맨처럼 대단한 능력 없이도 생명을 구해내는 대단한 영웅들인 것을 표현한 듯 하다. 그리고 3년 후, [[날아라 호빵맨]] 등장인물 중 하나인 [[버터누나]]를 딴 [[Butter]]라는 노래를 낸다. === So What === ||
[anchor(So What)]'''[[https://www.youtube.com/watch?v=zdLvqiOmWq4|So What]]'''[br]{{{#777777 ^^04m 42s^^}}} || ||{{{#f8bdbe ''Some''}}}{{{#f6b8be ''body''}}} {{{#eea9c7 ''call''}}} {{{#ddaed0 ''me''}}} {{{#c7b7da ''rig''}}}{{{#b9bde0 ''ht''}}} {{{#a1c7eb ''one''}}}[br]{{{#f8bdbe ''Some''}}}{{{#f6b8be ''body''}}} {{{#eea9c7 ''call''}}} {{{#ddaed0 ''me''}}} {{{#c7b7da ''wr''}}}{{{#b9bde0 ''on''}}}{{{#a1c7eb ''g''}}}[br]{{{#f8bdbe ''난''}}} {{{#f6b8be ''신''}}}{{{#eea9c7 ''경''}}} {{{#ddaed0 ''쓰지''}}} {{{#c7b7da ''않''}}}{{{#b9bde0 ''을''}}}{{{#a1c7eb ''래''}}}[br]{{{#f8bdbe ''너''}}}{{{#f6b8be ''도''}}} {{{#ddaed0 ''그''}}}{{{#c7b7da ''럼''}}} {{{#b9bde0 ''어''}}}{{{#a1c7eb ''때''}}}[br]{{{#f8bdbe ''S''}}}{{{#f6b8be ''o''}}} {{{#ddaed0 ''w''}}}{{{#c7b7da ''h''}}}{{{#b9bde0 ''a''}}}{{{#a1c7eb ''t''}}}[br]{{{#f8bdbe ''L''}}}{{{#f6b8be ''e''}}}{{{#ddaed0 ''t''}}} {{{#b9bde0 ''g''}}}{{{#a1c7eb ''o''}}}|| >{{{#aaaaaa 작사 & 작곡 - {{{#000000 [[Pdogg]], [[방시혁|"hitman" bang]], [[ADORA]], '''[[RM]]''', '''[[슈가(방탄소년단)|SUGA]]''', '''[[제이홉|j-hope]]'''}}}}}} ||
{{{#141923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141923> '''{{{#f8bdbe 〈S}}}{{{#f6b8be o}}} {{{#eea9c7 W}}}{{{#ddaed0 h}}}{{{#b9bde0 a}}}{{{#a1c7eb t〉}}}''' || || ^^ '''ALL [[진(방탄소년단)|{{{#c77b7f 진}}}]] [[슈가(방탄소년단)|{{{#777676 슈가}}}]] [[제이홉|{{{#ce2939 제이홉}}}]] [[RM|{{{#71a4d9 RM}}}]] [[지민|{{{#fcd353 지민}}}]] [[뷔|{{{#357d71 뷔}}}]] [[정국(방탄소년단)|{{{#561689 정국}}}]]''' ^^ {{{#561689 Somebody call me right one Somebody call me wrong 난 신경 쓰지 않을래 너도 그럼 어때 So what Let go}}} {{{#777676 한숨 그 안에 많은 걱정이 숨어있네 고민 그만해 너는 이미 다 알고 있지 이 길의 중간에 포기하고 싶은 순간에 더 크게 소리질러봐 So what what what 내 맘대로 되는 건 없고 숨을 곳은 뭐 더더욱 없어 이미 주사윈 던져진 지 오래 꾸물대단 휩쓸려가겠지 oh bae 고민들의 9할은 니가 만들어 낸 상상의 늪 고민보다 Go Go 쫄지마렴 cheer up 소리쳐봐 So what what}}} {{{#fcd353 We are we are we are Young & wild & free}}} {{{#561689 답도 없는 고민 고민 그 속에 빠져 있지 마}}} {{{#fcd353 경계선 위에서 위태롭다 해도 웃고 떠들며 바람을 가르자 때론 바보같이 멍청이 달리기 실수와 눈물 속에 we just go}}} {{{#561689 So what 멈춰서 고민 하지마 다 쓸데 없어}}} {{{#c77b7f Let go 아직은 답이 없지만 You can start the fight}}} {{{#561689 So what}}} {{{#c77b7f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561689 Let go}}} {{{#c77b7f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561689 So what}}} {{{#ce2939 Ay 누군 일들이 싫대 Ay 누군 쉬고만 싶대 Ay 그들의 고통과 피폐 Ay 모두 내게 몰아칠 때 Ay 어떡하긴 뭐 어떡해 uh 답은 하나밖에 없기에 uh 그냥 믿고 달려보자고 So what?}}} {{{#71a4d9 I don't wanna die right now I don't wanna I don't wanna fight right now 걱정이 싫어 인생은 길어 걍 가. I wanna live right now 브레이크 부러졌으니 밟아 엑셀 이러나 저러나 사람 신세 다 안다면 무슨 재미냐 고통은 내 훈장 그래서 So what?}}} {{{#357d71 We are we are we are Young & wild & free}}} {{{#c77b7f 답도 없는 고민 고민 그 속에 빠져 있지 마}}} {{{#561689 경계선 위에서 위태롭다 해도 웃고 떠들며 바람을 가르자}}} {{{#fcd353 때론 바보같이 멍청이 달리기 실수와 눈물 속에 we just go}}} {{{#357d71 So what 멈춰서 고민 하지마 다 쓸데 없어}}} {{{#fcd353 Let go 아직은 답이 없지만 You can start the fight So what}}} {{{#c77b7f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fcd353 Let go}}} {{{#c77b7f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357d71 Somebody call me right one}}} {{{#c77b7f Somebody call me wrong}}} {{{#357d71 난 신경 쓰지 않을래}}} {{{#c77b7f 너도 그럼 어때}}} {{{#561689 So what 멈춰서 고민 하지마 다 쓸데 없어}}} {{{#c77b7f Let go 아직은 답이 없지만 You can start the fight}}} {{{#561689 So what}}} {{{#c77b7f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561689 Let go}}} {{{#c77b7f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561689 So what}}} {{{#fcd353 Somebody call me right one Somebody call me wrong 난 신경 쓰지 않을래 너도 그럼 어때}}} || }}}}}} || 청량하고 시원한 분위기의 [[EDM]] 곡이다. '난관이 닥치면 뭐 어때(so what). 고민하지 말고 나아가는 거야' 를 외치며 방탄소년단 스스로 그리고 노래를 듣는 많은 사람들에게 위로를 건넨다. 여담으로 방탄소년단에게 날아드는 무비판적인 비난의 화살을 자주 목격하는 [[A.R.M.Y|팬들]]이 '난 신경쓰지 않을래. '''너도 그럼 어때''''를 들으면 눈물이 절로 난다. === Outro : Tear === ||
[anchor(Outro Tear)]'''[[https://www.youtube.com/watch?v=639hc_F2TZU|Outro : Tear]]'''[br]{{{#777777 ^^04m 45s^^}}} || ||{{{#f8bdbe ''영원''}}} {{{#f6b8be ''영원''}}} {{{#eea9c7 ''같은''}}} {{{#ddaed0 ''소리''}}} {{{#c7b7da ''좀 그''}}}{{{#b9bde0 ''만''}}}{{{#a1c7eb ''해''}}}[br]{{{#f8bdbe ''어차''}}}{{{#f6b8be ''피''}}} {{{#eea9c7 ''원래''}}} {{{#ddaed0 ''끝은''}}} {{{#c7b7da ''있는''}}} {{{#b9bde0 ''거''}}}{{{#a1c7eb ''잖아''}}}[br][br]{{{#f8bdbe ''같은''}}} {{{#f6b8be ''곳''}}}{{{#eea9c7 ''을''}}} {{{#ddaed0 ''향해''}}} {{{#c7b7da ''걸었''}}}{{{#b9bde0 ''었는''}}}{{{#a1c7eb ''데''}}}[br]{{{#f8bdbe ''이곳''}}}{{{#f6b8be ''이''}}} {{{#eea9c7 ''우리''}}}{{{#ddaed0 ''의''}}} {{{#c7b7da ''마지''}}}{{{#b9bde0 ''막이''}}} {{{#a1c7eb ''돼''}}}[br][br]{{{#f8bdbe ''넌''}}} {{{#f6b8be ''내''}}} {{{#eea9c7 ''시작과''}}} {{{#ddaed0 ''끝''}}} {{{#c7b7da ''That''}}} {{{#b9bde0 ''is''}}} {{{#a1c7eb ''all''}}}[br]{{{#f8bdbe ''나의''}}} {{{#f6b8be ''만남''}}}{{{#eea9c7 ''과''}}} {{{#ddaed0 ''나의''}}} {{{#c7b7da ''이별''}}} {{{#b9bde0 ''전부''}}}{{{#a1c7eb ''였어''}}} || >{{{#aaaaaa 작사 & 작곡 - {{{#000000 [[신명수]], DOCSKIM, '''[[슈가(방탄소년단)|SUGA]]''', '''[[RM]]''', '''[[제이홉|j-hope]]'''}}}}}} ||
{{{#141923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
<#141923> '''{{{#f8bdbe 〈Ou}}}{{{#f6b8be t}}}{{{#eea9c7 r}}}{{{#ddaed0 o :}}} {{{#c7b7da T}}}{{{#b9bde0 ea}}}{{{#a1c7eb r〉}}}''' || || ^^ '''ALL [[슈가(방탄소년단)|{{{#777676 슈가}}}]] [[제이홉|{{{#ce2939 제이홉}}}]] [[RM|{{{#71a4d9 RM}}}]]''' ^^ {{{#71a4d9 이별은 내게 티어 나도 모르게 내 눈가 위에 피어 채 내뱉지 못한 얘기들이 흐르고 미련이 나의 얼굴 위를 기어 내게 넌 한때는 나의 dear 하지만 이젠 쓰기만 한 beer 때늦은 자기혐오로 얼룩진 심장은 스치는 저 바람에도 비어 이별은 거짓뿐이던 나의 연극 끝에 오고야 말았던 나의 댓가 누군가 시간을 되돌려준다면 어쩜 내가 좀 더 솔직할 수 있었을까 나만 아는 나의 그 맨얼굴도 추하고 초라한 내 안의 오랜 벗들도 나를 보던 그 미소로 여전히 넌 나를 그렇게 또 사랑해줄 수 있었을까 영원 영원 같은 소리 좀 그만해 어차피 원래 끝은 있는 거잖아 시작이 있다면.. I don't wanna listen to that 너무 맞는 소리 혹은 너무 많은 위로.. I don't wanna listen to that 그냥 너무 무서웠어 어쩜 내가 너를 사랑했던 적이 아예 없는 것 같아서 늦었지만 넌 진실했다고 너만 나를 사랑했다고 더 You’re my tear You’re my you’re my tear You’re my tear You’re my you’re my tear You’re my tear You’re my you’re my tear What more can I say? You’re my tear}}} {{{#ce2939 같은 곳을 향해 걸었었는데 이곳이 우리의 마지막이 돼 영원을 말하던 우리였는데 가차없이 서로를 부수네}}} {{{#777676 같은 꿈을 꿨다 생각했는데 그 꿈은 비로소 꿈이 되었네 심장이 찢겨져 차라리 불 태워줘 고통과 미련 그 무엇도 남지 않게끔}}} {{{#71a4d9 You're my tear You're my you're my tear}}} {{{#777676 You're my tear You're my you're my tear}}} {{{#ce2939 You're my fear You're my you're my fear}}} {{{#71a4d9 What more can I say?}}} {{{#ce2939 You're my..}}} {{{#777676 이별은 내게 T.E.A.R 눈물 따위는 사치니까 아름다운 이별 따위는 없을테니 이제 시작해줘 Woo take it easy 천천히 심장을 도려줘 그래그래 조각이 나버린 파편 위를 즈려밟아줘 미련, 미련 그딴 게 더는 남지 않게 갈기갈기 찢어발겨버린 내 심장을 싹 불태워줘 옳지 그래 거기야 뭘 망설이니 니가 원하던 그 결말이니 망설임 없이 어서 죽여주길 Woo yeah yeah burn it Woo yeah yeah yeah burn it Woo yeah yeah yeah burn it 타버린 재마저 남지 않게 이게 진짜 너고 이게 진짜 나야 이젠 끝을 봤고 원망도 안 남아 달던 꿈은 깼고 나는 눈을 감아 이게 진짜 너고 이게 진짜 나야}}} {{{#71a4d9 같은 곳을 향해 걸었었는데 이 곳이 우리의 마지막이 돼 영원을 말하던 우리였는데 가차없이 서로를 부수네}}} {{{#777676 같은 꿈을 꿨다 생각했는데 그 꿈은 비로소 꿈이 되었네 심장이 찢겨져 차라리 불 태워줘 고통과 미련 그 무엇도 남지 않게끔}}} {{{#71a4d9 You're my tear You're my you're my tear}}} {{{#777676 You're my tear You're my you're my tear}}} {{{#ce2939 You're my fear You're my you're my fear}}} {{{#71a4d9 What more can I say? You're my..}}} {{{#777676 어떤 말을 해야 할지 우리는 알고 있지 정답은 정해 있는데 늘 대답은 어렵지}}} {{{#ce2939 왜 흘리는지 왜 찢어버리는지 소용없어 내게는 이별은 내겐 그 순간들뿐 (Flashback) 네 입에서 말을 하는 순간 우리의 초점이 불규칙해지는 순간 모든 게 위험한 순간에 두 글자가 준 우리의 끝 안 울 걸 안 찢을 걸 그런 말은 못 한다고. 앞으로 나도 이별 불치병 넌 내 시작과 끝 That is all 나의 만남과 나의 이별 전부였어 앞으로 가 fear 반복될 거야 너로 인한 Tear Tear..}}} || }}}}}} || 래퍼라인의 아웃트로. 제목 Tear는 '''눈물'''(tɪr)과 '''찢다'''(ter)라는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한다. 하이라이트 릴에 삽입되었던 [[BGM]]이 사용되었다. 극적인 분위기와 래퍼라인의 굉장히 격한 [[랩(음악)|랩핑]]이 인상적인 곡이다. 사실 래퍼라인의 곡을 항상 기대해왔던 사람이라면 여지없이 그 기대를 충족할 만한 곡. 중반부쯤 [[슈가(방탄소년단)|슈가]]의 래핑이 [[21 Savage]]와 상당히 유사하다. 특유의 톤과 [[플로우]]가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은 모양. 여담으로 래퍼라인 모두의 보컬 파트가 들어있다. == [[트레일러]], [[티저]], [[뮤직비디오]] == ||
[[https://www.youtube.com/watch?v=Oqksx-xkSg8|[[파일:bts_loveyourself_기_01.png|width=100%]]]][br]'''LOVE YOURSELF '起\''''[br]{{{#777777 ^^(2017.08.15)^^}}}||[[https://www.youtube.com/watch?v=o75Y9XWLY9M|[[파일:bts_loveyourself_승_01.png|width=100%]]]][br]'''LOVE YOURSELF '承\''''[br]{{{#777777 ^^(2017.08.16)^^}}}||[[https://www.youtube.com/watch?v=Oj-zYDbw1Co|[[파일:bts_loveyourself_전_01.png|width=100%]]]][br]'''LOVE YOURSELF '轉\''''[br]{{{#777777 ^^(2017.08.17)^^}}}||[[https://www.youtube.com/watch?v=EHdK5U2hf4o|[[파일:bts_loveyourself_결_01.png|width=100%]]]][br]'''LOVE YOURSELF '起承轉結''''[* 앞의 세 [[영상]](起, 承, 轉)과 마지막 結이 합쳐져 있는 [[영상]]이다.][br]{{{#777777 ^^(2017.08.18)^^}}}|| '''LOVE YOURSELF [[LOVE YOURSELF 起 'Wonder'|起]][[LOVE YOURSELF 承 'Her'|承]][[LOVE YOURSELF 轉 'Tear'|轉]][[LOVE YOURSELF 結 'Answer'|結]]''' 시리즈의 설정과 컨셉을 암시하는 일종의 연작 단편영화이다. 전작인 청춘 2부작[* 《[[화양연화 pt.1]]》, 《[[화양연화 pt.2]]》]과 《[[WINGS]]》의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욱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방탄소년단/세계관]]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여담]]으로 [[배경음악]]은 [[에미상|Emmy Awards]] nominee [[작곡가]] 신명수가 담당하였다. ---- ||
[youtube(p8npDG2ulKQ, width=100%)]|| ||[[LOVE YOURSELF 轉 'Tear']] Comeback Trailer '''{{{#f8bdbe In}}}{{{#f6b8be tro : S}}}{{{#eea9c7 in}}}{{{#ddaed0 gu}}}{{{#c7b7da la}}}{{{#b9bde0 ri}}}{{{#a1c7eb ty}}}'''[br]{{{#777777 ^^(2018.05.07. 00:00)^^}}} || 1번 트랙이자 [[뷔]]의 [[솔로]]곡인 '''Intro : Singularity'''가 삽입된 컴백 [[트레일러]]로, [[뷔]] 특유의 [[목소리]]와 어울리는 아름다운 [[영상]]미를 표현했다. 공개된 지 '''377일 18시간 50분만'''인 [[2019년]] [[5월 19일]] 18시 50분경,,(KST),, [[유튜브]] 조회수 '''1억뷰'''를 돌파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4012359|관련 기사]] ||<-8>
<#141923> '''{{{#f8bdbe In}}}{{{#f6b8be tro : S}}}{{{#eea9c7 in}}}{{{#ddaed0 gu}}}{{{#c7b7da la}}}{{{#b9bde0 ri}}}{{{#a1c7eb ty}}} {{{#ffffff - 유튜브 MV 조회수 추이}}}''' || ||<-8> {{{#!folding 1억 돌파 추이 ||
{{{#f8bdbe '''년도'''}}} || {{{#f8bdbe '''조회'''}}}{{{#f6b8be '''수'''}}} || {{{#f6b8be '''날'''}}}{{{#eea9c7 '''짜'''}}} || {{{#eea9c7 '''간격'''}}} || {{{#eea9c7 '''년'''}}}{{{#ddaed0 '''도'''}}} || {{{#ddaed0 '''조회'''}}}{{{#c7b7da '''수'''}}} || {{{#c7b7da '''날'''}}}{{{#b9bde0 '''짜'''}}} || {{{#b9bde0 '''간'''}}}{{{#a1c7eb '''격'''}}} || ||<|5> [[2018년]] || '''1000만''' || [[5월 7일]]^^(공개 0일 차)^^[* [[https://twitter.com/love_army7/status/993374850008866816|관련 기사]]] || 0일 ||<|2> [[2018년]] || '''6000만''' || [[9월 23일]]^^(공개 139일 차)^^[* [[https://twitter.com/SerieTV46/status/1043798794721210368|관련 기사]]] || 67일 || || '''2000만''' || [[5월 10일]]^^(공개 3일 차)^^[* [[https://twitter.com/Young_foreverV/status/994361462817636352|관련 기사]]] || 3일 || '''7000만''' || [[12월 17일]]^^(공개 224일 차)^^[* [[https://twitter.com/Taehyung_UY/status/1074357928088485888|관련 기사]]] || 85일 || || '''3000만''' || [[5월 17일]]^^(공개 10일 차)^^[* [[https://twitter.com/SerieTV46/status/996767359321899009|관련 기사]]] || 7일 ||<|3> [[2019년]] || '''8000만''' || [[3월 19일]]^^(공개 316일 차)^^[* [[https://twitter.com/BTSPublicity/status/1107800714003267584|관련 기사]]] || 92일 || || '''4000만''' || [[5월 28일]]^^(공개 21일 차)^^[* [[https://twitter.com/VantExpresion2/status/1001062542444199936|관련 기사]]] || 11일 || '''9000만''' || [[5월 11일]]^^(공개 369일 차)^^[* [[https://twitter.com/SupportVante/status/1127012022141554688|관련 기사]]] || 53일 || || '''5000만''' || [[7월 18일]]^^(공개 72일 차)^^[* [[https://twitter.com/TAEKOOK__PHL/status/1019479714182791168|관련 기사]]] || 51일 || '''1억''' || [[5월 19일]]^^(공개 377일 차)^^ || 8일 || }}} || ||<-8> {{{#!folding 2억 돌파 추이 ||
{{{#f8bdbe '''년도'''}}} || {{{#f8bdbe '''조회'''}}}{{{#f6b8be '''수'''}}} || {{{#f6b8be '''날'''}}}{{{#eea9c7 '''짜'''}}} || {{{#eea9c7 '''간격'''}}} || {{{#eea9c7 '''년'''}}}{{{#ddaed0 '''도'''}}} || {{{#ddaed0 '''조회'''}}}{{{#c7b7da '''수'''}}} || {{{#c7b7da '''날'''}}}{{{#b9bde0 '''짜'''}}} || {{{#b9bde0 '''간'''}}}{{{#a1c7eb '''격'''}}} || ||<|2> [[2019년]] || '''1억 1000만''' || [[8월 22일]]^^(공개 472일 차)^^[* [[https://twitter.com/BTSVChartData/status/1164360316177780736|관련 기사]]] || 95일 ||<|2> [[2021년]] || '''1억 6000만''' || [[4월 15일]]^^(공개 1074일 차)^^ || 145일 || || '''1억 2000만''' || [[11월 18일]]^^(공개 560일 차)^^[* [[https://twitter.com/mybae_v/status/1196212482852839424|관련 기사]]] || 88일 || '''1억 7000만''' || [[9월 30일]]^^(공개 1242일 차)^^ || 168일 || ||<|3> [[2020년]] || '''1억 3000만''' || [[2월 18일]]^^(공개 652일 차)^^[* [[https://twitter.com/rdstreambts/status/1229445435552604161|관련 기사]]] || 92일 || [[2022년]] || '''1억 8000만''' || [[5월 31일]]^^(공개 1485일 차)^^ || 243일 || || '''1억 4000만''' || [[7월 5일]]^^(공개 790일 차)^^[*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877303|관련 기사]]] || 138일 || [[2023년]] || '''1억 9000만''' || [[8월 11일]]^^(공개 1922일 차)^^ || 437일 || || '''1억 5000만''' || [[11월 21일]]^^(공개 929일 차)^^[* [[https://twitter.com/VanteMusicPH/status/1330083630677422082|관련 기사]]] || 169일 || [[2023년]] || '''2억''' || [[월 일]]^^(공개 일 차)^^ || 일 || [br] }}} || ---- ||
[[https://www.youtube.com/watch?v=BP71K87Hp5Y|[[파일:bts_fakelove_ts1.png|width=100%]]]][br][[LOVE YOURSELF 轉 'Tear']] Title Teaser1[br]'''FAKE LOVE'''[br]{{{#777777 ^^(2018.05.15. 02:01)^^}}}||[[https://www.youtube.com/watch?v=2tDKp41nrw8|[[파일:bts_fakelove_ts2_02.png|width=100%]]]][br][[LOVE YOURSELF 轉 'Tear']] Title Teaser2[br]'''FAKE LOVE'''[br]{{{#777777 ^^(2018.05.17. 00:00)^^}}}|| ||
[youtube(7C2z4GqqS5E, width=100%)]|| ||[[LOVE YOURSELF 轉 'Tear']] Title '''{{{#f8bdbe F}}}{{{#f6b8be A}}}{{{#eea9c7 K}}}{{{#ddaed0 E}}} {{{#c7b7da L}}}{{{#b9bde0 OV}}}{{{#a1c7eb E}}}'''[br]{{{#777777 ^^(2018.05.18. 18:00)^^}}} || [[2018년]] [[5월 18일]] 18시 00분,,(KST),,에 공개되었다. ||
[youtube(D_6QmL6rExk, width=100%)]|| ||[[LOVE YOURSELF 轉 'Tear']] Title '''{{{#f8bdbe F}}}{{{#f6b8be A}}}{{{#eea9c7 K}}}{{{#ddaed0 E}}} {{{#c7b7da L}}}{{{#b9bde0 OV}}}{{{#a1c7eb E}}}''' {{{-3 (Extended ver.)}}}[br]{{{#777777 ^^(2018.06.02. 00:00)^^}}} || [[2018년]] [[6월 2일]] 00시 00분,,(KST),,에 공개되었다. == 활동, 비하인드 == ||
[[http://www.vlive.tv/video/69787|[[파일:bts_ly_tear_comeback_vlive_01.png|width=100%]]]]|| ||[[LOVE YOURSELF 轉 'Tear']] '''BTS Comeback Preview show <방탄늬우스 in LA>''' on [[V LIVE]][br]{{{#777777 ^^(2018.05.18.)^^}}} || * [[LOVE YOURSELF 轉 'Tear']] Jacket Shooting Sketch {{{-3 [[https://www.youtube.com/watch?v=YWM1fCHbp-Q|*]] {{{#aaaaaa (2018.05.20)}}}}}} * {{{#1677d5 '''STARCAST'''}}} 방탄소년단이 일으킨 리액션 6 {{{-3 [[http://entertain.naver.com/starcast/read?oid=420&aid=0000015504|SC]] {{{#aaaaaa (2018.05.25.)}}}}}} ||
[youtube(60Ks0ybPuac, width=100%)]|| ||{{{#1677d5 '''BBMAs 2018'''}}} '''FAKE LOVE''' (BTS focus)[br]{{{#777777 ^^(2018.05.26.)^^}}} || * [[5월 25일]]부터 [[음악 방송]] 활동을 [[시작]]했다. ||<-4>
[[방탄소년단|[[파일:bts-title.png|height=18]]]][br] '''{{{#f6b8be 음악}}}{{{#eea9c7 방}}}{{{#ddaed0 송}}} {{{#c7b7da 1}}}{{{#b9bde0 위 수}}}{{{#a1c7eb 상}}}''' || || '''{{{#f8bdbe 날}}}{{{#f6b8be 짜}}}''' || '''{{{#f6b8be 방}}}{{{#eea9c7 송}}}{{{#ddaed0 명}}}''' || '''{{{#c7b7da 점}}}{{{#b9bde0 수}}}''' || '''{{{#b9bde0 비}}}{{{#a1c7eb 고}}}''' || || [[5월 25일]] || [[뮤직뱅크]] || 10,493점 || || || [[5월 26일]] || [[쇼! 음악중심]] || 8,919점 || 음악중심 첫 1위 || || [[5월 27일]] || [[SBS 인기가요]] || 7,068점 || || || [[5월 30일]] || [[SHOW CHAMPION]] || - || || || [[5월 31일]] || [[엠 카운트다운]] || 11,000점 || '''만점''' || || [[6월 1일]] || [[뮤직뱅크]] || 15,019점 || 개편 이후 [[뮤직뱅크]] 사상 최고점[* 모든 시기를 통틀면 당연히 '[[강남스타일]]'이며 무려 2배 차이가 난다!] || || [[6월 2일]] || [[쇼! 음악중심]] || 10,000점 || 2주 연속, '''만점'''[* [[쇼! 음악중심]] 개편 이후 4년 만에 첫 만점. 첫번째 만점은 지금은 [[하이라이트(아이돌)|하이라이트]]로 활동하고 있는 [[비스트(아이돌)|비스트]]의 'Good Luck'이다.] || || [[6월 3일]] || [[SBS 인기가요]] || 10,918점 || 2주 연속 || || [[6월 7일]] || [[엠 카운트다운]] || 9,666점 || 2주 연속 || || [[6월 8일]] || [[뮤직뱅크]] || 10,647점 || 3주 연속 || || [[6월 9일]] || [[쇼! 음악중심]] || 8,056점 || 3주 연속 || || [[6월 10일]] || [[SBS 인기가요]] || 8,681점 || 3주 연속, '''지상파 3주석권'''[* 통산 3번째.] || ||
[youtube(nQySbNGu4g0, width=100%)]|| ||[[LOVE YOURSELF 轉 'Tear']] '''FAKE LOVE''' (Dance Practice)[br]{{{#777777 ^^(2018.05.27.)^^}}} || * {{{#1677d5 '''STARCAST'''}}} 방탄소년단, 신기록의 출발 {{{-3 [[http://entertain.naver.com/starcast/read?oid=420&aid=0000015506|SC]] {{{#aaaaaa (2018.05.31.)}}}}}} * [[LOVE YOURSELF 轉 'Tear']] '''FAKE LOVE''' MV Shooting Sketch {{{-3 [[https://www.youtube.com/watch?v=ZaOvpvw1NwA|*]] {{{#aaaaaa (2018.06.03.)}}}}}} * '''[[SBS 8 뉴스]]''' 인터뷰 {{{-3 [[http://m.news.naver.com/read.nhn?oid=055&aid=0000645995&sid1=103&mode=LSD|#]] {{{#aaaaaa (2018.06.03.)}}}}}} ||
[youtube(Js-iYNkddcA, width=100%)]|| ||{{{#1677d5 '''BTS COMEBACK SHOW'''}}} '''Anpanman''' (BTS focus)[br]{{{#777777 ^^(2018.07.14.)^^}}} || ||
[youtube(B8T0VmrX4g0, width=100%)]|| ||{{{#1677d5 '''BTS COMEBACK SHOW'''}}} '''FAKE LOVE''' (BTS focus)[br]{{{#777777 ^^(2018.08.03.)^^}}} || ||
[youtube(MdUeyb5gvsY, width=100%)]|| ||[[LOVE YOURSELF 轉 'Tear']] After '''FAKE LOVE''' 10th Win[br]{{{#777777 ^^(2018.12.01.)^^}}} || ||
[youtube(HP_qouNbTEg, width=100%)]|| ||[[LOVE YOURSELF 轉 'Tear']] '''FAKE LOVE''' last day[br]{{{#777777 ^^(2018.12.05.)^^}}} || ||
[youtube(G6vWKceFSs0, width=100%)]||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s-4|AAA 2018]]''' '''FAKE LOVE''' (BTS focus) [br]{{{#777777 ^^(2018.12.06.)^^}}} || ||
[youtube(e4LSXCZOupE, width=100%)]|| ||'''[[멜론 뮤직 어워드#s-3.10|MMA 2018]]''' '''FAKE LOVE''' (BTS focus) [br]{{{#777777 ^^(2018.12.13.)^^}}} || ||
[youtube(iwZDQm7f8Tg, width=100%)]|| ||'''[[멜론 뮤직 어워드#s-3.10|MMA 2018]]''' '''Airplane pt.2''' (BTS focus) [br]{{{#777777 ^^(2018.12.13.)^^}}} || ||
[youtube(KpJJMtK1C1c, width=100%)]||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s-5.10|MAMA 2018]]''' '''FAKE LOVE''' (BTS focus) [br]{{{#777777 ^^(2018.12.18.)^^}}} || ||
[youtube(j6Ukt6x-cXI, width=100%)]||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s-5.10|MAMA 2018]]''' '''FAKE LOVE''' Performance Practice (Formation Check ver.) [br]{{{#777777 ^^(2020.06.07.)^^}}} || ||
[youtube(emwlgC0te1U, width=100%)]|| ||'''[[골든디스크어워즈#s-5.5|GDA 2019]]''' '''FAKE LOVE''' (BTS focus) [br]{{{#777777 ^^(2019.02.01.)^^}}} || ||
[youtube(QkzTpW6z6Kg, width=100%)]|| ||'''[[서울가요대상#s-4|서울가요대상 2019]]''' '''FAKE LOVE''' (BTS focus) [br]{{{#777777 ^^(2019.02.10.)^^}}} || == 기록 == === [[유튜브]] [[유튜브/조회수 순위|조회수]] 추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AKE LOVE)] === 국내 === ||<-5>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mma_logo_white.png|width=240]]]][br]'''{{{#ffffff 올해의 아티스트상}}}''' || || [[EXO]][br]([[2017년]]) || → || '''[[방탄소년단]]'''[br]'''([[2018년]])''' || → || [[방탄소년단]][br]([[2019년]]) || ||<-5>
[[멜론 뮤직 어워드|[[파일:mma_logo_white.png|width=240]]]][br]'''{{{#ffffff 올해의 앨범상}}}''' || || [[아이유]][br]<[[Palette]]>[br]([[2017년]]) || → || '''[[방탄소년단]]'''[br]'''<[[LOVE YOURSELF 轉 'Tear']]>'''[br]'''([[2018년]])''' || → || [[방탄소년단]][br]<[[MAP OF THE SOUL : PERSONA]]>[br]([[2019년]]) || ||<-5>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파일: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로고.svg|width=80]]]][br]'''{{{#000000 올해의 가수상}}}''' || || [[방탄소년단]][br]([[2017년]]) || → || '''[[방탄소년단]]'''[br]'''([[2018년]])''' || → || [[방탄소년단]][br]([[2019년]]) || ||<-5>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파일: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로고.svg|width=80]]]][br]'''{{{#000000 올해의 앨범상}}}''' || || [[EXO]][br]<[[THE WAR]]>[br]([[2017년]]) || → || '''[[방탄소년단]]'''[br]'''<[[LOVE YOURSELF 轉 'Tear']]>'''[br]'''([[2018년]])''' || → || [[방탄소년단]][br]<[[MAP OF THE SOUL : PERSONA]]>[br]([[2019년]]) || [[2018년]] [[4월 18일]]에 예약 주문이 가능해진 이후로 유통을 맡은 [[아이리버]]에 따르면 [[2018년]] [[4월 24일]] 기준으로 선주문량이 1,449,287장을 돌파했다. 지난 앨범 총 선주문량 대비 40만 장 가량 증가한 수치이다. 정식 발매 이후 최종 예약 주문 수치를 집계하면 그 이상의 수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1시에 [[멜론]] 실시간 차트 '''[[1위]]~10위를 올킬, 'Outro : Tear'가 13위를 달성했다.''' 22시에 [[멜론]] 실시간 차트 '''[[1위]]~10위를 올킬, 'Outro : Tear'가 12위를 달성했다.''' 그리고 23시에 마침내 '''[[1위]]~11위를 올킬함으로써 앨범의 모든 수록곡을 차트 정상에 올리는 데 [[성공]]했다.''' 00시에는 '[[DNA(방탄소년단)|DNA]]'가 12위, 01시에는 '[[봄날(방탄소년단)|봄날]]'이 13위를 달성하며 [[1위]]~13위 전부 올킬한다. 초동은 '''발매한지 단 4일'''만인 [[2018년]] [[5월 21일]]에 [[LOVE YOURSELF 承 'Her'|자신들의 기록]]인 75만장을 넘어, '''85만장'''을 기록하면서 [[역대 보이그룹 음반 초동 순위]]를 또다시 갈아치웠다. 이렇게 되면 역대 최초 초동 100만장도 꿈이 아닌 셈. 그리고 [[5월 23일]] 90만장을 넘겨버리더니 [[5월 24일]] 10시 20분 '''대한민국 대중음악 최초로 단일앨범 초동 100만장을 넘겼다.''' [[2018년]] [[MGA]], [[멜론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앨범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방탄소년단/음반 목록, paragraph1=7.4)]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방탄소년단/음반 목록, paragraph1=7.3.1)] === 국외 === '''[[대한민국|한국]] 대중음악계 사상 최초의 [[빌보드 200]] 1위 앨범'''[*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18&aid=0004112498|관련 기사]]] '''[[빌보드 핫 100]] 10위'''[*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3106654|관련 기사]]][* K-POP 그룹 최초로 10위권 진입.] [[미국]] 내 온라인 최대 서적 판매 업체인 [[아마존닷컴]]의 경우 예약 판매가 시작된 이후로 CD&Vinyl 부문에서 [[위대한 쇼맨]]OST 앨범과 판매량 [[1위]], [[2위]]를 다투며 베스트셀러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2018년]] [[5월 19일]], 65개국 [[아이튠즈]] '톱 앨범' 차트 1위와 52개국 '톱 송' 차트 '''1위'''를 달성했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258727|#]] 또한 앨범 전곡이 [[스포티파이]]의 '글로벌 톱 200' 차트에 모두 진입했다.[[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258762&cluid=c_201805181820_00000002|#]] [[https://www.billboard.com/articles/columns/chart-beat/8457157/bts-love-yourself-tear-big-debut-billboard-200-albums-chart|5월 24일]] 예상되는 빌보드 200 순위는 2등이라고 한다. 1등은 [[포스트 말론]]이 '''2주 1위'''를 지키고있는 [[beerbongs & bentleys]]로 예상된다. [[2018년]] [[5월 26일]] [[스포티파이]]의 주간 '글로벌 톱 200' 차트 [[http://img.theqoo.net/img/rvosK.jpg|14위]]와 [[US]] 차트 [[http://img.theqoo.net/img/OCyrk.jpg|21위]]를 했다. [[호주]] 앨범차트 [[https://twitter.com/btschartdata/status/1000274418449383424?s=20|6위]]와 싱글차트 [[https://twitter.com/btschartdata/status/1000274685152636928?s=20|36위]]로 진입했다. [[2018년]] [[5월 27일]] '''[[K-POP]] 가수 최초로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달성했다.'''[* 1주 동안 총 13만 5000장의 앨범 판매 점수를 얻었으며, 이중 실제 앨범판매량만 10만장이라고 한다.] [[https://www.billboard.com/articles/columns/chart-beat/8458036/bts-earns-first-no-1-album-billboard-200-chart-love-yourself-tear|#영]][[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001&oid=022&aid=0003276801|#한]] 외국어 앨범이 1위를 한 건 2006년의 팝페라그룹 [[일 디보]] 앨범 이후 12년만이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387453|멤버들 소감]] 그리고 [[https://twitter.com/moonriver365/status/1001063455279927296?s=20|대통령 축전]]을 받았다. [[https://twitter.com/moonriver365/status/1001081880832229378?s=20|영문]] 축전이 올라오자마자 [[트위터]] 공식 계정으로 리트윗 했으며 [[브이앱]]과 공카에서 감사 인사를 했다. 앨범 참여 프로듀서들도 트위터로 감사하다면서 리트윗했다. 앨범의 타이틀 곡 '[[FAKE LOVE]]'는 [[UK]] 싱글 차트에서 '''42위''', 앨범은 [[UK]] 앨범 차트에서 '''8위'''를 기록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05&aid=0001100674|#]] 2주차에서는 아쉽게도 [[숀 멘데스]]의 정규 앨범 "Shawn Mendes"에게 빌보드 200 1위 자리를 내줌과 동시에 핫 100차트는 '''51위'''로 남게 되었다. [[2018년]] [[8월 10일]]에는 일본 레코드 협회에서 10만장 이상을 팔았다는 인증인 [[http://osen.mt.co.kr/article/G1110964432|'''골드''' 인증을 받았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자세한 Billboard 200차트 순위 추이, rd1=방탄소년단/기록)] == 앨범 사양 == ||<-2>
{{{#!folding 앨범 버전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ar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ar_2.jpg|width=100%]]}}} || || '''Y''' || '''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ar_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ar_4.jpg|width=100%]]}}} || || '''U''' || '''R''' || }}} || == 티저 이미지 == ||<-2>
[[파일:bts_lys_tear_ver.o_1627010_01.jpg|width=100%]] || ||<-2> '''{{{#f8bdbe LOV}}}{{{#f6b8be E YO}}}{{{#eea9c7 URS}}}{{{#ddaed0 ELF}}} {{{#c7b7da 轉}}} {{{#b9bde0 'Te}}}{{{#a1c7eb ar'}}}''' || || [[파일:LY Tear O 진.jpg|width=100%]] || [[파일:tearjn1.jpg|width=100%]] || ||<-2><#141923> '''[[진(방탄소년단)|{{{#f8bdbe 진}}} {{{#f6b8be /}}} {{{#ddaed0 J}}}{{{#b9bde0 I}}}{{{#a1c7eb N}}}]]''' || || [[파일:LY Tear O 슈가.jpg|width=100%]] || [[파일:tearsg1.jpg|width=100%]] || ||<-2><#141923> '''[[슈가(방탄소년단)|{{{#f8bdbe 슈}}}{{{#f6b8be 가}}} {{{#eea9c7 /}}} {{{#ddaed0 S}}}{{{#c7b7da U}}}{{{#b9bde0 G}}}{{{#a1c7eb A}}}]]''' || || [[파일:LY Tear O 제이홉.jpg|width=100%]] || [[파일:tearjh1.jpg|width=100%]] || ||<-2><#141923> '''[[제이홉|{{{#f8bdbe 제이}}}{{{#f6b8be 홉 /}}} {{{#eea9c7 j-}}}{{{#ddaed0 h}}}{{{#c7b7da o}}}{{{#b9bde0 p}}}{{{#a1c7eb e}}}]]''' || || [[파일:LY Tear O RM.jpg|width=100%]] || [[파일:tearrm1.jpg|width=100%]] || ||<-2><#141923> '''[[RM|{{{#f8bdbe 알}}}{{{#f6b8be 엠}}} {{{#ddaed0 /}}} {{{#b9bde0 R}}}{{{#a1c7eb M}}}]]''' || || [[파일:LY Tear O 지민.jpg|width=100%]] || [[파일:tearjm1.jpg|width=100%]] || ||<-2><#141923> '''[[지민|{{{#f8bdbe 지}}}{{{#f6b8be 민 /}}} {{{#eea9c7 J}}}{{{#ddaed0 I}}}{{{#c7b7da M}}}{{{#b9bde0 I}}}{{{#a1c7eb N}}}]]''' || || [[파일:LY Tear O 뷔.jpg|width=100%]] || [[파일:tearv1.jpg|width=100%]] || ||<-2><#141923> '''[[뷔|{{{#f8bdbe 뷔}}} {{{#ddaed0 /}}} {{{#a1c7eb V}}}]]''' || || [[파일:LY Tear O 정국.jpg|width=100%]] || [[파일:tearjk1.jpg|width=100%]] || ||<-2><#141923> '''[[정국(방탄소년단)|{{{#f8bdbe 정}}}{{{#f6b8be 국 /}}} {{{#eea9c7 JU}}}{{{#ddaed0 NG}}}{{{#c7b7da K}}}{{{#b9bde0 O}}}{{{#a1c7eb OK}}}]]''' || == 여담 == * 이 앨범을 시작으로 [[방탄소년단]]의 모든 국내 앨범들은 금요일에 발매되었다. * 이번 앨범 발매 후 컴백 [[무대]]를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서 가지게 되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768067|출처]] 한국 시간 [[2018년]] [[5월 21일]]에 열린 BBMA에서 방탄소년단은 톱소셜아티스트상을 2년 연속 수상했으며, '[[FAKE LOVE]]'의 전 세계 첫 공개를 성황리에 마쳤다. 'BBMA의 인상적인 순간 13가지'에도 등장했는데, 기사에는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의 --바위처럼 단단한(정말로 이렇게 쓰여 있다)-- 복근 공개가 인상적인 순간들 중 하나로 실렸다. 위 BBMA 2018 영상의 01분 45초에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이 셔츠를 가볍게 들어주면서 복근을 보여주는데, 현장 반응은 물론 유튜브에도 이 장면 관련 리액션 비디오만으로도 꽤 많이 널려있을 정도. * 이번 앨범 표지는 저번 앨범 표지와는 달리 [[꽃잎]]이 다 떨어져 앙상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앨범의 [[타이틀곡]] '[[FAKE LOVE]]' 역시 밝은 분위기의 '[[DNA(방탄소년단)|DNA]]'와 달리 [[분위기]]가 어두운 곡이다.[* 컴백 기념 [[V LIVE|V앱]] 라이브에서 멤버들이 밝힌 내용에 따르면 '[[DNA(방탄소년단)|DNA]]'는 [[운명]]적 만남을 [[노래]]한 곡이라면 '[[FAKE LOVE]]'는 그게 아닌 걸 깨닫고 [[절망]]하는 [[감정]]을 [[노래]]하는 곡이라고 한다.] 그 때문인지 활동 초반까지만 해도 '[[DNA(방탄소년단)|DNA]]'보다 빠른 [[유튜브]] 조회수 추이를 보였지만 '''6억뷰''' 돌파 이후로는 조금씩 느려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타이틀곡을 제외한 이번 앨범의 수록곡들 중 음악 방송에서 공개하는 활동곡은 'Anpanman'과 'Airplane pt.2'다. * [[롤링스톤]]에서 [[https://www.rollingstone.com/music/albumreviews/review-btss-love-yourself-tear-w520489|별 5개에 3개 반]][* 롤링스톤은 리뷰 기사에서 방탄소년단의 음악이 지금의 권태롭고 우울한 팝 씬에서 충격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피치포크]]에서 [[https://www.google.com/amp/s/pitchfork.com/reviews/albums/bts-love-yourself-tear/amp/|10점 만점에 '''7.1점''']], [[https://www.allmusic.com/album/love-yourself-tear-mw0003172557|올뮤직]]이랑 [[https://www.google.com/amp/s/www.spin.com/2018/05/bts-love-yourself-tear-album-review%3famp=1|스핀]]에서 10점 만점에 '''8점'''을 주는 등 메이저 음악 매체에서도 호평이 이어지고 있는 중이다. [[메타크리틱]] 평점은 [[http://www.metacritic.com/music/love-yourself-tear/bts|100점 만점에 74점]]. 이 정도의 평점이면 평론가들의 귀도 만족시킨 수작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또한 유명 음악평론 전문 유튜버인 [[니들 드랍]] 역시 이 음반에 6점을 주면서 'Intro : Singularity'와 '전하지 못한 진심'에는 극찬을, 'Magic Shop'에는 혹평을 하기도 하면서 전체적으로는 완벽하진 않지만 상당히 듣기 좋은 앨범이고, 롤링스톤의 리뷰의 관점과 비슷한 의견을 내면서 지금의 서양 뮤지션들은 이들의 성공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mLvOn-f5Oo|링크]] * 수록곡 'Anpanman'이 [[애니원]]에서 [[호빵맨]]을 광고할 때 쓰였다. 호빵맨의 일본판 원제를 생각하면 매우 적절한 선곡이다(...). 가사에 맞게 딱 한번 '방탄'이라는 자막이 화면 한 가득 크게 나온다.[[https://www.youtube.com/watch?v=udVXOngTEmk|#]] * [[미국]] [[올랜도(도시)|올랜도]]에서 결성된 신생 메탈 밴드인 Lies Behind Your Eyes가 메탈 버전으로 '[[FAKE LOVE]]'를 편곡하여 부르기도 하였다.[[https://youtu.be/kdjhmGNlKWs|#]] * 앨범이 정식 공개되기 전 아마존의 선배송 유출사고가 있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16&aid=0001395080|#]] * 제61회 Grammy Awards에서 '''Best Recording Package'''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으나, 아쉽게도 수상은 하지 못했다. [[https://www.grammy.com/grammys/news/2019-grammy-awards-complete-nominations-list#22|#]] 해당 부문은 앨범에 수록된 곡과의 유기성을 바탕으로 하여 앨범 커버 디자인을 비평하는 상으로, 커버 디자인에 참여한 아트 디렉터가 후보에 오른다.[* 뮤지션이 직접 커버 디자인에 참여한 경우 뮤지션도 수상 후보자에 속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앨범의 경우 방탄소년단이 커버 아트 디자인에 참여한 것이 아니므로, 수상 후보자는 방탄소년단이 아닌 Huskyfox이다.][* 만일 Huskyfox가 수상에 성공했을 경우 성악가 [[조수미]], 레코딩 엔지니어 [[황병준]]에 이어 세번째 한국인 수상자가 탄생하게 되는 것이었다.] * [[몬데그린]]으로 Love you so mad 부분은 "나의 사랑"처럼 들리고 Love you so bad 부분은 "나의 손에"처럼 들린다. * 다소 어두운 분위기의 앨범 콘셉트에 맞게 멤버 전원이 검은색으로 염색했다. 아이돌들이 무대에서 화려하게 연출하기 위해 다채로운 색으로 염색하는 것과는 달리 이례적인 일. --와중에 RM은 흑발이 안어울려서 걱정했다고 한다-- * 이탈리아의 가수 세이엘(Seiell)이 '[[FAKE LOVE]]'를 대놓고 베낀 [[https://www.youtube.com/watch?v=wBb7eofqBzA|Scenne Nennè]]라는 곡을 발표해 논란이 되고 있다. 더 황당한 것은 이 표절곡이 이미 유튜브, 스포티파이, 아마존 뮤직같은 스트라밍 사이트에 등록까지 되어있었다는 것이다. 이 사실을 안 방탄소년단 팬클럽 [[A.R.M.Y]]는 [[방탄소년단]] 소속사인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는 당장 세이엘에게 소송을 걸어야 된다는 이메일을 보내는 등 크게 분노한 모습을 보였다. 심지어 이탈리아의 BTS의 팬조차 자신의 트위터에 Seiell을 맹비난하는 글을 올렸을 정도였다. 일이 일파만파 커졌음에도, 세이엘은 '''"날 귀찮게 하지마. 이건 내 노래야. 내가 노래를 베꼈다고 하는데, 나는 중국의 PPL을 통해서 샀다. 당신들과 그 바보들을 탓해라. 이제 우리는 유명해졌다."'''면서 오히려 적반하장식 태도를 보였다. 이에 분노한 [[A.R.M.Y|팬들]]이 거센 비난을 퍼붓자 세이엘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의 스토리 기능을 통해 방탄소년단을 겨냥한 듯한 랩을 공개하기까지 했다. 이에 한 술 더 떠 동양인들을 [[섹드립|성적으로 모욕하는 인종차별적 글]]까지 올리는 만행을 저질렀다. 그랬던 그가 어느날 갑자기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FAKE LOVE]]' 뮤직비디오를 링크하더니 또 뜬금없이 이를 비공개로 돌려버리는 알 수 없는 행동을 보였다. 이를 본 한국의 [[A.R.M.Y|팬들]]은 이러한 급태세 전환에 황당해하는 반응을 보였다. 어쨌든 일이 점점 커지자 뒤늦게 사태를 파악한 듯, 세이엘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상황이 역설적으로 변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싶다. 이 곡을 발표하기 전까지 나는 BTS의 존재를 전혀 알지 못했다. [[표절|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다고는 생각할 수 없었다. 나는 전세계로부터 무분별한 비난과 명예훼손 위협을 받고 있다. 멈춰줬으면 한다. 나를 괴롭히는 팬들에게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라는 글을 올려 더 큰 공분을 샀다. 그도 그럴 것이 사과하기보다는 인종차별 및 [[섹드립|성희롱글]]을 올려놓고는 갑자기 태세를 전환한데다, 사과문이랍시고 올린 글도 사과가 아닌 변명에 가까웠고 유튜브 영상만 삭제했을 뿐 여전히 아마존 뮤직과 스포티파이에는 음원이 올라와있고, 유통까지 되고있다는 것이다. 이에 [[A.R.M.Y|팬들]]은 우선 표절 문제로라도 처벌을 할 수 있게 소속사인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에 발빠른 대응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는 유투브/음원등 다 내려가 있는 상태이다. * 'Intro : Singularity'는 일본 뮤지션들에게 두번이나 표절당했다. 정확히는 곡이 아닌 안무인데, [[쟈니스 사무소|쟈니스]] 소속 아이돌인 [[Sexy Zone]]의 멤버인 [[나카지마 켄토]]가 뷔의 솔로곡 안무뿐만 아니라 그룹 안무 및 무대 구성을 표절했으며, [[DA PUMP]] 역시 자신의 곡인 'Stand by me, Stand by you'에서 singularity의 안무 구성을 그대로 따라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1B-t3-wZ64|비교영상]][* 해당 비교 영상의 출처는 [[호카손]].] == [[리듬 게임]] 수록 == === [[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뮤지션즈 수록곡/음악소녀, 앵커=전하지 못한 진심)] [각주] [[분류:방탄소년단/음반]][[분류:2018년 음반]][[분류:한국의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올해의 앨범상]][[분류:멜론 뮤직 어워드 대상/앨범]][[분류:가온앨범차트 1위/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