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PPLE-2.jpg|width=100%]]}}}|| ||<:> [[Apple]]의 LTPO 특허^^(2014년)^^|| [목차] == 개요 == '''LTPO'''(저온 다결정산화물, '''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는 [[Apple]]이 개발한 [[TFT]] 디스플레이의 공정기술이다. LTPS [[TFT]]공정과 [[Oxide TFT]]공정의 단점을 상호보완하여 결합한 기술이다. 높은 기술 구현 난이도와 낮은 수율 문제 때문에 주로 고가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에 채용된다. [[Always On Display]] 같이 낮은 주사율을 필요로 하는 기술과 동시에 [[ProMotion]] 와 같은 고주사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할 때 쓰인다. == 특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tpo-applewatch-series5.png|width=100%]]}}}|| ||<:> LTPO 디스플레이가 최초로 상용화된 Apple Watch의 기술 설명[* LTPO 디스플레이 기술의 핵심인 구동전력의 감소를 잘 설명하고 있다.]|| '''LTPS'''(저온 다결정'''실리콘''', '''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TFT]]공정에서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Oxide'''(산화물)로 변경하여, 전자이동도는 낮지만 누설전류가 없도록 이중설계한 디스플레이다. Polycrystalline(다결정실리콘)의 경우 휘도의 감소와 플리커링을 막기 위해 1초에 60번씩 계속해서 신호를 보내야 하는 데 반해, Oxide(산화물)의 경우는 정지픽셀에서 1초에 한 번만 신호를 줘도 되기 때문에 누설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반응속도가 빠르고 120Hz 등 고속 화면 주사율을 적용하는데 구동전력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 역사 == === 2014년 === [[Apple]], 반도체 산화물 및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유기발광소자 디스플레이, 미국 특허 출원[* U.S. Patent No. 249,716(2014)] === 2018년 === [[Apple]], 하이브리드 TFT프로세스 흐름에 있어서 반도체산화물 채널을 보호하는 방법, 미국 특허 출원 2018년 9월 13일, [[Apple]]의 9월 스페셜 이벤트에서 LTPO 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모델인 [[Apple Watch Series 4]]가 발표되었다. === 2019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isplay-of-the-year-2019.png|width=100%]]}}}|| ||<:> 2019년 디스플레이 어워드에서 수상한 [[Apple Watch Series 4]]|| 2019년 5월, 2019년 올해의 디스플레이 어워드에서 2018년 발표된 [[Apple]]의 [[Apple Watch Series 4]]에 적용된 LTPO 디스플레이가 수상하였다.[* [[https://www.sid.org/about/awards/displayindustryawards.aspx|2019 디스플레이 어워드]] / [[https://www.displaydaily.com/article/display-daily/sid-s-2019-display-industry-awards|관련기사]]] 2019년 8월, [[삼성전자]]의 제품 중 LTPO 디스플레이가 최초 적용된 [[갤럭시 워치 액티브2]]가 공개되었다. 2019년 9월 11일, [[Apple]]의 9월 스페셜 이벤트에서 LTPO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Apple Watch Series 5]]가 발표되었다. === 2020년 === 2020년 8월에 공개된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20 Ultra]]와 [[갤럭시 Z 폴드2]]에 스마트폰 최초로 LTPO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었다. 2020년 9월 15일, [[Apple]]의 9월 스페셜 이벤트에서 LTPO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Apple Watch Series 6]]와 [[Apple Watch SE]]가 발표되었다. === 2021년 === 2021년 9월 14일, [[Apple]]의 9월 스페셜 이벤트에서 LTPO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Apple Watch Series 7]]와 [[iPhone 13 Pro]], [[iPhone 13 Pro Max]]가 발표되었다. === 2022년 === 2022년 2월 10일, [[삼성전자]]의 2월 갤럭시 언팩에서 LTPO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갤럭시 S22 Ultra]]가 발표되었다. 2022년 9월 8일, [[Apple]]의 이벤트에서 LTPO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Apple Watch Series 8]], [[Apple Watch SE(2세대)]], [[Apple Watch Ultra]], [[iPhone 14 Pro]], [[iPhone 14 Pro Max]]가 발표되었다. == 적용된 제품 == * [[Apple]] * [[Apple Watch Series 4]] 이후 모든 Apple Watch 제품 * [[iPhone 13 Pro]] 이후 모든 iPhone의 Pro 제품군 * [[삼성전자]] * [[갤럭시 워치 액티브2]] 이후 모든 워치 시리즈 * [[갤럭시 노트20 Ultra]] * [[갤럭시 Z 폴드2]] 이후 모든 갤럭시 Z 폴드 시리즈 * [[갤럭시 S21 Ultra]] 이후 모든 갤럭시 S 울트라 시리즈 * [[갤럭시 Z 플립3]] 이후 모든 갤럭시 Z 플립 시리즈 * [[Google]] * [[Google Pixel 6 Pro]] * [[iQOO]] * iQOO 9 프로 * [[OnePlus]] * [[OnePlus 9(제품군)#s-3.1.3|OnePlus 9 Pro]] * OnePlus 10 Pro * [[오포]] * 파인드 X3 * 파인드 X3 프로 * [[Realme]] * GT 2 프로 * [[샤오미]] * [[샤오미 12 시리즈|샤오미 12 프로]] * [[Nothing]] *[[Nothing Phone (1)]] *[[Nothing Phone (2)]] == 관련 문서 == * [[Apple Watch]] - LTPO 디스플레이의 세계최초 상용화 제품 * [[ProMotion]] * [[Always On Display]] * [[HOP]] - 삼성디스플레이가 사용하는 LTPO와 유사한 기술. [[분류:기술]][[분류:Apple/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