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eJwIpzmtvo)]}}} || ||<-2> {{{-1 '''Full V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3LT7gupiyo)]}}} || ||<-2> {{{-1 '''BGA'''}}} || ||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4 (2023)}}} || || {{{-1 '''장르'''}}} ||{{{-1 K-POP}}} || || {{{-1 '''BPM'''}}} ||{{{-1 90}}} || || {{{-1 '''작곡'''}}} ||{{{-1 [[ND Lee]]}}} || || {{{-1 '''작사/보컬'''}}} ||{{{-1 Suri}}} || || {{{-1 '''BGA'''}}} ||{{{-1 [[람다람|RAMDARAM]]}}} || ||<-2> {{{#!folding [ 가사 보기 ] I can't listen to it when i'm all alone And I can't listen to it when you're gone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I’m going to flash but I don’t break I was up so high can’t escape Wish I could say I was ok I was up so high can’t escape I’m going to flash but I don’t break Wish I could say I was ok Burn it up 까맣게 타올라 on my mind 널 위해 피워둔 fire 깜짝 놀라 깰지 몰라 Everything's gonna get fire 따라와 깨진 거울 속에 We burned in red 아무도 모르게 주문을 외워 fragile ya 멈출 수 없는 걸 just like a cigarette 너와의 입맞춤 floating away 더 깊이 헤엄쳐 빠져나올 수 없어 너라는 미로에 drifting away This ain't luv This ain't luv 아마도 우리는 사랑에 빠지게 되겠지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아마도 우리는 사랑이 아니라 하겠지 This ain't luv This ain't luv Burn it up 까맣게 타올라 on my mind 널 위해 피워둔 fire 깜짝 놀라 깰지 몰라 Everything's gonna get fire 따라와 깨진 거울 속에 We burned in red 아무도 모르게 주문을 외워 fragile ya 멈출 수 없는 걸 just like a cigarette 너와의 입맞춤 floating away 더 깊이 헤엄쳐 빠져나올 수 없어 너라는 미로에 drifting away This ain't luv This ain't luv 아마도 우리는 사랑에 빠지게 되겠지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아마도 우리는 사랑이 아니라 하겠지 This ain't luv This ain't luv 아침이 올 때까지 손을 놓지 말아 줘 baby can we kiss 하얗게 타버린 불빛 사라져도 괜찮은 걸 i feel This ain't luv This ain't luv 아마도 우리는 사랑에 빠지게 되겠지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아마도 우리는 사랑이 아니라 하겠지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아마도 우리는 사랑에 빠지게 되겠지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This ain't luv 아마도 우리는 사랑이 아니라 하겠지 This ain't luv This ain't luv}}} || == 개요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910004; font-weight: bold" {{{#6f726b THIS AIN'T LUV}}}}}} [[ND Lee]]가 작곡한 [[DJMAX RESPECT]] 신곡. [[2Nite]] 이후로는 무려 6년만에 DJMAX 시리즈에 제공한 곡으로, 기존에 투고했던 곡들과는 또다른 스타일을 들고 나온 곡이다. 전반적인 곡 스타일은 ND Lee가 [[EZ2ON REBOOT : R]]에 제공한 [[Higher(EZ2ON)|Higher]]와 비슷한 편이나, Higher가 일부러 레트로, 복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의도했다면 해당 곡은 조금 더 트렌디한 걸그룹 느낌의 사운드로 편곡된 것이 특징. 특유의 분위기와 람다람의 참가로 이목을 크게 끌어 곡 선공개 투표에서 2위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막판에 3위로 밀리게 되었다. 하필 그 자리를 [[Vertical Eclipse]]가 가져가면서 다인 사가 내 유일하게 선공개가 되지 않게 되었는데, 이는 [[DJMAX 엔터테인먼트]]의 'DMRV 23SS' 앨범 수록곡으로 [[Like a Fool]]과 함께 5월 26일 정오에 음원이 선발매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BGA == [[달의하루]] 악곡들의 뮤직비디오를 담당했던 것으로 유명한 [[람다람]]이 [[welcome to the space]] 이후로 오랜만에 참가했으며, [[DumpingLIFE]]에 의하면 이 BGA가 V EXTENSION 4의 메인 테마인 '''다인 사가'''의 2편이라고 한다. 전체적으로는 페일이 주역인 애니메이션풍 뮤직 비디오지만, 사이사이에 페일이 다인의 존재를 눈치채고 두려워하는 등 떡밥 요소 또한 심어 놓았다. 스토리가 이어지는 [[DIE IN]]에서도 처음 다인이 타워에 침입했을 때 페일 혼자 평소 같아 보이지만 식은 땀을 흘리는 표정을 한 이유도 이 때문. 또한, 엘을 부활시킨 것은 다인이며 페일의 몸에서 클리어가 빠져나오는 연출을 통해 '''사실 엘의 본체는 페일'''[*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처럼 디제이맥스에도 '''실패'''가 있었던 덕분에 오히려 더욱 멋지게 다시 '''성공'''할 수 있었음을 의미하기도 하고, 다르게는 플레이어들이 처음에는 채보에 익숙하지 않아 '''실패'''하다가 여러 경험을 쌓으며 클리어와 맥스 콤보, 올 퍼펙트를 차례로 '''성공'''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듯 하다.]이며 클리어는 이에 파생된 존재라는 것이 밝혀졌다. BGA에 대한 반응이나 평은 호불호가 갈리는데, BGA의 퀄리티 자체는 좋은데 곡과의 매치는 글쎄라는 평이 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4)]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UV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d1600, #b11000)" '''{{{#000 V EXTENSION 4}}}'''}}} || ||<-4>'''{{{+5 LUV}}}'''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19}}}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5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74}}} ||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width=16]] {{{#purple,#f21cc7 '''5'''}}} [br] {{{-5 873}}}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5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9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8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6'''}}} [br] {{{-5 915}}}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148}}}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8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69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6'''}}} [br] {{{-5 1100}}}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2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0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6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124}}} || ||<-5> 특수 패턴 || || {{{-1 TB SP}}} ||<-4> [[DJMAX RESPECT V/미션/DLC/V EXTENSION#s-7.1.1|conveyor belt]]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e1207, #5d0801, #270300)"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P9cOEDxya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ERO0G2m-54)]}}}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Bfue3ZLSb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vv09oWr_Lo)]}}}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8S24vVVj2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i2E6xqCTuQ)]}}}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xTEJqPU9V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YOLZmIkYrk)]}}} || 5B SC는 레벨대에 맞는 패턴이 하나도 없어 5레벨 중하위권 정도로 인식되는 물렙이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HoHS7eoqH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IYa3aeWJ6U)]}}}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vzNBZY2Bx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IrWPgEnNuY)]}}} || 6B SC는 초반과 극후반에 나오는 4연속 동시 롱노트 이후 롱잡 계단이 키포인트로, 해당 구간이 맥스콤보 및 퍼펙트 플레이 유무를 결정짓는다고 볼 수 있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ezutFaQng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98HtsisYJE)]}}}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hW0BZQaTh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5RjjgOhkSY)]}}} || 8B SC는 근래 8버튼에서 자주 보이는 형태인 트리거-사이드-3동치를 교차시키는 소위 '청백홍기' 패턴이 주가 된다. BPM이 상당히 느린 편인지라 집중만 하면 그닥 헷갈리지는 않고, 오히려 초반과 후반 등장하는 청기백기 구간보다는 초중반의 3동치-트리거 교차 구간이 더 헷갈릴 수 있으니 주의. 느린 BPM과 보컬 키음에 맞춰서 배치된 정박 위주의 노트들 덕분에 퍼펙트 플레이 난이도는 낮다.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