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X)] ||<-2> '''{{{+1 주식회사 LX글라스}}}'''[br]'''LX Glas Co., Ltd.''' || ||<-2> [[파일:LX글라스 로고.svg|width=80%]] || || '''한글 명칭''' ||주식회사 엘엑스글라스 || || '''영문 명칭''' ||LX Glas Co., Ltd. || || '''설립일''' ||[[2019년]] [[12월 13일]][* 현 법인 설립연도 기준.] || || '''본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34 ([[대치동]]) || || '''대표이사''' ||이용성 || || '''업종명''' ||판유리 제조업 || || '''상장유무''' ||[[비상장기업]] || || '''기업규모'''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법인형태''' ||외부감사법인 || || '''그룹''' ||[[LX그룹|[[파일:LX그룹 로고.svg|width=50px]]]] || || '''브랜드''' ||[[파일:한국유리공업 로고.svg|width=120px]] || || 링크 ||[[https://www.hanglas.co.kr/|공식 홈페이지]][br][[https://blog.naver.com/myhanglas|블로그]][br][[https://www.youtube.com/c/myhanglas|유튜브]]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국내 2위 규모의 유리 제조 기업으로, 주택이나 빌딩 등 창호에 쓰이는 판유리와 코팅유리를 판매한다. 판유리 시장에선 [[KCC]]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 역사 == || [br][[파일:한국유리주식회사 로고.png|width=50px]][br]'''한국유리공업(주)'''[br],,1957 ~ 1990,,[br]  ||<|3> → ||<|3> [br][[파일:한국유리공업 로고.svg|width=100px]][br]'''대표 브랜드 한글라스 도입'''[br],,1989 ~ ,,[br]  ||<|3> → ||<|3> [br][[파일:LX글라스 로고.svg|width=150]][br]'''사명 및 CI 변경'''[br],,2023 ~ ,,[br]  || || [br]'''동성판유리(주)'''[br],,1976,,[br]  || || [br]'''대원안전유리공업'''[br],,1981,,[br]  || [[1957년]] 전후복구 사업 바람이 일면서 [[평안북도]] 출신 [[실향민/대한민국|실향민]] [[기업가]] 최태섭과 이봉수[* 후에 [[신일고등학교]] 및 [[서울사이버대학교]]를 운영하는 [[신일학원]]을 설립하기도 했다.], 김치복 3명이 설립했다. 창립 첫 해 인천공장을 세우고 한동안 국내 판유리 시장에서 독점적 위치를 차지했으며, 모든 건물마다 한글라스 상품을 안 쓴 데가 하나도 없을 정도였다. [[1969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주식)|상장]]하고 [[1971년]] [[자동차]] 유리 생산을 개시했다. [[1974년]]에 자회사 한국전기초자를 세우는 한편, [[1970년]]부터 부산 동성판유리와 경쟁을 벌이다 [[1973년]]에 이 회사를 합병키로 합의했고, [[1976년]]에 완전 합병했다. [[1980년]] 한국복층유리를 세우고 이듬해 [[신진자동차]] 계열이던 대원안전유리를 인수했고, [[1982년]] [[전북]] 군산공장을 세웠다. [[1984년]] 기술연구소를 세우고 [[1985년]]에 [[프랑스]] [[https://www.saint-gobain.com/en|생고뱅]] 사와 [[유리섬유]] 기술도입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1988년]]에 [[금강(동음이의어)#s-3|금강]]이 판유리 사업에 진출하고 [[1990년대]] 들어 [[중국산]] 저가 유리제품이 대거 수입된 데다, 건설경기 등이 침체해 위기를 겪었고, 같은 시기 창업주의 2세들이 경영권을 갖고 대립하는 등 악재가 있었다. 이에 본사는 [[명예퇴직]] 등으로 사원을 감원하는 등 자구책에 나섰으며, [[1993년]] 중국에 첫 현지법인을 세우고 [[1998년]]에 그룹명을 '한글라스그룹'으로 했다. 또 생고뱅과 판유리 관련 자본 및 기술협력을 맺었다가, [[외환위기]] 여파에 따라 지분이 22.99%까지 늘어나 대주주가 됐다. [[2005년]]에 생고뱅 지분이 80.4%로 늘어나며 [[자회사]]가 됐다. [[2018년]]에 공개매수를 통해 [[자진상장폐지]]했다. [[2019년]] 토종 [[사모펀드]] 글랜우드프라이빗에쿼티가 사들인 뒤 신설법인으로 자산이 옮겨졌으며, 구 법인은 '생고뱅코리아홀딩스'가 됐다. 당시 자회사인 차량용 유리 제조사 한국세큐리트는 매각되지 않고 생고뱅 산하에 남았다.[* 해당 회사는 대한민국 대부분의 자동차 제조사와 일본 [[마쓰다]] 생산 차량분 유리를 납품한다.] [[2022년]] [[3월 30일]] [[LX인터내셔널]]이 한국유리공업 지분 100%를 5,925억 원에 인수하기로 하며 [[9월 30일]] 부로 [[LX그룹]]에 편입되었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330000780|출처]] LX 그룹 편입 후 이듬해 2023년 10월, 정관 변경을 위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브랜드 명칭인 한글라스를 계승한 '''LX글라스'''로의 사명 변경을 확정했다.[[https://www.lxglas.co.kr/customer/news_view.asp?b_code=10&page=1&pagesize=8&idx=160824|출처]] == 역대 임원 == === 구 법인 === * 명예회장 * 최태섭 (1982~1998) * 최영증 (2001~2003) * 회장 * 이봉수 (1957~1972/1982~1999) * 이세훈 (2000~2007) * 자크 아센브로이 (2000~2007) * 콜라 (2007~2009) * 대표이사 회장 * 최태섭 (1977~1982) * 이세웅 (1999~2000) * 우샹 쇼이비 (2009~2011) * 드니 메우스 (2011~2014) * 샤킬 발클리 (2014~2019) * 부회장 * 이봉수 (1977~1982) * 홍대식 (1982~1989) * 이세훈, 자크 아센브로이 (1999~2000) * 이세헌 (2002~2005) * 김성만 (2003~2004) * 마크 브레코 (2005~2008) * 대표이사 부회장 * 최영증 (1995~1999) * 대표이사 사장 * 최태섭 (1957~1977) * 홍대식 (1977~1982) * 최영증 (1982~1995) * 이세훈 (1995~1999) * 이세헌 (1999~2002) * 김성만 (1999~2003) * 브레당 (2002~2003) * 이남근 (2003~2014) * 이용성 (2014~2019) * 대표이사 부사장 * 브레당 (2003~2006) * 필립 부띠에 (2006~2009) === 신 법인 대표이사 === * 이용성 (2019~2023) * 이강훈 (2023~ ) [[분류:대한민국의 자재 회사]][[분류:2019년 기업]][[분류:LX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