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최근에 진행된 시즌, rd1=LCO 2023 Split 2)] [include(틀:LoL e스포츠 지역 리그)] ---- ||<-3>
[[파일:LCO-logofull.png|width=90%]] || ||<-3> '''{{{+1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br]리그 오브 레전드 서킷 오세아니아''' || || '''지역''' ||<-2> [[오세아니아|[[파일:태평양 공동체 기.png|width=26]] 오세아니아]] || || '''운영 주체''' ||<-2> [[Electronic Sports League]] || || '''컬러''' ||<-2> {{{+5 {{{#0f3341 ■}}}}}} || || '''약칭''' ||<-2> '''{{{#0f3341 LCO}}}''' || || '''경기장''' ||<-2>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출력= )] ESL Studios Sydney[* 호주 시드니에 위치] || || '''최근 우승팀''' ||<-2>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The Chiefs]] ^^(2023 Split 2)^^ || || '''최다 우승팀''' ||<-2>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The Chiefs]] ^^(7회)^^ || || '''최다 우승자''' ||<-2>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s-4.2|Babip]], [[퀸 코레브리츠|Raes]] ^^(6회)^^ || ||<-3> [[https://lco.gg/| [[파일:LCO로고.png|width=18]]]] [[https://www.twitch.tv/LCO| [[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18]]]] [[https://twitter.com/LCO|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https://www.instagram.com/lolcircuitoce/|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LOLCircuitOCE|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rIig7jafFXQeSy741lglMQ|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세아니아에서 개최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프로 리그. 2015년 창설 때부터 2020년까지는 'Oceanic Pro League(OPL)'라는 명칭을 사용했고, 리브랜딩 이후 2021 스프링 시즌에는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를 사용했다. 2021 서머 시즌에는 한시적으로 미국의 배달앱 업체 'The DoorDash'로부터 네이밍 스폰서십을 받아 'The DoorDash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라는 리그 명칭을 사용했다. 2022 시즌에 다시 스폰서십의 변경으로 LCO라는 명칭으로 [[https://lco.gg/2022/01/24/welcome-to-the-lco-delivered-by-menulog/|회귀]]했다. [[2022년]] [[11월 25일]], LCO가 [[Pacific Championship Series|PCS]]에 통합된다. 리그 진행은 그대로이나 앞으로 LCO에서 우승하더라도 MSI, 롤드컵에 직행할 수 없으며, LCO 상위 두 팀은 PCS 플레이오프에 합류한다. 이전까지 오세아니아 지역 선수들은 LCO-LCS 두 지역의 로컬 자격이었으나, 이번 개편을 통해 PCS 로컬 선수가 된다. [[https://n.news.naver.com/sports/esports/article/445/0000086845|#]] == 참가팀 == [include(틀:LCO 참가팀)] === [[/참가팀 로스터|참가팀 로스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참가팀 로스터)] == 역대 기록 == === 역대 대회 === ||<-3> '''OPL - LCO 역대 로고''' || || 2015~2017 || 2018~2020 || 2021~ || || [[파일:800px-OPL_Logo.png|width=100]] || [[파일:600px-OPL_2018.png|width=100]] || [[파일:800px-LCO_Logo_Full.png|width=100]] || ||<-2> {{{#8cd7f6 '''Oceanic Pro League'''}}} || {{{#0f3341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 [include(틀: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역대 대회)] === 역대 우승팀 및 순위 === ||<-5>
[[파일:OPL_white.png|width=28]] '''{{{#white Oceanic Pro League (2015~2020)}}}''' || || '''{{{#fff 역대 대회}}}''' || '''{{{#fff 우승}}}''' || '''{{{#fff 준우승}}}''' || '''{{{#fff 3위}}}''' || '''{{{#fff 4위}}}''' || || 2015 스플릿 1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Legac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egacy Esports]] || [[Team Immunity/리그 오브 레전드|Team Immunity]] || || 2015 스플릿 2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Legac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egacy Esports]]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Avant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Avant Garde]] || || 2016 스플릿 1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Legac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egacy Esports]] || [[MAMMOTH|Sin Gaming]]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 2016 스플릿 2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Legac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egacy Esports]]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Avant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Avant Garde]] || || 2017 스플릿 1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Legac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egacy Esports]] || [[MAMMOTH|Sin Gaming]]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 2017 스플릿 2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Legac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egacy Esports]] || [[MAMMOTH|Sin Gaming]] || || 2018 스플릿 1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Legac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egacy Esports]] ||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RDER]] || || 2018 스플릿 2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Legac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egacy Esports]] ||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RDER]] || || 2019 스플릿 1 || [[Bombers]] ||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RDER]]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Avant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Avant Gaming]] || || 2019 스플릿 2 || [[MAMMOTH]]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RDER]] || [[Bombers]] || || 2020 스플릿 1 || [[Legac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egacy Esports]]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RDER]] || || 2020 스플릿 2 || [[Legac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egacy Esports]] ||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RDER]]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Pentanet.GG]] || ||<-5> [[파일:LCO_white.png|width=28]] '''{{{#white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2021~)}}}''' || || '''{{{#fff 역대 대회}}}''' || '''{{{#fff 우승}}}''' || '''{{{#fff 준우승}}}''' || '''{{{#fff 3위}}}''' || '''{{{#fff 4위}}}''' || || 2021 스플릿 1 || [[Pentanet.GG]] || [[PEACE(프로게임단)|PEACE]]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Esports Club]]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 2021 스플릿 2 || [[PEACE(프로게임단)|PEACE]] || [[Pentanet.GG]]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RDER]] || || 2022 스플릿 1 ||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RDER]]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The Chiefs]] || [[Pentanet.GG]] || [[PEACE(프로게임단)|PEACE]] || || 2022 스플릿 2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The Chiefs]] || [[Pentanet.GG]] ||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RDER]] || [[Kanga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Kanga Esports]] || || 2023 스플릿 1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The Chiefs]] || [[Team Bliss/리그 오브 레전드|Team Bliss]]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Pentanet.GG]] || || 2023 스플릿 2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The Chiefs]] || [[Team Bliss/리그 오브 레전드|Team Bliss]] || [[MAMMOTH]] || [[VERTEX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VERTEX Esports Club]] || ||<-6> '''{{{#fff 종합}}}''' || || '''{{{#fff 팀}}}''' || '''{{{#fff 진출}}}''' || '''{{{#fff 우승}}}''' || '''{{{#fff 준우승}}}''' || '''{{{#fff 우승 연도}}}''' || '''{{{#fff 준우승 연도}}}''' ||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he_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width=50]]]] || '''12회''' || '''7회''' || '''5회''' || 2015 스플릿 1, 2015 스플릿 2, 2016 스플릿 1,[br] 2016 스플릿 2, 2022 스플릿 2, 2023 스플릿 1,[br] 2023 스플릿 2 || 2017 스플릿 2, 2018 스플릿 1, 2018 스플릿 2,[br] 2019 스플릿 2, 2022 스플릿 1 ||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Dire_Wolves.png|width=50]]]] || 6회 || 4회 || 2회 || 2017 스플릿 1, 2017 스플릿 2, 2018 스플릿 1,[br] 2018 스플릿 2 || 2015 스플릿 1, 2020 스플릿 1 || || [[Kanga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Kanga_Esports.png|height=50]]]] || 6회 || 2회 || 4회 || 2020 스플릿 1, 2020 스플릿 2 || 2015 스플릿 2, 2016 스플릿 1, 2016 스플릿 2,[br] 2017 스플릿 1 || || [[Pentanet.GG|[[파일:Pentanet.GG Logo.png|height=50]]]] || 3회 || 1회 || 2회 || 2021 스플릿 1 || 2021 스플릿 2, 2022 스플릿 2 || ||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파일:ORDER2022logo_profile_notext.png|width=50]]]] || 3회 || 1회 || 2회 || 2022 스플릿 1 || 2019 스플릿 1, 2020 스플릿 2 || || [[PEACE(프로게임단)|[[파일:PCE_Logo_2021_Worlds.png|width=50]]]] || 2회 || 1회 || 1회 || 2021 스플릿 2 || 2021 스플릿 1 || || [[Bombers|[[파일:Bomberslogo_square.webp|width=50]]]] || 1회 || 1회 || - || 2019 스플릿 1 || - || || [[MAMMOTH|[[파일:2022MAMMOTH_New_Logo.png|width=50]]]] || 1회 || 1회 || - || 2019 스플릿 2 || - || || [[Team Blis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eam_Bliss.png|width=50]]]] || 2회 || - || 2회 || - || 2023 스플릿 1, 2023 스플릿 2 || {{{#!folding [ OPL 2015~2020 시즌 별 순위 ] [include(틀:OPL 2015~2020 시즌 별 순위)] }}} [include(틀:LCO 2021~ 시즌 별 순위)] === 역대 우승자 === [include(틀:LCO 우승 선수)] === 역대 정규시즌 MVP === [include(틀:LCO 정규시즌 MVP)] === 역대 LCO All-Pro Team === [include(틀:LCO 올프로팀)] === 역대 MSI 진출 LCO 팀 === || '''{{{#000 팀명}}}''' || '''{{{#000 진출 횟수}}}''' || '''{{{#000 진출 연도}}}''' || '''{{{#000 성적}}}''' ||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fff '''Dire Wolves'''}}}]] || '''2회''' || 2017[br]2018 || 플레이-인 그룹(2017, 2018) || || [[Bombers|{{{#d02030 '''Bombers'''}}}]] || 1회 || 2019 || 플레이-인 그룹(2019) || || [[Pentanet.GG|{{{#000 '''Pentanet.GG'''}}}]] || 1회 || 2021 || 럼블 스테이지(2021) || ||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8a00dc '''ORDER'''}}}]] || 1회 || 2022 || 그룹 스테이지(2022) || ||<-8>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로고.svg|width=32]] '''{{{#000 역대}}}''' [[Mid-Season Invitational|{{{#black '''Mid-Season Invitational'''}}}]] [[OPL|{{{#black '''OPL'''}}}]] '''{{{#000 -}}}''' [[LCO|{{{#black '''LCO'''}}}]] '''{{{#000 진출 팀 및 최종 성적}}}''' || || '''{{{#fff 시즌}}}''' || '''{{{#fff 진출 팀}}}''' || '''{{{#fff 세트 승패}}}''' || '''{{{#fff 최종 성적}}}''' || || [[2017 Mid-Season Invitational|2017]] || [[Dire Wolves]] || 2-4 || 플레이-인 그룹 || || [[2018 Mid-Season Invitational|2018]] || [[Dire Wolves]] || 2-4 || 플레이-인 그룹 || || [[2019 Mid-Season Invitational|2019]] || [[Bombers]] || 2-4 || 플레이-인 그룹 || || [[2021 Mid-Season Invitational|2021]] || [[Pentanet.GG]] || 4-15 || 럼블 스테이지 || || [[2022 Mid-Season Invitational|2022]] ||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RDER]] || 0-8 || 그룹 스테이지 || === 역대 RR 진출 OPL 팀 === || '''{{{#fff 팀명}}}''' || '''{{{#fff 진출 횟수}}}''' || '''{{{#fff 진출 연도}}}''' || '''{{{#fff 성적}}}''' ||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fff '''Dire Wolves'''}}}]] || '''2회''' || 2017[br]2018 || '''우승(2018)'''[br]3위(2017) || || [[Kanga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000 '''Kanga Esports'''}}}]] || '''2회''' || 2017(LGC)[br]2018(LGC) || '''우승(2018)'''[br]3위(2017) || || [[MAMMOTH|{{{#000 '''MAMMOTH'''}}}]] || 1회 || 2017(SIN) || 3위(2017) ||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fff '''The Chiefs'''}}}]] || 1회 || 2018 || '''우승(2018)''' || ||<-8> [[파일:Rift Rivals logo white.png|width=25]] '''{{{#fff 역대}}}''' [[리프트 라이벌즈|{{{#fff '''리프트 라이벌즈'''}}}]]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fff '''OPL'''}}}]] '''{{{#fff 출전 팀 & 최종 성적}}}''' || || '''{{{#fff 시즌}}}''' || '''{{{#fff 출전 팀}}}''' || '''{{{#fff 세트 승패}}}''' || '''{{{#fff 최종 성적}}}''' || ||<|3> [[2017 리프트 라이벌즈|2017]]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1-2 ||<|3> 3위 || || [[Kanga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egacy Esports]] || 1-2 || || [[MAMMOTH|Sin Gaming]] || 3-2 || ||<|3> '''[[2018 리프트 라이벌즈|2018]]'''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Dire Wolves]]''' || '''4-1''' ||<|3> '''우승''' ||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Chiefs]]''' || ''' 5-1''' || || '''[[Kanga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Legacy Esports]]''' || '''2-1''' || === 역대 Worlds 진출 LCO 팀 === || '''{{{#fff 팀명}}}''' || '''{{{#fff 진출 횟수}}}''' || '''{{{#fff 진출 연도}}}''' || '''{{{#fff 성적}}}''' ||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fff '''Dire Wolves'''}}}]] || '''2회''' || 2017[br]2018 || 플레이-인 그룹(2017, 2018) || || [[MAMMOTH|{{{#000 '''MAMMOTH'''}}}]] || 1회 || 2019 || 플레이-인 그룹(2019) || || [[Kanga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000 '''Kanga Esports'''}}}]] || 1회 || 2020(LGC) || 플레이-인 녹아웃(2020) || || [[PEACE(프로게임단)|{{{#000 '''PEACE'''}}}]] || 1회 || 2021 || 플레이-인 녹아웃(2021) ||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fff '''The Chiefs'''}}}]] || 1회 || 2022 || 플레이-인 그룹(2022) || ||<-8>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width=32]] '''{{{#fff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fff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OPL|{{{#fff '''OPL'''}}}]] '''{{{#fff -}}}''' [[LCO|{{{#fff '''LCO'''}}}]] '''{{{#fff 진출 팀 및 최종 성적}}}''' || || '''{{{#fff 시즌}}}''' || '''{{{#fff 진출 팀}}}''' || '''{{{#fff 세트 승패}}}''' || '''{{{#fff 최종 성적}}}''' || ||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2017]] || [[Dire Wolves]] || 1-4 || 플레이-인 그룹 || ||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2018]] || [[Dire Wolves]] || 1-3 || 플레이-인 그룹 || ||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2019]] || [[MAMMOTH]] || 2-2 || 플레이-인 그룹 || ||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2020]] || [[Legacy Esports]] || 3-5 || 플레이-인 녹아웃 || ||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2021]] || [[PEACE]] || 5-7 || 플레이-인 녹아웃 || ||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2022]]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The Chiefs]] || 0-5 || 플레이-인 그룹 || === 역대 All-Star 출전 LCO 선수 === ||<-7>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파일:LOL All Stars_logo.png|height=32]]]] '''{{{#fff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white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white '''OPL - LCO'''}}}]] '''{{{#fff 출전 선수}}}''' || || {{{#fff '''시즌'''}}} ||<-5> {{{#fff '''출전 선수'''}}} || {{{#fff '''비고'''}}} || ||<|2>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5|2015]] || 류태형[br][[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Ryoo || 팀 웬델[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Carbon || [[에런 블랜드]][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ChuChuZ || 드렉 트랑[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Raydere || 브라이스 폴[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EGym ||<|2> 식스맨으로 [[Avant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AV]][br] 소속 Destiny 참가 || || [[Hellions e-Sports Club|{{{#white '''HLN'''}}}]] ||<-2> [[Legac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000 '''LGC'''}}}]] ||<-2>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white '''CHF'''}}}]] || ||<|2>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각 지역별 올스타/IWC 올스타 결정전|2016]] || 브랜던 홀랜드[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Swip3rR || 팀 웬델[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Carbon || 시몬 파파마커스[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Swiffer || 드렉 트랑[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Raydere || 앤드류 로즈[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Rosey ||<|2> ||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white '''CHF'''}}}]] || [[Legac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000 '''LGC'''}}}]]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white '''CHF'''}}}]]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1aaa84 '''DW'''}}}]] || [[Tectonic|{{{#BEDB6A '''TM'''}}}]] || ||<|2>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8|2018]] ||<-3> [[MAMMOTH#s-3.4.3|스테판 리]][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Triple ||<-2> [[Pentanet.GG#s-5.2|잭슨 파본]][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Pabu ||<|2> 리그 파트너로 Midbeast,[br] Ash on LoL 참가 || ||<-3>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1aaa84 '''DW'''}}}]] ||<-2> [[Avant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fff '''AV'''}}}]] || ||<|2>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2019]] ||<-3>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s-6.1|라이언 쇼트]][br][[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Chippys ||<-2> [[Pentanet.GG#s-5.2|잭슨 파본]][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Pabu ||<|2> 유명인사로 Midbeast[br] 참가 || ||<-3> [[Avant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fff '''AV'''}}}]] ||<-2> [[Gravitas|{{{#fff '''GRV'''}}}]] || ||<|2> [[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2020]]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s-6.1|라이언 쇼트]][br][[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Chippys || [[Kanga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s-4.2|레오 로머]][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Babip || 브랜든 응우옌[br][[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Claire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s-4.5|퀸 코레브리츠]][br][[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Raes || [[paiN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6.8|앤디 반 더 비버]][br][[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Cupcake ||<|2> ||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fff '''DW'''}}}]] ||<-3> [[Legacy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000 '''LGC'''}}}]]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s-6.2|{{{#fff '''DW'''}}}]] || == 특징 == 초창기 LoL 플레이-인 리그 중에는 전반적으로 약체로 분류되었다. 같이 약체로 분류되는 동남아, 일본, 남미나 중남미 통합 후 망해버린 브라질에 비하면 개성이 없는 편이다. 초중반 돌발적인 전투력 하나로 먹고 살던 동남아(태국), 운영으로 승부하는 일본, 원딜 중심의 한타로 승부하던 남미나 개인기량은 더럽게 좋은데 팀으로는 언젠가부터 멸망인 브라질 등과 달리 그냥 무난하다. 그러나 그 무난함이 지나쳐 체급이 낮기 때문에 약한 리그라는 평을 받았다. 일단 일본 못지 않게 선수층이 얇다. 호주 뉴질랜드의 롤 인구도 많지 않은 편인데다 영어권 국가라는게 장점이자 단점이라 정말 잘하는 선수들은 용병과 유학생/교포, 현지인을 가리지 않고 다 북미 및 기타 상위리그에 빼앗긴다.[* 한국계 뉴질랜드인인 Keane은 북미 올드비이며 OPL이 역대 가장 분전했던 2019년에도 용병 에이스로 날렸던 발칸은 터키에 뺏겼고 FBI, 료마, 데스티니가 각각 북미와 유럽으로 넘어갔다. FBI의 라이벌이던 로스트도 이미 북미에 뺏긴지 오래이며, 2017~2018년 OPL 최고 선수로 불렸던 정글러 션파이어도 북미 쪽에서 커리어를 모색하고 있다.] 그렇다고 북미처럼 마케팅을 잘하는 것도 아니고 일본처럼 코어 팬층 충성도가 높은 편도 아니라 흥행도 암울한 편이다. 다른 마이너 리그의 경우 프로를 이어나가고 싶지만 자국에서 유의미한 커리어를 만들기 힘들다고 판단해 해외를 노리는 한국인 용병들이 심심찮게 유입되는 편이지만,[* 탑급 선수들의 경우 거금을 받고 LPL로 이적하고 LCS에서도 한물 갔다지만 비교적 클래스 있는 선수들을 용병으로 주로 수급해가는데, 메이저 1군에는 미치지 못하는 기량을 가지거나 나이가 꽤 있어 반등을 기대하기 힘든 선수들은 LLA, LJL, CBLOL, TCL과 같은 마이너 리그에서 우승해 롤드컵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용병으로 뛰게 되는 경우가 왕왕 있다. KT의 백업 정글러였던 [[문건영]]의 경우 LCK에서는 1군으로 살아남기 힘들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LJL에서는 본인의 기량 향상과 맞물려 5시즌 우승과 함께 국제전인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이라는 쾌거까지 달성해냈다. 이외에도 눈꽃, 갱맘, 카카오 등의 사례가 대표적.] LCO의 경우 마이너 리그 중에서도 자본력과 인기가 상당히 위태위태한 리그이다 보니 용병 수급도 미묘한 편. 그러나 영어권 국가다 보니 한국에서 북미를 거쳐, 혹은 한국 용병이나 코치를 통해 들어온 게임지식은 꽤 잘 습득한 편. CIS와 일본을 제외하면 변방에서는 운영 측면의 기본기가 그나마 잘 갖춰진 리그이다. 게다가 이러한 운영을 모르던 암흑군주 시절 치프스의 유일한 장점은 중반 교전이었을 정도로, 개개인의 메카닉이 S급이 아니더라도 거시적/미시적인 팀합은 이상하게 잘 맞아온 리그다. DW를 거쳐 BMR, MMM 등 개인기량이 치프스와 비교를 불허하는 강팀들이 등장하자 그러한 각각의 팀들이 가진 강점이 이러한 리그 전체적인 나쁘지 않은 팀플레이와 시너지를 이루어 [[무상성 캐릭터]]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약간이라도 게임인구가 늘고 인재 수급이 개선되자, 상술한 한국발 선진 메타를 일찍이 습득한 효과가 나타나는지 19시즌 국제무대부터는 플레이인 리그에서 중위권 수문장을 벗어나 최상위 실력으로 단숨에 급상승했다. 특히 매년 국제무대에 나타나는 OPL-LCO 대표팀이 다른데, 이 팀들이 모두 호성적을 기록하거나, 최종 플레이인 스테이지까지 가는 등 전반적인 체급이 올라왔다는 것이 한 눈에 보일 정도. OPL이 라이엇에 의해 해체되어 인재풀이 한 번 흩어졌다가, 우여곡절 끝에 LCO로 리브랜딩된 상황인 21 시즌 국제무대에서도 MSI 최초 본선 스테이지 진출, 롤드컵 플레이인 최종 스테이지 진출 등 열악한 상황속에서도 혁혁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습자지 같이 얇은 선수층임에도 갑자기 튀어나오는 메이저급 유망주들[* 대표적으로 C9에서 선전하고 있는 퍼지와 100T의 북체원 FBI.]이 북미 로컬 전환 이후 LCS에서 맹활약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서구권에서는 새로운 유망주 시장으로 부각받고 있다. == 역사 == === OPL (2015~2020) === 2019년부터 프랜차이즈화를 진행하였고, 2부 리그였던 OCS는 아카데미 리그로 재편되었다. 다만 내부적으로는 질적, 양적 성장을 아주 미세하게나마 거듭하고 있음에도, 호주, 뉴질랜드라는 국가 특성상 대규모 기업 자본을 끌어모으기는 쉬운 일이 아닌지[*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애초에 프랜차이즈 진행 당시에도 메이저리그나 다른 마이너 리그 프랜차이즈 수준의 자본 납입도 요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OPL 구단들 모두가 라이엇 본사의 보조금과 운영 지원에 의존하고 있는 사실이 드러났다. 설상가상으로 19년 말에 오세아니아 지역의 리그 시청률 증가와 e스포츠판 성장에도 불구하고, [[https://www.kotaku.com.au/2019/11/australian-league-of-legends-is-downsizing/|프로 리그 계획을 전면적으로 축소시킬 예정이라는 사실이 폭로]]되었는데, 19년 말에 본사측에서 보내주는 운영 보조금이 삭감되었고 이에 따라 각 구단들에게 지원되는 운영 지원금도 크게 줄이게 되었다고 한다. 대신 갑작스러운 재정난을 극복하기 위해 라이엇 오세아니아측과 구단 운영진들의 합의 하에 20시즌 부터는 프랜차이즈의 기본 요건이나 다름없는 '선수 최저연봉제' 요건까지 삭제되는 등의 조치가 이어졌고, 이런 결정으로 인해 선수 복지 차원에서는 오히려 크게 후퇴하고 말았다.[* 아마 이 시기에 대부분의 잠재력 있는 오세아니아 유망주가 해외 진출을 적극 모색한 것에는 이런 사유가 함께 있었을 것이다.] 결국 2020년 10월 7일, 리그가 해체된다는 [[https://lolesports.com/article/an-update-about-the-oceanic-pro-league-opl-/bltdaee569982df8fa5|공식기사]]가 나오게 되었다. 일단 리그 운영 유지에 대한 언급은 없고, 오세아니아 출신 팀들이 2021년 시즌까지는 MSI와 롤드컵 진출을 할 수 있도록 토너먼트 예선 기회를 보장해주겠다고 한다. 또한, OPL 소속 선수들의 프로 무대 활동 지원을 위해 2021년부터 OPL 출신은 LCS로 넘어갈 때 용병 슬롯을 차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과연 얼마나 많은 선수들이 훨씬 높은 등급의 프로 리그에서 살아남을지는 미지수. 여러모로 2020 롤드컵에서 OPL 역사상 가장 정점을 찍었으나, 그 잠재력을 더 키워보지도 못한 채 리그가 폐지되고 역사속으로 사라질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해당 소식이 나온 이후, 호주 및 뉴질랜드 LoL 커뮤니티는 초상집이 되었고, 특히 라이엇 오세아니아 지부까지 완전히 해체한다는 뉴스까지 떠버려서 사실상 기초적인 롤 e스포츠와 서버 인프라조차 날려버리는 최악의 결정이 아니냐는 여론 및 e스포츠 관계자들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2021 시즌을 앞둔 스토브리그에서 OPL의 상위권 팀인 LGC, DW, CHF 등의 주전 멤버들 소수만이 LCS로 넘어가는데 성공했으며, 역시 예상대로 대다수의 OPL 선수들은 팀을 구하지 못한채 무직 신세로 전락하는 등 롤 이스포츠판이 사라진 지역의 세기말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었다. === LCO (2021~2022) === 그런데 2020년 12월 21일, 해산 2개월만에 리그가 재개한다는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47&aid=ee66550149748|기사]]가 나왔다. 외신 e스포츠 인사이더에 따르면 [[Electronic Sports League|일렉트로닉 스포츠 리그]](ESL) 게이밍은 귀네비어 캐피털(Guinevere Capital)과 파트너십을 맺고 라이엇 게임즈로부터 OPL을 운영할 수 있는 3년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에 따라 올해 2020 월드 챔피언십 플레이-인 스테이지까지 진출한 레거시 e스포츠를 포함한 8개의 팀이 참가할 예정이다. 2021년 2월 5일, 롤 이스포츠 지역 리그 중 가장 늦게 로드맵이 발표되었다. 기존의 OPL이라는 리그 명칭을 '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 줄여서 LCO로 변경하고, 기존 8개팀을 그대로 참가시켰다. 또한 2021 시즌 개막을 2월 23일로 발표했다. [[2021 Mid-Season Invitational]]에 [[Pentanet.GG]]가 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하여 럼블 스테이지 진출에 성공했다. 이는 오세아니아 지역 최초의 국제 무대 본선 진출의 쾌거다. 국제무대에서의 선전이 효과가 있었는지, 2021년 6월 11일 미국의 온라인 배달음식 체인 'Doordash'와 네이밍 스폰서십을 체결하면서 리그명을 '''Doordash LCO'''로 [[https://twitter.com/LCO/status/1403140073885868032|리브랜딩]]했다. 또한 시즌 경기수를 변경했는데 단판제 더블 라운드 로빈에서, 단판제 트리플 라운드 로빈으로 변경해 한 팀과 3번의 매치씩, 총 21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그리고 맞이한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에서도 오세아니아 대표로 출전한 [[PEACE(프로게임단)|PEACE]]가 녹아웃 스테이지 최종전까지 올라가는 성과를 달성하면서 마이너로서의 입지를 더욱 끌어올리는데 성공했다. 2021년 12월 9일, 차기 2022 스플릿 2의 그랜드 파이널 경기를 호주 멜버른에서 개최하는 [[드림핵]] 행사에서 개최할 예정이라고 [[https://lco.gg/2021/12/09/lco-split-2-2022-grand-final-to-be-held-at-dreamhack-melbourne/|발표]]했다. 2022 시즌을 앞두고 The DoorDash에서 호주의 배달앱 업체 'Menulog'로 다시 스폰서십을 변경하면서 LCO라는 원래 명칭으로 [[https://lco.gg/2022/01/24/welcome-to-the-lco-delivered-by-menulog/|회귀]]했다. 2022년 2월 26일, LCO 소속의 [[PEACE(프로게임단)|PEACE]]가 작년 롤드컵 출전 상금을 소속 선수들에게 미지급하고 있다는 [[https://dotesports.com/news/ex-players-say-peace-owes-thousands-unpaid-lco-bonuses|소식]]이 떴다. 급여도 장기간 체불하다가 해를 넘겨 1월에 와서야 지급했다고. 리그의 자생력이 점차 나아지던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소식으로, 아직 소속팀들 다수는 불안정하다는 걸 증명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2022 MSI에서 참가한 [[ORDER(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RDER]]가 전패를 찍고 이어서 2022 롤드컵에 참여한 치프스 역시 플인 12팀 중 가장 먼저 광탈하는 바람에 LCO의 분위기에 먹칠을 해버렸는지라 현재 LCO의 행방은 좋다고 보긴 힘든 상황이다. 사실 오더 자체는 다소 진정하고 살펴보면 MSI 당시 LCL 불참으로 인한 대진운의 희생자일 뿐이지만, 정글러였던 케비의 북미 2부로의 이탈과 게임단 단위의 채무 논란 등이 불거지다 보니 LCO의 미래는 여전히 어둡다. 2022년 10월 18일, 라이엇이 시드니에 위치한 워게이밍 스튜디오를 인수하여 라이엇 시드니 스튜디오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https://twitter.com/LifeAtRiot/status/1582046305098272774?s=20&t=JvjA6UKuiy0YDuRAJmja2g|발표]]했다. 라이엇이 오세아니아 지부에 손을 뗀 지 3년만에 다시 오세아니아로 복귀한 것이다. 물론 LCO보단 라이엇의 새로운 프랜차이즈 게임인 [[발로란트]]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보이지만 어찌되었든 라이엇의 오세아니아 복귀는 팬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다만 ESL이 지난 2년동안 LCO 운영에 있어서 라이엇보다 나았다라는 평이 많은 데 라이엇이 다시 운영하면 기껏 올려놓은 뷰어십이나 흥행이 다시 식지 않을지, 아니면 LCO 주체는 ESL에게 맡기고 스튜디오와 발로란트만 라이엇이 담당할지는 미지수이다. 하지만 2022년 11월 19일, 국제전 성적부진을 이유로 PCS와 선수 풀, 포스트시즌 그리고 국제대회 진출권을 공유하게 되었다.[[https://lolesports.com/article/update-to-the-league-of-legends-pacific-championship-series/blt5e437484e74d0244|#]] 따라서 2023년부터 LCO는 '''MSI 및 월즈에 직행할 수 없으며,''' 상위 2팀이 PCS 플레이오프에 참가하여 MSI와 월즈 시드권 경쟁을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LCO 선수들은 앞으로 PCS 로컬 취급을 받게 되며, LCS로 이적하면 용병 슬롯을 차지하게 된다.[* 기존에 LCS로 이적하여 북미 용병 슬롯을 차지하지 않던 선수들과 2022년 스토브리그에서 북미로 이적한 선수들은 LCS 로컬과 PCS 로컬 중에 하나를 선택 가능하여 기존과 동일하게 용병 슬롯을 차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 === PCS와 합병 (2023~) === 2023년 1월 19일 새로운 시즌 진행 방식이 발표되었는데, LEC처럼 3단계로 진행된다. [[https://lco.gg/2023/01/19/get-ready-for-lco-2023/|#]] * 스테이지 1은 단판 싱글 라운드 로빈으로 진행된다. * 스테이지 2는 그룹 스테이지. A조에는 스테이지 1 1위 vs 8위 / 3위 vs 6위, B조에는 스테이지 1 2위 vs 7위 / 4위 vs 5위 간의 매치업이 성사되며 3전 2선승제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를 진행하여 각 조 상위 2팀(승자전 승리 팀과 최종전 승리 팀)이 파이널에 진출한다. LEC와의 차이점이라면 모든 팀이 참여하며 추첨을 통해 조를 편성하지 않는다는 것. * 파이널은 각 조의 1위와 2위끼리 맞붙는다. 방식은 2017~2018 LCK의 승강전처럼 첫 3경기[* 각 조의 1위와 2위 간 맞붙는 두 경기와 패자전]는 3전 2선승제, PCS 플레이오프 진출을 가리는 승자전과 최종전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된다. 승자전 승리 팀은 1시드로, 최종전 승리팀은 2시드로 PCS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1시드는 PCS 정규시즌 4위와 맞붙고 2시드는 3위와 맞붙는다. 그리고 PCS 플레이오프가 끝난 뒤인 4월 29일에 [[DreamHack]] 멜버른에서 LCO 올스타와 TSM Challengers 간의 맞대결, Team Bliss와 Chiefs 간의 결승전이 성사되었다. 결과적으로 PCS 플레이오프에 출전한 두 오세아니아 팀이 4경기에 걸쳐 세트 1승 12패로 처참하게 털리고, 상위권 두 팀의 선수는 참여하지 않았다지만 LCO 올스타팀이 TSM 2군에게도 패하면서 리그 경쟁력에 사형선고가 내려졌다. 2023 스플릿 1 당시 PEACE가 몰수패를 계속 당해도 다음 스테이지에 참여한다는 것이 문제가 되자 스플릿 2를 앞두고 다시 한 번 진행 방식을 변경했다. [[https://lco.gg/2023/05/23/lco-split-2-new-structure-revealed/|#]] * 기존처럼 정규시즌 이후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정규시즌은 2전제 싱글 라운드 로빈으로 진행되며 상위 6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점수 계산 방식은 2012-13 윈터~2014 서머까지 진행된 롤챔스 조별 리그와 동일하다.[* 2-0 승리는 3점, 1-1 무승부는 1점, 0-2 패배는 0점.] * 플레이오프는 LCS 플레이오프 방식과 동일하지만 PCS 플레이오프와 관련 있는 승자조/패자조 결승과 최종 결승전만 5전 3선승제이며, 나머지 경기들은 모두 3전 2선승제로 진행된다. PCS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려면 결승에 진출해야 하며 지난 시즌과 달리 결승전에서 승리해야 LCO 1시드가 된다. * 승자조 1라운드: 정규시즌 1위 vs 4위(A1) / 2위 vs 3위(A2) * 패자조 1라운드: A1 패자 vs 정규시즌 6위(B1) / A2 패자 vs 정규시즌 5위(B2) * 승자조 결승: A1 승자 vs A2 승자(C) * 패자조 2라운드: B1 승자 vs B2 승자(D) * 패자조 결승: C 패자 vs D 승자(E) * 결승: C 승자 vs E 승자 [[분류:League of Legends Circuit Ocea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