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Legacy''}}}[br]레거시'''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legacy.jpg|width=100%]]}}} || || '''제목''' || Legacy || || '''아티스트''' || [[하이라이트 레코즈]] || || '''발매''' || 2020년 8월 16일 || || '''장르''' || [[힙합]] || || '''전체 길이''' || 51분 15초 || || '''수록곡 수''' || 14 || || '''타이틀''' || Kid Rock || || '''프로듀서''' || Big Banana, [[저드|jerd]], [[Jinbo|JINBO the SuperFreak]], [[팔로알토|Paloalto]], Stally, UGP, Welcome Ian, [[요시(프로듀서)|Yosi]], [[윤비|YunB]] || || '''레이블''' || [[하이라이트 레코즈|Hi-Lite Records]] || || '''유통''' || [[인터파크|(주)인터파크]]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0년 8월 16일에 발매된 [[하이라이트 레코즈]]의 두번째 컴필레이션 앨범. == 트랙리스트 == ||<-3><#eee,#4682b4> '''{{{#4682b4,#eee 트랙리스트}}}''' || || '''트랙''' || '''제목''' || '''프로듀서''' || || 1 || Simple Things {{{-3 {{{#gray Paloalto, jerd, Huckleberry P & Owell Mood}}}}}} ||<|2> UGP || || 2 || Trynna Be {{{-3 {{{#gray Soovi, Swervy, Paloalto & Owell Mood}}}}}} || || 3 || [[19금|[[파일:19금 아이콘.svg|width=17]]]] u dunno {{{-3 {{{#gray Sway D, Paloalto, Huckleberry P, jerd & Jowonu}}}}}} || UGP Paloalto || || 4 || YEZZIR {{{-3 {{{#gray Paloalto, Huckleberry P, Reddy & G2}}}}}} || JINBO {{{-2 the SuperFreak}}} || || 5 || Bad Bad Bad {{{-3 {{{#gray jerd, Huckleberry P & Reddy}}}}}} || jerd Paloalto || || 6 || Ooh La La {{{-3 {{{#gray Paloalto, Swervy, Huckleberry P & Sway D}}}}}} || Big Banana || || 7 || [[19금|[[파일:19금 아이콘.svg|width=17]]]]Organization {{{-3 {{{#gray Sway D, Swervy, Owell Mood & YunB}}}}}} || YunB || || 8 || D.R.E.A.M. {{{-3 {{{#gray Soovi, YunB & Swervy}}}}}} || Yosi || || 9 || Ain't Got Time {{{-3 {{{#gray Soovi, Owell Mood & Reddy}}}}}} || Big Banana UGP || || 10 || Cool Kids, Part 3 {{{-3 {{{#gray Evo, Paloalto & Huckleberry P}}}}}} || jerd || || 11 || 송석현 vs. 송석현 {{{-2 (Sway D vs. Sway D)}}} {{{-3 {{{#gray Paloalto & Sway D}}}}}} || Welcome Ian || || 12 || U DUNNO {{{-3 {{{#gray Reddy, Soovi, Paloalto, Owell Mood & Swervy}}}}}} || UGP Paloalto || || 13 || Step {{{-3 {{{#gray Jowonu, Soovi, Huckleberry P, jerd & Swervy}}}}}} || Stally || || 14 || '''Kid Rock''' {{{-3 {{{#gray Paloalto, jerd, Reddy & Soovi}}}}}} || Yosi Paloalto || == 참여 멤버 == * [[팔로알토]] (Paloalto) * [[허클베리피]] (Huckleberry P) * [[레디]] (Reddy) * [[스웨이디]] (Sway D) * [[윤비]] (YunB) * 조원우 ([[Jowonu]]) * [[스월비]] (Swervy) * [[오웰무드]] (Owell Mood) * [[Soovi|수비]] (Soovi) * [[저드]] (jerd) * [[DJ 짱가]] (DJ Djanga) * [[요시(프로듀서)|요시]] (Yosi) * [[Camo Starr]] * [[지투(래퍼)|지투]] (G2)[*Out 탈퇴한 멤버] * Evo[*Out 탈퇴한 멤버] == 뮤직비디오 == || {{{#fff '''u dunn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5bkwoheU7I)]}}} || || {{{#fff '''U DUNN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wwLQzSQWvg)]}}} || || {{{#fff '''Kid Rock'''}}} [* 코로나로 인해 만날 수 없는 상황에 멤버들이 온라인으로 소통한다는 컨셉으로, 버드와이저에서 협찬을 받았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vEjxmFiWio)]}}} || == Legacy: The Documentary == [[하이라이트 레코즈]]가 세워지고 [[Legacy(앨범)|Legacy]]가 발매되기까지 10년간의 역사에 대한 다큐멘터리다. [youtube(EYvoQS-mkts)] [youtube(rl9BzDUe8K4)] [youtube(QIQvWGiE70k)] == 평가 == * 앨범 전체적인 느낌은 기존 하이라이트와는 전혀 다른, 신세대 하이라이트를 보여준 알앤비/힙합으로, 라이트한 취향의 리스너들도 접근하기 편한 앨범이다. 이는 [[오케이션]], [[B-Free|비프리]], [[키스에이프]], [[지투]] 등의 빡센 타입의 래퍼들이 나가고 연달아 영입한 보컬 라인 3인과의 호흡에 맞춰 레이블의 전체적인 무드가 바뀐 듯 하다. 그리고 이후 조원우, 윤비, 스웨이디 등도 나가게 되면서 원로 멤버 삼대장인 팔로알토, 레디, 허클베리피만 남고 레이블의 음악적 색깔이 전체적으로 크게 달라지게 되어 여러모로 세대교체를 상징하는 앨범이다. * [[팔로알토]]가 8월 30일 대표이사직을 내려놓으면서 이 앨범은 '''지난 10년간의 족적에 대한 마침표'''이자 '''향후 10년간의 행보를 향한 이정표'''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 또한 지투에 이어 윤비, 조원우, 스웨이디도 하이라이트를 떠났다. '''각각의 아티스트에게 하이라이트 소속 아티스트로서의 마침표 작품이기도 하다.''' * [[리드머]]에서 3.5점을 받았다. >[Legacy]를 [HI-LIFE]와 단순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앨범의 취지나 담고 있는 음악 스타일도 다를뿐더러, 참여한 아티스트의 면면에서부터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 그만큼 본작을 통해 레이블이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는 걸 보여주려는 의지가 강하게 느껴진다. 일부 멤버들의 부진과 구성적인 한계는 아쉽지만, 여전히 세련된 음악을 만들어낼 줄 아는 레이블이라는 것을 보여주기엔 충분하다. 무엇보다 신인들의 약진 덕에 레이블의 미래를 기대하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성공적이다. >---- >황두하 평론가 [[http://board.rhythmer.net/src/go.php?n=19110&m=view&c=16&s=review|리뷰]] * [[이즘|izm]]에서 3.5점을 받았다. >서사는 없지만 그들이 가진 확고한 의지는 하이라이트레코즈를 하나로 묶어내며 또 다른 영역으로 견인한다.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던 전작 < Hi-Life >를 걷어내기 위해 노력했던 행보는 앨범의 마지막 곡 'Kid rock'처럼 경쾌한 결실을 맺는다. 유산을 뜻하는 < Legacy >는 아이러니하게도 과거가 아닌 미래를 지향하지만, 그 여지는 충분히 긍정적이다. >---- >손기호 평론가 [[http://izm.co.kr/contentRead.asp?idx=30326&bigcateidx=1&subcateidx=3&view_tp=1|리뷰]] == 기타 == * 처음에는 스토리있는 앨범을 만들고 싶었고 토이스토리 비슷한 스토리를 만들기로 회의했으나 만들던 도중 답이 안나와서 포기했다고 한다. 이유는 하이라이트의 이야기를 담고자 했지만 하이라이트에 있던 기존 멤버하고 신멤버하고 공감대가 너무 달라서 하이라이트의 이야기를 담을 수 없었다고 한다.[* 남은 멤버 중 팔로알토, 허클베리피, 레디를 제외하면 [[Hi-Life]]에 참여한 아티스트가 없다. 하이라이트에 오래 있었던 거처럼 여겨지는 [[지투(래퍼)|지투]] 조차 참여한 적 없는 게 [[Hi-Life]] 앨범이다. (스웨이디는 작곡으로 참여했다.)][* 윤비부터 이후 영입된 아티스트들은 비프리, 오케이션, 키스에이프를 하이라이트에서 본 적이 없다. --대신 윤비는 비프리를 주차장에서 개인적으로 만나서 현피를...-- (윤비는 그나마 자신의 정규 1집 SOS 앨범 오케이션과 비프리가 피쳐링을 해줬다. 음악적 교류는 있던 셈.) 조원우 부터는 세대 차이도 있고 (조원우 이전에 막내였던 윤비와 조원우의 나이 차이는 8살이다.) 오웰 무드, 수비, 저드는 보컬인지라 장르의 차이도 있다. 그나마 보컬이였던 이보(랩, 보컬 둘다 함), 소울원은 진작에 떠났다. ] * 아티스트들이 하이라이트 레코즈 사옥에서 모여서 작업했다. * 유기성을 고려한 앨범은 아니라 한다. 헉피 曰, 전부 맞추려면 앨범이 죽을 때까지 안 나온다고... * u dunno, U DUNNO가 윤비를 제외한 모든 아티스트가 참여해서 저 두 노래를 (더블) 타이틀로 하려했으나 뮤비가 미완성이라서 뮤비가 완성되어있는 Kid Rock을 선정했다고 한다. * 실제로는 더 많은 아티스트들이 참여했으나 플레이타임이 너무 길어져서 많이 쳐냈다고 한다. * 해당 앨범이 발매된 바로 다음날 [[지투(래퍼)|지투(G2)]]의 3집이 나왔다. * 머천다이즈 굿즈를 KRSP와 PEER에서 한정 판매한다. * 유튜브 딩고프리스타일에서 진행하는 궁금한나라의 넉밀스 하이라이트vs하이어뮤직 편에서 이번 컴필앨범에 조원우(+ 윤비)의 분량이 적다고한 말에서 각자 분위기에 어울리는 파트를 넣다보니 그렇게 되었다라고 팔로알토가 말 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하이라이트레코즈)] [[분류:하이라이트 레코즈]][[분류:2020년 음반]][[분류:한국 힙합 음반]][[분류:컴필레이션 앨범]][[분류:Hi-Lite Records 발매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