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더 후)]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 '''Live at Leeds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대 라이브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순위=170, 연도=2012, 연도2=2020, 순위2=327)]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423)]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311)]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317, 연도=1998, 순위2=356, 연도2=2000)] }}} || ||<-2><#E9D8AC> '''{{{+1 Live at Leed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Live at Leeds.jpg|width=100%]]}}} || || '''발매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1970년]] [[5월 16일]][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1970년]] [[5월 23일]] || || '''녹음일''' ||[[1970년]] [[2월 14일]] || || '''장르''' ||[[하드 록]] || || '''재생 시간''' ||37:42 || || '''곡 수''' ||6곡 || || '''프로듀서''' ||[[더 후]], 존 애스틀리, 킴 램버트 || || '''녹음 장소''' ||[[리즈 대학교]] || || '''레이블'''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폴리도르, 트랙[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데카, MCA || [목차] [clearfix] == 개요 == >'''The best live rock album ever made''' >'''현존하는 최고의 록 음악 라이브 앨범''' >---- >[[뉴욕 타임스]] [[영국]]의 [[하드 록]] 밴드인 [[더 후]]가 1970년 5월 발매한 [[라이브 앨범]]이다. == 특징 == '''록 음악 사상 최고의 라이브 앨범 중 하나'''로 불린다. 평가는 웬만한 정규 앨범보다 더 높다. 특히나 팬들 사이에서는 이 앨범을 [[Who's Next]]와 [[Tommy]] 다음으로 치는 사람도 많다. [[Tommy(음반)|Tommy]] 발매 이후 [[더 후]]가 신보를 홍보하기 위해 투어의 일부를 라이브 앨범으로 엮어 발매한 것이다. 이 앨범은 그중에서 1970년 2월 14일에 영국 북부의 명문 대학인 [[리즈 대학교]]에서의 실황을 담았다. 원래 공연은 초반부와 후반부에 더 후와 다른 음악가들의 히트 곡을 세트 리스트에 넣고, 중반부에 길게 Tommy 트랙을 넣었지만, 이 앨범에서는 Tommy의 트랙이 전부 빠지고 앞뒤 세트 리스트의 곡만을 남겨두었다. [[피트 타운젠드]]는 이 Tommy 트랙을 포함해 더블 앨범으로 발매하려고 했지만 생각이 바뀌어 더 후의 1960년대 중반 곡들과, 고전 로큰롤 명곡들의 세트 리스트만을 남겨두었다고 한다. 그래서 라이브 앨범인데도 곡 수가 굉장히 적고 러닝 타임도 30분대로 짧은 편. [[더 후]] 특유의 실험성이 느껴지는 부분이다. 뭐니뭐니 해도 이 앨범의 하이라이트는 무려 15분동안이나 길게 연주되는 "[[My Generation]]". 짧은 곡을 이렇게 어마어마한 길이로 늘여서 즉흥 연주하는 풍조는 이후 [[다이어 스트레이츠]]나 [[레드 제플린]] 같은 밴드들에게 영향을 줬다. 한편으로는 원곡과 전혀 다른 하드 록 분위기로 편곡해 즉흥연주한 곡들도 후대 메탈 밴드들에게 영향을 줬다. 잡음이 적은 것 역시 특징으로 이 앨범은 실황 녹음의 판도를 바꿨다고도 평가받는다. 앨범 아트는 [[비틀즈]]의 "[[The Beatles]]"(일명 화이트 앨범)의 영향을 받아 갈색 포장봉지 위에 "Live at Leeds"라고만 적힌게 다이며, 이 커버는 화이트 앨범과 마찬가지로 미니멀한 앨범 아트의 대명사가 되어 롤링 스톤스의 "Live'r Than You'll Ever Be" 부틀렉이나 로리 갤러거의 "Irish Tour '74"와 같은 몇몇 앨범 커버에 영향을 미쳤다. == 트랙 리스트 == 별도 표기가 없는 곡들은 모두 [[피트 타운젠드]] 작사/작곡. === Side A === ==== Young Man Blues ==== [youtube(Dkv_Aa45-dc)] 작사/작곡 모스 앨리슨 ==== Substitute ==== [youtube(VObeO8oYj5k)] ==== Summertime Blues ==== [youtube(K5jNDQlKDR4)] 작사/작곡 제리 케이프먼, 에디 코크런 ==== Shakin' All Over ==== [youtube(R3v6dGjWthg)] 작사/작곡 조니 키드 === Side B === ==== [[My Generation(곡)|My Generation]] ==== [youtube(PoHCjHtHrVo)] ==== Magic Bus ==== [youtube(zwM14LorzWo)] [[분류:더 후]][[분류:1970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하드 록]][[분류:라이브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