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b_치사bounce.jpg|width=100%]]}}} || ||<-2> {{{#fff {{{-3 왼쪽부터}}} [[27RING|{{{#fff 심스}}}]] • [[직 재스퍼|{{{#fff 직 재스퍼}}}]] • [[영크림|{{{#fff 영크림}}}]] • [[강남(가수)|{{{#fff 강남}}}]]}}} ||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M.I.B LOGO.png|height=60]]||{{{#fff '''{{{+1 엠아이비}}}'''[br]M.I.B}}} ||}}} || || '''데뷔일''' ||<-2> [[2011년]] [[10월 25일]][br](데뷔일로부터 '''[dday(2011-10-25)]일'''째) || || '''데뷔 음반''' ||<-2> {{{-4 {{{#!html 정규 1집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f2773; font-size: 0.865em" '''{{{#f7e008 Most Incredible Busters}}}'''}}} || || '''해체일''' ||<-2> [[2016년]] [[10월]] || || '''리더''' ||<-2> [[직 재스퍼]] || || '''장르''' ||<-2> [[Rap|랩]], [[힙합]] || || '''소속사''' ||<-2> 정글엔터테인먼트 || ||<|2> '''유통사''' ||<-2> [[지니뮤직]] || ||<-2>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 || || '''팬덤''' ||<-2> Busterz || || '''링크''' ||<-2> [[http://twitter.com/Official_MIB|[[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3&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3&theme=dark]]]] [[http://www.youtube.com/user/MIBOffici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http://cafe.daum.net/M.I.B/|[[파일:다음 카페 아이콘.png|width=23]]]] [[http://www.facebook.com/officialMIB/|[[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안녕하십니까[* 참고로 그룹명을 외치기 전 인사는 약간 바뀌기도 한다], M.I.B!'''[* 주로 [[직 재스퍼]]가 선창] >'''It's not the movie Man In Black, We are M.I.B!!''' - 들이대[* 가사 중에 들어간 애드리브 이므로 공식 가사엔 나와있지 않다.] 무려 20억을 들여서 만든 한국의 씨그널엔터테인먼트 산하 [[한국의 힙합 레이블들#s-3.13|정글 엔터테인먼트]] 레이블 소속이었던 4인조 힙합 [[다국적 보이그룹]]이다. 팀명 엠아이비 (M.I.B)는 [[타이거 JK]]가 지어준 이름으로서 '''Most Incredible Busters'''의 줄임말이다.[* 2016 현재는 '''Man In Black'''이다. 원래 Most Incredible Busters→Money In the Building → Man In Black이 되었다(...) 멤버의 발언에 의하면 더 이상 안 나올 때까지 계속 바뀔 것이라고(...) 한다.] 2011년 10월 25일 Most Incredible Busters를 발매, 타이틀곡 으로 활동했다. 또한 데뷔 전부터 이들의 실력이 온라인상에서 주목받기도 했다.[* 이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데뷔곡 의 뮤비 조회수인데 10만을 넘었다고 한다. 신인 치고는 꽤 폭발적인 반응이라고. 또한 당시 MIB는 신인이었지만 [[Will I Am]]의 [[2012년]] 내한 무대에 서기도 하였다.] 데뷔 전 멤버들을 공개하고 각자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연습생 기간이 길었던 순서대로 싱글을 발매했다. 직 재스퍼 > 영크림 = 심스 > 강남 순. >그래서 불러본 나의 노래 Rest In Peace나의 눈물 >두 남녀의 Film 같이 느껴줘 Busterz - 나만 힘들게 팬덤의 이름은 'Busterz', 줄여서 버터라고 칭한다. 2016년 10월 강남을 제외한 멤버들의 계약이 만료되면서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701041459300410|해체됐다.]] == 멤버 == ||<-4>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 #878787" [[엠아이비|[[파일:M.I.B LOGO.png|width=4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엠아이비/g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엠아이비/5zic.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엠아이비/youngcrea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엠아이비/sim.jpg|width=100%]]}}} || || '''[[강남(가수)|{{{#fff 강남}}}]]''' || '''[[직 재스퍼|{{{#fff 직 재스퍼}}}]]''' || '''[[영크림|{{{#fff 영크림}}}]]''' || '''[[27RING|{{{#fff 심스}}}]]'''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87. 03. 23. ([age(1987-03-23)]세)}}} ----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4px; border: 1px soli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일본 국기.svg|width=100%]]}}}]] →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4px; border: 1px soli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메인보컬'''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88. 07. 26. ([age(1988-07-26)]세)}}} ----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4px; border: 1px soli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리더'''[br]'''메인래퍼'''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90. 02. 14. ([age(1990-02-14)]세)}}} ----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4px; border: 1px soli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래퍼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1991. 02. 27. ([age(1991-02-27)]세)}}} ----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4px; border: 1px soli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래퍼 || == 음반 == ||{{{#white '''발매일'''}}}||{{{#white '''앨범 명'''}}}||{{{#white '''타이틀 곡'''}}}||{{{#white '''비고'''}}}|| || 2011년 10월 25일 || Most Incredible Busters || '''G.D.M''' || 정규 앨범 1집 [* 1집 수록곡의 'My Way'가 [[R2B: 리턴 투 베이스]]에 수록 되기도 했었다.]|| || 2012년 04월 05일 || Celebrate || '''Celebrate (Feat. [[윤미래#s-1|t윤미래]])''' || 싱글[* 컴백무대 리허설 2시간 전 숙소 화재로 스타일리스트 2명을 잃는 비극이 일어났다.(일반인 한 명도 사망했다.) 그 때문에 활동은 사실상 전무했다.] || || 2012년 05월 30일 || Illusion || '''나만 힘들게''' || 미니 앨범 1집[* 힙합 앨범이 생각보다 인기를 끌지 못하자 힙합 컨셉을 버리고 다른 장르를 시도했던 앨범이다. 화재사고로 잃은 스타일리스트 두 명을 추모하는 곡 <낙화 (落花)>가 수록되어 있다.] || || 2013년 04월 10일 || Money In the Building || '''끄덕여줘!''' || 미니 앨범 2집[* 어째서인지 이 앨범은 오프라인 음반이 절판되었다.] || || 2013년 08월 01일 || Men In Black || '''들이대 (Men In Black)''' || 디지털 싱글 [* 들이대의 춤은 [[김흥국]]의 호랑나비 춤에서 모티브를 얻은 것이라고 한다.][* 이때 백댄서로 [[포텐(아이돌)|포텐]]이 무대에 섰었다.]|| || 2013년 12월 02일 || 너부터 잘해 || '''너부터 잘해 (Feat. [[윤보미]] of [[에이핑크]])''' || 디지털 싱글 || || 2014년 03월 31일 || The Maginot Line || '''치사BOUNCE'''[* 원래 제목은 '치사빤스'였으나 심의에 걸려 바꾼 제목이 발음이 비슷한.'치사 BOUNCE'라고 한다.] || 정규 앨범 2집 || [[https://youtu.be/0j2yMFtlPio| 뮤직비디오]] [[https://youtu.be/4L2ASwznxOA| 뮤직비디오]] [[https://youtu.be/weHAkYz2Jek|<나만 힘들게> 뮤직비디오]] [[https://youtu.be/m8eQf0XsCao|<끄덕여줘> 뮤직비디오]] [[https://youtu.be/bCrLpneSC18|<들이대> 뮤직비디오]] [[https://youtu.be/_uEE99UmpKQ|<너부터 잘해> 뮤직비디오]] [[https://youtu.be/AlRgNmhS8sM|<치사 BOUNCE> 뮤직비디오]] 치사바운스 활동당시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나와 앨범 제목이 마지노선이라고 밝혔는데, 그 이유는 이 앨범이 얼마나 잘되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활동이 결정된다고(...)~~그리고 2년간 앨범이 없다~~. 직 재스퍼는 솔로음반을 발표하고 있고 강남은 단독으로 일본 활동까지 돌입했지만 그룹 완전체 활동소식은 없다. 하지만 공백기 중 빌리프 촉촉아트 프로젝트의 cm송에 참여하였다.--역대 타이틀보다 더 좋은 것 같은 느낌은 덤-- [youtube(eN1j5_s6-6U)] 그리고 2016년 8월8일 나온 심스의 무료 공개 곡 <네가 알던 나가 아냐>에서 M.I.B의 컴백은 없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 방송 == ||
{{{#white '''방송년도'''}}} || {{{#white '''방송명'''}}} || {{{#white '''비고'''}}} || ||<|3> 2012년 || MIB의 W 사관학교 || || || [[켠김에 왕까지]] || 140회 게스트 || || 2012 아이돌스타 알까기 선수권 대회 || || ||<|2> 2013년 || [[벼락맞은 문방구]] || 6화 카메오 출연 || || [[런닝맨]] || 166회 특별 출연 || || 2014년 || 대한민국 행복발전소 || 행복사용설명서 || == 로고 == [[파일:m-i-b_logo.jpg|width=240]] 1집 때부터 미니 앨범 1집까지는 이 로고를 사용했으나 [[파일:가수 MIB 로고.jpg|width=240]] 이내 앨범 2집 Money In Building 때부터 이 로고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 여담 == * '''참고해 둘 것이 있다면,아래의 일화들은 MIB 활동 당시,강남이 일본 타워레코드에서 연재하던 칼럼 'M.I.B가 나가신다'에서 가져온 것이 대부분이다.''' 공식 팬카페에서 번역본을 내어 주기도 했었다. * 해외에 나가면 항상 강남은 심스와 함께 방을 썼고 직 재스퍼는 영크림과 함께 방을 쓰곤 했다고.[* 평소 직 재스퍼와 이칠링은 잘 때 코골이가 심한데, 심스가 ~~이상하게도~~ 해외에 나가면 코골이를 하지 않는다는 걸 안 강남이 심스와 같이 방을 쓰게 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한다.][* 참고로 강남과 심스는 잠보다 아침밥을 더 중요시한다는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 * MIB가 숙소 생활 당시 직 재스퍼는 "이거 내 거니까."라고 말하며 집에서 핑크색 베개를 가져왔다고 한다. * 영크림과 심스는 처음 1, 2년 동안은 어색하다는 이유로 대화를 잘 하지 않았다고 한다. * MIB가 숙소 생활을 할 당시, 라이브 회의를 하기 전 날, 밤 중에 강남에게 직 재스퍼가 전화를 했는데 심스가 쓰러졌으니까 와달란 전화였다.그런데 쓰러진 이유가 심스가 들어와서 소주 한 병을 한번에 마셔서 (...).그래도 토하면서 자고 있던 심스를 직 재스퍼가 데리고 택시에 탔는데 이칠링이 구토를 참지못해 4번정도 멈추고 결국 택시 안에서 토를 했다고. 결국 직 재스퍼는 택시비를 많이 내고, 방(寮)까지 심스를 데려다 주었다고. * '너부터 잘해' 자켓 촬영 당시, 심스가 치과 치료로 이가 아파서 표정을 잘 짓지 못해서 '이 아픈 표정 밖에 안나왔다'며 아쉬워했다고 한다. ~~미안, 우린 몰랐어.~~ ~~표정에서 묻어나는 특유의 SWAG 때문에(...)~~ * 데뷔 초 인터뷰에 따르면 원래 정글엔터테인먼트에서 MIB를 기획할 땐 5명이었다고 한다. 소속사 대표가 강남을 부를때 '빅뱅처럼 되게 해주겠다'고 한 말을 미뤄보아 원래는 정글 엔터테인먼트 버전의 [[BIGBANG|빅뱅]]을 계획하고 만든듯 하다. * 그룹 결성에 대해 처음 이 사실을 안 직 재스퍼는 '자신이 하려던 음악과 맞지 않다' 생각해 이 그룹을 해야하나 고민을 했다고.하지만 [[비지(래퍼)|비지]]와 [[개리(래퍼)|개리]]와의 대화와, 대표님의 '음악은 너희 마음대로 해라'는 말에 다시 마음가짐을 고치고 그룹에 합류했다고 한다.[[http://music.daum.net/musicbar/musicbar/detail?menu_id=0&board_id=2470|#]][* 참고로 위의 내용과 중첩되는 부분이 있다.] * M.I.B 활동 시절, 강남이 일본 타워레코드에서 연재하던 칼럼 'M.I.B가 나가신다' 에서 심스가 한번 글을 쓴 것에 따르면, 직 재스퍼는 기분이 좋을 때 심스 앞에서 춤을 추기도 했다고. 참고로 이 칼럼에선 그룹에 대한 별의별 에피소드가 다 나와서 팬이라면 한번쯤 볼만하다. * 오사카에 공연을 갔다가 [[https://twitter.com/Zick_Jasper/status/467315337013116929|멤버 전체가 음식점에서 오승환 선수를 만나기도 하였다.]] * 에이핑크의 윤보미는 아직도 친분을 유지하고 있는 몇 안되는 동료 뮤지션 중 하나라고 한다. 보통 새로운 앨범이나 음원이 나왔을 때 홍보할 때 연락한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친절하게 받아준다고 한다. * 멤버들간의 불화설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여러번 해명했다. 직 재스퍼의 라이브 방송 도중 멤버들과는 다 잘 지내며 불화는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고, 영크림의 [밤이면] 방송 촬영도 강남이 직접 찾아와 응원을 했으며, 심스 또한 멤버들과의 불화는 사실이 아니며 27RING이라는 네임은 영크림이 짓는데 도움을 줬다고 밝혔다. * 마지막 앨범 정규 2집 [The Maginot Line] 을 만들 당시 멤버들 모두 상당히 지쳐있는 상태였다고 밝혔다. 뮤직뱅크 in 브라질 촬영 당시 해체를 논의했으며, 후에 멤버들이 강남에게 방송 촬영을 계속 유지할 것을 권유했으며 나머지 세 멤버들은 본인들 각자의 음악을 하겠다는 의견을 냈다고 한다. * 해체 직전 강남의 예능 출연으로 잘 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나머지 세 멤버들의 소식이 없자 강남에게 화살을 날리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그 때문에 강남이 굉장히 힘들다고 멤버들에게 털어놓았다고 한다. --버스터즈 중에는 없겠지?-- * -- 이칠링은 본인의 문서를 굉장히 잘 챙겨본다-- [[분류:대한민국의 보이그룹]][[분류:대한민국의 힙합 그룹]][[분류:4인조 음악 그룹]][[분류:2011년 데뷔]][[분류:2016년 해체된 음악 그룹]][[분류:해체된 아이돌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