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129}}}'''[br]''Launcher Grenade, 40mm, M129''}}}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129_profile 0.jpg|width=100%]]}}}|| || '''종류''' ||[[유탄발사기]] || ||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58년]]~[[1975년]] || || '''개발''' ||필코-[[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 || '''개발년도''' ||[[1963년]] || || '''생산''' ||필코-포드[br]메어몬트 || || '''생산년도''' ||[[1966년]]~[[1972년]] || || '''생산수''' ||최소 1,667정 || ||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 '''사용된 전쟁''' ||[[베트남 전쟁]] || ||<-2> {{{#White '''기종'''}}} || || '''파생형''' ||XM146[br]XM173[br]XM182 || ||<-2> {{{#White '''제원'''}}} || || '''탄약''' ||[[40×46mm]][br][[40×53mm]] || || '''급탄''' ||[[탄띠|탄띠식]] || || '''작동방식''' ||전기 [[모터]][br]수동 [[크랭크]] || || '''총열길''' ||419mm || || '''전장''' ||597mm || || '''중량''' ||19.5kg || || '''탄속''' ||260m/s || || '''발사속도''' ||분당 400~440발 || || '''최대사거리''' ||1,87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9Lvd3ucUBU)]}}} || || '''[[베트남 전쟁|1969년]] [[AH-1#단발형|AH-1G]]의 장탄 영상''' || M129는 [[https://en.wikipedia.org/wiki/Philco|필코]]-[[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사에서 개발된 [[미군]]의 [[40mm]] [[유탄발사기]]이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51(nose)_ah56a.jpg|width=100%]]}}} || || '''[[AH-56]]의 [[기수]] 하단에 달린 [[https://en.wikipedia.org/wiki/U.S._helicopter_armament_subsystems#UH-1_Iroquois|XM51]]''' || 1963년에 [[미합중국 육군]]의 [[헬리콥터]] [[https://www.aviatorsdatabase.com/wp-content/uploads/2013/07/US-Helicopter-Armament-Subsystems.pdf|무장 서브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채택된 [[유탄발사기]]인 [[M75 유탄발사기|M75]]는 동시기의 다른 기종들보다 사거리가 길어 지상에 [[스플래시 데미지|범위 공격]]을 가하는데 매우 유용했지만, 전기 [[모터]]로 빠르게 회전하는 드럼 캠(Drum Cam)이 [[포신]] 바로 위에 배치되어 [[토크]]로 인한 [[진동]] 문제가 심했기 때문에 개발사인 필코-포드 사에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재설계 작업이 함께 진행되었다. 그로부터 5년이 지난 1967년에 개발이 완료되면서 M129라는 정식 제식명을 부여받아 [[MD 500|OH-6A 카이유스]] 및 [[OH-58|OH-58A 카이오와]] [[정찰]] [[헬리콥터]]에 맞춘 [[https://en.wikipedia.org/wiki/U.S._helicopter_armament_subsystems#OH-6_Cayuse_.28and_MD_500_Defender.29|XM8 무장 서브시스템]]의 시험 운용을 거쳤으며, [[AH-1#단발형|AH-1G 코브라]] [[공격헬기|공격 헬리콥터]]의 [[https://forum.warthunder.com/index.php?/topic/428736-additional-historical-ah-1g-turret-options/&tab=comments#comment-7827828|M28 무장 서브시스템(TAT-141)]]에 자리를 잡고 [[베트남 전쟁]]에 널리 쓰이다가 [[M197]] [[기관포]]로 대체되었다. 그외에는 [[AH-56|AH-56A 샤이엔]] 공격 헬리콥터의 XM51 무장 서브시스템, [[P-2 넵튠|AP-2H 넵튠]] [[https://pimaair.org/museum-aircraft/lockheed-ap-2h/|야간공격기]]의 XM149 뿐만 아니라 [[캐딜락 게이지 코만도|M706]] [[장갑차]] 전용의[* 경쟁 상대로는 [[XM174]]가 있었다.] XM182로도 제시되었지만, 모두 성능 실험 수준의 소수 운용에 그쳤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129_operating.gif|width=100%]]}}} || || '''M129의 작동 모습''' || 기본적인 메커니즘은 바탕이 된 [[모터]] 구동식 [[M75 유탄발사기|M75]]와 같으면서도 [[원통]] 모양의 드럼 캠이 앞뒤로 왕복하는 [[포신]]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뒤로 재배치되면서 [[진동]]이 크게 줄어들어 부착시킬 수 있는 위치가 늘어났다. 또한 [[40×46mm|40×46mm 저속유탄]]과의 호환성도 갖추고 있어 지상 운용도 고려되었지만 실제로는 쓰이지 않았다. == 종류 == === M12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129_uh-1h.jpg|width=100%]]}}} || || '''[[UH-1|UH-1H]]의 [[https://en.wikipedia.org/wiki/U.S._helicopter_armament_subsystems#UH-1_Iroquois|XM94]]에 합쳐진 M129''' || [[M75 유탄발사기|M75]] 기반의 원형으로, 개발 초기부터 지적받아온 [[진동]] 문제가 크게 개선되면서 [[헬리콥터]]의 기수 부분에 국한되지 않고 출입구의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Xm94asm129.jpg|XM94 무장 서브시스템]]이나 외부 측면의 [[https://sobchak.wordpress.com/tag/xm8-subsystem/|XM8 무장 서브시스템]]에도 적용시킬 수 있게 되었다. === XM14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149(x8)_ap2h.jpg|width=100%]]}}} || || '''[[P-2 넵튠|AP-2H]] 동체 [[https://www.vpnavy01.com/websites/vah21/photographs/photo_41.jpg|하단]]의 [[https://medium.com/war-is-boring/the-u-s-navy-sent-submarine-hunters-to-fight-a-land-war-in-vietnam-48a049afb037|XM149]] ''' || [[미합중국 해군]]의 [[https://en.wikipedia.org/wiki/AN/APG-76|AN/APQ-92]] 등을 비롯한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aircraft/ap-2h.htm|TRIM]]([[호찌민 루트]] 차단용 센서, Trails Roads Interdiction Multi-sensor) 장비가 달린 [[P-2 넵튠|AP-2H 넵튠]] [[공격기]]의 탑재형으로, 동체 하단에 M129 8정이 총안구에 달려 보조 화력용도로 쓰였다. === XM17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129-tripod_unknown 0.jpg|width=100%]]}}} || || '''[[https://en.wikipedia.org/wiki/M3_tripod|M3]] [[삼각대]]와 결합된 수동식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mk19-variants.htm|XM173]]''' || 비슷한 시기의 [[Mk.18 유탄발사기|XM172]]처럼 사람의 힘으로 돌아가는 [[크랭크]] 손잡이가 달린 지상 거치형으로, [[노리쇠#API 블로우백(전진격발)|발화진각 블로우백(API Blowback)]] 방식으로 자동 발사가 가능한 [[Mk.19 고속유탄발사기|Mk.19]]에 밀려 채택되지 못했다. === XM18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182_m706.webp|width=100%]]}}} || || '''[[캐딜락 게이지 코만도|M706]]의 [[포탑]]에 결합된 XM182''' || [[캐딜락 게이지 코만도|M706]] [[수륙양용차|수륙양용]][[장갑차]] 등의 차량 탑재형으로, 상술된 XM94 무장 서브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직접 조작이 가능한 스페이드형 손잡이가 추가되었으나 양산되지 않았다. == 출처 == *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aircraft/systems/m129.htm]] * [[https://guns.fandom.com/wiki/M129_grenade_launcher]] * [[https://en.wikipedia.org/wiki/M129_grenade_launcher]] * [[https://wiki.warthunder.com/M129_(40_mm)]] * [[http://pewpewpew.work/usa/gl/m75m129/m75m129.htm]] * [[https://www.google.co.kr/books/edition/Department_of_Defense_Provisioning_and_O/ViCIMrAH91MC?hl=ko&gbpv=1&dq=M75+40mm+grenade+launcher+manual&pg=RA7-PA12&printsec=frontcover]]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베트남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유탄발사기]][[분류:보병 무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