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M16 소총)] ||<-2>
{{{#white '''{{{+3 M16A3}}}'''[br]''Rifle, Caliber 5.56 mm, M16A3[br]M16A3 돌격소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16a2_sheet 0.jpg|width=100%]]}}}|| ||<-2><:> {{{#000,#ddd {{{-1 '''콜트 모델 646'''[br]개량형[* 자동사격 추가. M16A3의 원형 모델인 M16A2(콜트 모델 645)도 외관은 동일하다.] / M16A3}}}}}} || || '''종류''' ||[[돌격소총]] || ||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미합중국 해군|[[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width=23]]]][br][[1994년]]~현재 || || '''개발''' ||[[유진 스토너]] || || '''생산''' ||[[콜트(총기회사)|콜트 매뉴팩처링]][br][[FN 에르스탈]] || || '''생산년도''' ||1992년 || ||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br][[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3]] [[이스라엘]] || ||<-2> {{{#white '''기종'''}}} || || '''원형''' ||[[AR-15]][br][[M16 소총|M16]][br][[M16A2]] || ||<-2> {{{#white '''제원'''}}} || || '''탄약''' ||[[5.56×45mm NATO]] || || '''급탄''' ||20, 30발들이 [[STANAG 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직동식]], 회전 노리쇠 방식 || || '''총열길이''' ||508mm || || '''전장''' ||1,002 mm || || '''조준 반경''' ||500mm || || '''중량''' ||3.52kg(탄창 미포함)[br]3.98kg(30발들이 탄창 포함) || || '''강선''' ||7인치에 1회전 || || '''발사속도''' ||700~900RPM || || '''탄속''' ||875m/s || || '''유효사거리''' ||550m || || '''최대사거리''' ||36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m16a3_usn 0.jpg|width=500]] [[파일:qT57LRS.jpg|width=500]]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에서 별도로 발주한 자동발사형 M16A2인 모델 646과 모델 941[* M16A4와 동일하게 피카티니 레일 플랫탑 +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나이츠(KAC)]] 사의 M5 [[Rail Integration System|RAS]] 사양으로 개조/생산된 모델.]으로, 1992년부터 M16A1 HBAR의 총열로 교체된 M16A2E3가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 [[네이비 씰]]의 시험 운용을 거쳐 1994년에 정식 도입되었다. 이는 주로 미 해군 [[미합중국 해군/공병|공병대대(NMCB, Seabee)]][* 미 해군의 공병병과(Civil Engineer Corps) 일선 부대들은 함대나 미 해병대 부대에 대대 단위로 배치되므로 공병대대(Construction Battalion)이라고 불리며, 약어인 CB의 발음과 유사한 Seabee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공병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전투]][[공병]] 역할까지 하는, 거의 미 해병대에 버금가는 전투부대로 분류된다.]와 일부 함상 사격훈련용으로 운용되고 있다. == 상세 == [[파일:m16a2e3 0.jpg|width=500]] [[파일:external/forum.valka.cz/M16A3.jpg|width=500]] 자동발사 방식으로 개조하는 과정 자체는 [[콜트(총기회사)|콜트]] 사에서 맡았음에도 불구하고 생산과 관련된 계약은 [[FN 에르스탈|FN]] 사와 맺어졌기 때문에 시험형 M16A2E3과는 달리 양산형 M16A3의 아래총몸에는 FN 사 고유의 각인이 새겨져 있다. [[파일:m16a2e3_idf 0.jpg|width=500]] M16A2E3는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과 [[네이비 씰]] 이외에도 [[이스라엘군|이스라엘 방위군(IDF)]]에 수출되어 일부 특수전 부대의 [[지정사수소총|DMR]]으로 운용되기도 하였다. 위 사진이 IDF의 운용 사진. 즉 [[M16A2]]가 도입된 시기에 처음부터 완전자동 기능을 되돌려서 생산한 소수의 모델이 M16A3인데, 콜트 사에서 민수용으로 같은 이름의 총기를 출시하는 바람에 M16A3가 [[피카티니 레일]]을 운반손잡이 부분에 부착하여 운반손잡이를 분리할 수 있는 총이라고 잘못된 정보가 퍼져 있다. 바로 MIL-STD-1913 모델과 MIL-R-71135 모델이 [[피카티니 레일]]을 운반손잡이 부분에 부착한 M16A3라고 하지만, 피카티니 레일의 미군 정식 명칭이 MIL-STD-1913이다. 그러니까 이런 번호를 받은 총은 없다. 사실 1994년부터 보급된 A3에 1995년 2월 3일에 MIL-STD-1913라는 제식명으로 채택된 피카티니 레일이 달릴 틈이 없다. 그리고 피카티니 레일이 부착된 M16은 피카티니 레일이 제식 표준이 되고 난 후인 2002년부터 M16A4가 미 해병대로 보급된 것이다. 그러면 MIL-R-71135는? 이것은 [[M16A2]]에서 3점사 기능을 자동사격으로 바꾸고 M16A2와 동일하게 고정형 운반손잡이를 쓰는 M16A2E3를 가리키는데 그게 바로 M16A3이다. == 파생형 == === M16A3 (모델 941) === [[파일:m16a3_usn 1.jpg|width=500]] [[M16A4]]의 윗총몸에 기존의 M16A1 또는 M16A3의 아랫총몸이 조합된 형태도 발견되기도 하는데, 특히 주 운용처라 할 수 있는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 공병대대(NMCB)에서 쓰이는 대부분의 M16A3는 2017년을 기준으로 [[피카티니 레일]]이 적용된 플랫탑 윗총몸과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나이츠(KAC)]] 사의 M5 RAS [[총열덮개]]가 적용되어 있다. [[https://www.dvidshub.net/image/3236600/field-training-exercise-2017|참조.]] 이런 형태로 개조/생산된 M16A3의 콜트 사내 모델명은 모델 941이며, 기존 M16A3와는 다른 별도의 NATO 재고번호(1005-01-357-5112)를 갖고 있다.[* 기존 M16A3의 재고번호는 1005-01-3'''6'''7-5112이다.] 이 모델 역시 여전히 [[FN 에르스탈|FN]] 사가 생산하고 있다. === M16A3 LMG === [[파일:c7a1-lsw_danish 0.jpg|width=500]] 콜트 사와 디마코 사(현 콜트 캐나다 사)가 별도로 개량한 C7A1 LSW의 [[캐나다군]] 제식명을 가진 모델 950으로, 엘칸 사(현 [[레이시온]] 사)의 C79 저배율조준경의 부착을 위해 위총몸이 평평해지는 동시에 [[총열]]이 아닌 [[총열덮개]] 앞부분 하단에 양각대가 추가되었다. [[https://firearmcentral.fandom.com/wiki/CS/LM11|중국산 복제품]]도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이스라엘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include(틀:스토너 계열 총기)]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16 소총, version=1144, paragraph=)] [[분류:돌격소총]][[분류:자동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미군/화기]][[분류:이스라엘군/장비]][[분류:M16 소총]][[분류:콜트(총기회사)]][[분류:FN 에르스탈]][[분류:1992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