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미국 기갑차량)] [[파일:external/data3.primeportal.net/m44_spg_43_of_68.jpg]] [목차] == 개요 == [[M41 워커 불독]] 경전차의 차체에 [[M114 155mm 곡사포]]를 주포로 탑재한 [[자주곡사포]]다. == 개발 == 미군은 2차대전 종전 후인 1946년부터 [[M24 채피]] 기반의 [[M41 HMC]]를 대체할 신형 경형 자주포를 기획하고 있었는데, 1940년대 말부터 T37[* T37의 두번째 프로토타입이 이후 T41로 재명명되어 워커 불독의 개발로 이어졌다.]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되던 [[M41 워커 불독]]의 차체를 활용하여 T98과 T99 자주포를 개발하는게 결정되었다. T98과 T99 자주 곡사포는 모두 155mm T97 곡사포로 무장하였으며, 주포는 좌우 30도, 65도 올림, 5도 내림에 해당하는 포각을 갖출 계획이었다. 또한 승무원과 실내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완전히 장갑으로 보호된 폐쇄형 전투실을 갖출 예정이었다. 이중 T99의 개발이 1947년에 허가되어 T99의 시제차가 만들어졌다. T98의 경우 [[M52 SPH]]의 개발로 이어졌다. 그러나 1950년 6월에 [[6.25 전쟁]]이 발발하였고, 미군은 6.25전쟁이라는 비상사태가 발생하자 T99를 비롯한 여러 무기 프로젝트의 개발 속도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에서 T99도 동시 다발적으로 차체와 포를 T41E1과 T97E1으로 교체한 개선형 T99E1이 나와서 250대 만들어지는 등 빠르게 개발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빠르게 개발을 진행한 결과 여러가지 신뢰성 문제가 발견되었는데, 이미 생산된 250대의 T99E1 차량에서 주포 발사시 장약에 의한 유독가스가 전투실 내부로 배출된다는 문제가 발견되면서 채택이 거부되었다. 결국 엔지니어들은 T99E1 차량들에서 지붕만 개방하여 완전 밀폐형 전투실을 포기하고 개선한 주포를 장착한 개량형 차량 'T194E1'을 만들어서 문제를 해결했으며, 이후 이 차량들은 M44라는 제식명칭을 받기는 했지만 개발이 지연되는 바람에 한국전쟁에 사용되지는 못했다. == 성능 및 제원 == '''M44 self propelled howitzer''' (M44 Howitzer) * 중량 : 29.0t * 전장 : 6.16m * 전폭 : 3.24m * 전고 : 3.11m * 승무원 : 5명 (차장, 운전수, 포 조작원 3) * 주무장 : [[155mm]] 23구경 [[M114 155mm 곡사포|M114]] 곡사포 * 최대사거리:14km * 발사속도:2발/분 * 포각도:좌우 각 약 30。, 부앙 +65~-5도 * 부무장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 엔진 : 콘티넨탈 AOS-895-3,5 가솔린 500hp * 현가장치 : [[토션 바]] * 항속거리 : 130km * 속력 : 56km/h (2?km/h 야지) * 개발년도 : 1951년 * 생산량 : 250 ~ 600대 == 특징 ==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 후 미국은 국방비를 대폭 삭감하고, 남은 예산마저 핵병기 개발이나 전략 공군 확장에 분배되게 된다. 거기에다 대전차병기의 진보에 의한 향후 전차의 전투능력에 대한 불신, 군수 산업의 민수 이행 등 미국의 전차 개발에 있어 큰 역풍의 시대에 돌입하게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T-34-85]] 중형전차, [[IS-3]] 중전차등 소련의 전차체계에 대해 [[M24 채피]], [[M4 셔먼]] 중형전차, [[M26 퍼싱]] 중전차 등의 미국식 전차체계로는 충분히 대항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해져 새로운 전차체계의 정비가 시급해진다. 이러한 복잡한 상황속에서 결국 1952년에 신형 경전차 [[M41 워커 불독]]이 정식 채택되게 된다. 이 신형 경전차는 이후 베스트셀러 경전차로서 서방 국가들 사이에서 널리 중용되었고 밸런스가 잡힌 차체 설계를 기본으로 엔진 레이아웃이나 주행 장치를 개수하면서 2연장 40mm 자주대공기관포 M42, 105 mm 자주곡사포 M52, 203mm 자주곡사포 M53, 155mm 자주직사포 M55 등 많은 계열전투차량들이 탄생하게 된다. 그중의 하나가 155mm 자주곡사포 M44이다. M44의 경우 이전에 [[M24 채피]]를 기반으로 제작한 [[M37 HMC]]와 같이 좌우 포각이 상당히 넓으며, M41 경전차의 역방향으로 상부를 설계해서 차체 전면이 M41 경전차의 후면쪽으로 되어있다. 이 경우 조종수가 자주포 전방에 있지 않아서 차체 상부에 배치되지만, 무게 중심이 알맞게 유지 되어 포의 안정성과 차체 균형이 좀 더 잘 잡히게 되었다. 전투실 후면은 이중 구조로 이루어졌는데, 아래로 개방되는 외측 장갑과 안쪽에 있는 좌/우 개방식 도어쌍으로 이루어졌다. 외부의 장갑은 사격할때 아래로 전개되어 승무원들이 서있는 발판 역할을 한다. 안쪽의 좌/우 개방식 도어쌍은 탄약고 도어 역할도 한다. 1960년대까지 미군이 운용했으며, 미국 이외에도 서독, 그리스, 영국, 터키 등 [[NATO]] 회원국가들에게 수출되었다. 일본에도 M44A1 10대가 1960년대 중반에 유상 공여되어 [[자위대]]에서 1980년대까지 운용했다. == 파생형 == * M44A1: [[M41 워커 불독|M41A1 전차]]처럼 엔진을 컨티넨탈 AOS-895-6으로 교체한 버전. 항속거리가 75마일에서 82마일로 늘어났다. === M44T === [[파일:external/i123.photobucket.com/m44t1_001.jpg]] 터키에서 155mm 39구경 포로 교체한 버전. 조종수석이 전면 쪽으로 옮겨져 주행하기가 한결 쉬워졌다. == 실전 == == 운용국 == == 매체에서 == * [[월드 오브 탱크]] [[파일:external/wiki.gcdn.co/M44_scr_2.jpg]] 월드 오브 탱크에서 [[월드 오브 탱크/미국 테크 트리/자주포|미국 6티어 자주포]]로 등장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베트남전/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일본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독일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자주곡사포]][[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미군/기갑차량]][[분류:자위대/기갑차량]][[분류:독일 연방군/기갑차량]][[분류:튀르키예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