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M48 패튼)] [목차] == 개요 == [[M48 패튼]]의 운용귝을 정리한 문서. == [[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미국]] ==== ||
[[파일:AAF_Tank_and_Ordnance_War_Memorial_Museum_M48A5.jpg|width=100%]] || || '''AAF 전차 및 병기 전쟁 기념 박물관 소장 M48A5''' || 원조 사용국. == [[유럽]] == === [[중부유럽]] === ==== [[독일]] ==== ||
[[파일:M48_A2_G_A2_(25379257808).jpg|width=100%]] || ||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독일 국방군 소속 mKPz M48A2 GA2''' || 미군이 1955년부터 M48 전차를 운용하기 시작하여 이어서 [[서독]]은 1957년 M48A1을 '''"mKPz M48"'''이라는 제식명으로 도입하였다. 이 전차는 AV-1790-7C 가솔린 엔진을 장착 출력 810 hp에 최대속도 45km/h, 항속거리는 115km에 불과했다. 1959년부터 M48A2와 A2C형이 도입된다. 개량된 AVI-1790-8 엔진을 장착, 출력 825 hp이고 연료탱크 증설을 위해 조금 개량되어 항속거리가 250km로 증가하였고 최대속도는 51.5 km/h 였다. ==== [[폴란드]] ==== M48 기반 지뢰제거차량 4대를 독일에게 받았다. === [[서유럽]] === ==== [[벨기에]] ==== === [[북유럽]] === ==== [[노르웨이]] ==== ||
[[파일:Norwegian_M48A5.webp|width=100%]] || || '''노르웨이 육군 소속 M48A5''' || 총 38대를 운용했으며, 현재는 전량 퇴역했다. === [[남유럽]] === ==== [[그리스]] ==== ==== [[스페인]] ==== == [[아시아]] == === [[동아시아]] === ==== [[대한민국]] ==== ||
[[파일:M48A2C.jpg|width=100%]] || || '''전쟁기념관 소장 대한민국 국군 소속 M48A2C'''[* 현재는 [[M48A3K / A5K|M48A5KW]]도 같이 전시되어있다. 왼쪽에 전시된 것은 [[M56 스콜피온]]] || ==== [[중화민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48_taiwan_island.jpg|width=100%]]}}} || || '''베이간 섬 야외 전시 중화민국 육군 소속 M48A1 개량형'''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베트남 공화국과 베트남 민주공화국을 분할하여 설명한다. ===== [[베트남 공화국]] ===== ||
[[파일:War Remnants Museum M48 Patton.jpg|width=100%]] || || '''호치민 전쟁 박물관 소장 베트남 공화국 육군 소속 M48A2''' ||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시기 미국으로부터 다수를 공여받아 주력 전투 차량 중 하나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당시 미약한 베트남 공화국 육군의 사기와 더불어 여러 악수가 겹쳐 부활절 공세 기간 동하 강에서의 공세를 좌절 시킨 것 이외에는 꾸준히 패퇴를 거듭하였고, 1975년 남월정부 멸망 이후 잔존차량 전량 북월군에 편입되어 사용되었다. ==== [[베트남 민주공화국]] ==== ||
[[파일:Viet_nam_war_museum_Saigon_M48_patton.jpg|width=100%]] || || '''사이공 전쟁 박물관 소장 베트남 인민군 노획 M48A3''' || ==== [[태국]] ==== === [[서아시아]] === ==== [[이스라엘]] ==== ||
[[파일:2016_IDF_History_Museum_HDR_Telaviv_M48_patton.jpg|width=100%]] || || '''이스라엘 국방군 역사 박물관 소장 마가크''' || || [[파일:external/data.primeportal.net/Magach_3_006.jpg|width=100%]] || || '''마가크-6''' || 구매한 차량, 요르단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등을 운용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가크 전차, 문단=2)] ==== [[이라크]] ==== ==== [[요르단]] ==== ||
[[파일:Jordan_royal_tank_museum_M48.jpg|width=100%]] || || '''왕립 전차 박물관 소장 요르단 육군 소속 M48 패튼''' || 1965년에서 1966년 사이 미국으로부터 초기형 M48 다수를 구매하여 일선 전력으로 배치해 6일 전쟁 당시 사용하였다. ==== [[레바논]] ==== ||
[[파일:Lebanese_M48A5.jpg|width=100%]] || || '''레바논 육군 제1기갑연대 소속 M48A5, 2014년 8월 3일''' || 미국으로부터 M48A5PI형을 다수 공여받았다. ==== [[튀르키예]] ==== ||
[[파일:Turkey_M48A5_patton.jpg|width=100%]] || || '''열병식 참가 튀르키예 육군 소속 M48A5''' || === [[남아시아]] === ==== [[파키스탄]] ==== [[M47 패튼]]과 더불어 M48 패튼의 주요 운용국 가운데 하나이다.[[http://blog.daum.net/pzkpfw3485/2249331|#]] 잘 안알려져 있지만 [[카길 전쟁]]과 같이 인도와의 국경분쟁에서 잘 써먹었고 그 와중에 [[인도군]]의 [[T-55]]나 [[센추리온 전차]]들과 맞장 뜬 경력도 상당하다고 한다. 오죽 많이 운용했으면 아보타바드[* [[오사마 빈 라덴]]이 숨어 있다가 발각되어 [[미합중국 해군특수전개발단|DEVGRU]]에게 사살당한 그 곳이다.]에 위치한 파키스탄 육군사관학교의 정문 앞에 파키스탄 육군의 상징으로 때 빼고 광 낸 전시용 M48 패튼을 가져다 전시해 놓을 정도다. 이 외에도 [[블랙 호크 다운]]으로 알려진 [[모가디슈 전투]] 당시에도 [[모가디슈]] 시내에 남아 있던 [[제75레인저연대]]와 [[델타 포스|제1특전단 델타분견대]], [[미합중국 해군특수전개발단]][* 당시 델타포스의 1개 팀이 결원이 생겨서 대신 이들이 보내졌다고 한다. 델타포스와 DEVGRU는 팀원부족 등의 사유가 발생하면 서로 지원을 해준다. 이 작전엔 DEVGRU 소속 5명 1개팀이 참가했다. 이때 [[에릭 올슨]] 대령이 은성무공훈장을 받았다고 한다.] 병력들의 모가디슈 탈출을 엄호하는데에 대활약을 했다고 한다. 영화에서는 돈 문제로 안타깝게 [[말레이시아군]] 소속의 [[VAB]] 장갑차[* 실제 말레이시아군은 VAB 장갑차를 운용하지 않는다]가 활약한 것으로 나오지만[* 장갑차 임대료가 훨씬 저렴했다.] 실제로는 [[파키스탄군]]의 M48 패튼이 대활약을 했다고 알려져 있다. ==== [[인도]] ==== ||
[[파일:Cavarly_Tank_Museum_M48_patton.jpg|width=100%]] || ||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M48 패튼''' || 1965년에 발발한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1971년에 발발한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 파키스탄군의 M48 패튼을 노획했다. == [[아프리카]]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
[[파일:An ex-Israeli M48 captured by Egypt during the Yom Kippur War in 1973.jpg|width=100%]] || || '''카이로 시타델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M48 패튼'''[*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당시 이스라엘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이다.] || 욤 키푸르 전쟁 당시 이스라엘군으로부터 노획했다. ==== [[튀니지]]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48 패튼, version=1188)] [[분류:M48 패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