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군 용어]][[분류:항공]][[분류:미네소타 주]][[분류:미국의 쇼핑몰]][[분류:필리핀의 기업]]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팬클럽, rd1=MOA(투모로우바이투게더))] [목차] == 각도 == {{{+1 '''M'''inute '''o'''f '''A'''ngle(MOA)}}} 각도의 60분법으로 분을 나타낸다. 더 작은 단위로는 Second of Arc가 있다. 도-분-초 에서 '초'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MOA를 60분할 한다. === 총기의 명중률 === 총기의 명중률을 MOA 단위로 표현하기도 한다. 명중률이 중요한 장거리 교전을 상정하는 [[저격소총]]이나 [[지정사수소총]]의 명중률을 표시할 때 자주 사용한다. 1MOA, 즉 1분의 각도 오차는 100야드 거리에서 1인치(정확히는 1.047″)의 오차(Spread)가 된다. 총기 명중률을 나타낼 때 1 MOA는 100야드 거리에서 지름 1인치의 원 안에 탄착군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명중률의 단위로서 사용하는 MOA 수치는 작을수록 탄착군이 좁아 명중률이 높다. [[파일:moa.jpg]] MOA 단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링크 참조. [[https://nwsportsmanmag.com/how-to-understand-minute-of-angle/|How to Understand Minute of Angle]] 이는 총열의 정밀성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오차이기 때문에 동일한 지점을 조준하더라도 MOA 값이 있는 이상 동일한 곳에 총알이 명중하지 않는다. 총기 제조업체에서는 아예 프레스로 총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총알을 발사해 MOA 값을 측정하는데, 단단히 고정되어 단 1 mm도 움직이지 않는 총기에서도 MOA 값에 따라 총알이 원형으로 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당연히 MOA가 작은 총기의 가격은 그 차이에 비해 가격이 훨씬 더 비싸다. 예를 들면 한국의 제식소총으로 일반 부대에서 사용하는 [[K2 소총]]의 MOA는 4.9인 반면[* 100야드 거리에서 사격하면 4.9인치(12.6cm)의 원 안에 총알이 전부 들어간다.] [[해군 특수전전단]]에서 사용하는 [[H&K HK416]]의 MOA는 모델에 따라 상이하지만 2.0 내외로 나타난다. 같은 돌격소총이지만 오히려 총열이 훨씬 짧은 HK416의 기계적인 명중률이 5배 이상 높으며,[* MOA 차이는 3이지만 탄착군 원의 넓이(r²π)로 명중률을 비교해야한다.] 총기의 가격 또한 5배 가깝게 차이가 난다. 국군 [[K14 저격소총]]은 800 m 거리까지 1 MOA의 명중률이 유지된다. 이걸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800m 거리에서 약 지름 8.8인치, 22.3cm의 원 안에 탄이 모두 명중하는 것으로, 대략 사람의 머리까지 노릴 수 있는 정도이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eobee1204&logNo=220697684537&proxyReferer=https%3A%2F%2Fm.cafe.naver.com%2Ffpsgame%2F3271741|참고 문헌]] == 군 작전 구역 (Military Operation Area) == [[파일:PEN-MOA.jpg|width=600]] 한반도에 설정된 MOA 공역. [[http://www.molit.go.kr/atmo/USR/WPGE0201/m_37004/DTL.jsp|공역(Airspace)]]의 구분 중 하나로, 군사작전을 위하여 설정된 공역으로서 [[계기비행]] 항공기로부터 분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공역을 말한다. 항공기의 비행 시 조종사의 특별한 주의·경계·식별 등이 필요한 공역인 '주의공역'으로 분류된다. == 약어 == [[미국]] [[미네소타]] [[블루밍턴]]에 있는 쇼핑몰 '몰 오브 아메리카('''M'''all '''o'''f '''A'''merica)'의 약자. [[필리핀]]에 있는 쇼핑몰 '몰 오브 아시아('''M'''all''' o'''f''' A'''sia)'의 약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