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TR의 노선)] ||<-2><)>[[MTR|[[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height=24&align=left]]]][[MTR(기업)|{{{#FFFFFF '''홍콩철도유한공사'''}}}]]|| ||<-2><:>{{{#!wiki style="margin: -10px -10px" ||<:>{{{#ffffff {{{+1 MTR 쿤통선}}}[br]港鐵觀塘綫[br]MTR Kwun Tong Line}}} ||}}} || ||<-2><:>[[파일:kwuntongcrrc.jpg|width=100%]] ---- [[MTR CRRC 쓰팡 전동차]] || ||<-2> {{{#ffffff,#000000 '''노선 정보'''}}} || || '''분류''' ||[[지하철]] || || '''기점''' ||[[왐포아역]] || || '''종점''' ||[[티우켕렝역]] || || '''역 수''' ||17 || || '''개업일''' ||[[1979년]] [[10월 1일]] || || '''사용차량''' ||[[MTR 메트로카멜 직류형 전동차]][br][[MTR CNR-창춘 전동차]][br][[MTR CRRC 쓰팡 전동차]] || || '''차량기지''' ||까우룽베이차량기지 || ||<-2> {{{#ffffff,#000000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18.4㎞ || || '''궤간''' ||1,435㎜([[왐포아역]] ↔ [[야우마테이역]])[br]1,432㎜([[야우마테이역]] ↔ [[티우켕렝역]])[* 두 구간의 궤간이 미묘하게 다르지만 차이가 겨우 3mm라서 진짜 [[표준궤]]인 전자 뿐만 아니라 후자 역시 준표준궤로 치며 실제로 여기서 굴리는 차량도 표준궤와 호환된다. ] || || '''선로구성''' ||전 구간 [[복선]][* 단, [[왐포아역]]은 단선.] || ||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최고속도''' ||80㎞/h || || '''표정속도''' ||80㎞/h || || '''지상구간''' ||[[까우룽베이역]] ↔ [[쿤통역]] || || '''통행방향''' ||우측통행[*우측통행구간 [[왐포아역]] ↔ [[몽콕역]]][br]좌측통행[*좌측통행구간 [[몽콕역]] ↔ [[티우켕렝역]]] || || '''개통 연혁''' ||1979. 10. 1. [[섹깁메이역]] ↔ [[쿤통역]][br]1979. 12. 16. [[침사추이역]] ↔ [[섹깁메이역]][* 단, [[몽콕역]]과 [[야우마테이역]]은 미개통. 이후 [[침사추이역]] ↔ [[야우마테이역]] 구간은 [[췬완선]]으로 편입][br]1979. 12. 22. [[야우마테이역]][br]1979. 12. 31. [[몽콕역]][br]1980. 2. 12. [[센트럴역(홍콩)|센트럴역]] ↔ [[침사추이역]][* 이후 [[췬완선]]으로 편입][br]1982. 5. 10. [[프린스에드워드역]] 환승승강장[br]1982. 5. 17. [[프린스에드워드역]][br]1989. 8. 6. [[쿤통역]] ↔ [[쿼리베이역]][* [[야우통역]] ↔ [[쿼리베이역]]은 이후 [[정관오선]]으로 편입][br]1989. 10. 1. [[람틴역]][br]2001. 9. 27. [[쿼리베이역]] ↔ [[노스포인트역]][* 이후 [[정관오선]]으로 편입][br]2002. 8. 4. [[야우통역]] ↔ [[쿼리베이역]][br]2002. 8. 18. [[야우통역]] ↔ [[티우켕렝역]][br]2016. 10. 23. [[왐포아역]] ↔ [[야우마테이역]] || ||[youtube(l3AFWsj8HYM)]|| || {{{#white '''전구간 주행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MTR(기업)|홍콩철도 유한공사]]가 운영중인 [[MTR|MTR]]의 노선들 중 하나인 쿤통선(觀塘綫)은 [[중국]] [[홍콩]]특별행정구에 있는 [[야우침몽구]] 홍함 택지지구 내 [[왐포아역]](黃埔站)[* [[상하이]]의 황푸 강과는 무관하고, [[홍함역]] 및 [[홍콩이공대학]]과 붙어 있는 홍함의 고급 택지지구다. 원래 [[일본인]]들이 주로 살았고, 나중에 반환 후에는 대륙 부자들도 들어와 살며 구룡의 부촌으로 떠올랐다. 구룡에 사는 한국 교민들은 이 곳 왐포아와 역시 부촌으로 국제학교가 즐비하여 아이 교육에 좋은 까우룽통에 주로 살고 이스트침사추이에서 일한다.]에서 사이쿵구 정관오 신도시의 [[티우켕렝역]](調景嶺站) 간 [[구룡반도]] 내 구간을 동서로 연결하는 지하철 노선이며 노선색은 녹색이다. 왐포아역을 지나, [[췬완선]]과 함께 [[야우마테이역]] - [[몽콕역]] - [[프린스에드워드역]]을 달리다 갈라져서, 신구룡 중동부의 주택지구들을 지나 쿤통 지역을 거쳐 [[정관오선]]의 [[야우통역]]과 [[티우켕렝역]]까지 간다. == 노선 정보 == ||<:>[[파일:MTR_IMSMap.jpg|width=540]]|| ||<:> {{{#ffffff ▵ 1979년/1980년 개통 구간을 포함한 초기 쿤통선 노선도.}}}|| [[1979년]] 개통한 '''최초의 [[MTR|홍콩 지하철]]'''이라는 타이틀을 지니고 있는 유서 깊은 노선이며[* [[홍콩 지하철]] 선로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910년]]에 개통한 [[동철선]]이지만, 그것은 지하철이 아닌 간선철도 목적으로 개통한 것이고 순수한 [[지하철]] 목적으로 개통한 노선은 이 쿤통선이 최초이다.], 개통 당시부터 [[1982년]]까지는 "Initial Modified System"[* 굳이 번역하자면 초창기 변형노선쯤 되겠다.]이라는 이름으로 쿤통에서 출발하여 [[구룡반도]] 중부 자운산과 카우룽통, 섹깁메이를, 그리고 몽콕을 거쳐 침사추이 그리고 빅토리아 하버를 가로지르는 [[해저터널]]로 [[홍콩 섬]] 센트럴역까지 달렸다.[* 당시는 채터(Chater)역으로 불렀다. 역명 유래는 역 위로 지나가는 도로인 차터 로드(Chater Road)] 이 직행노선의 일부인 [[몽콕역]] - [[센트럴역(홍콩)|센트럴역]] 구간은 [[1982년]] [[4월 26일]]에 [[췬완선]]으로 분리 개통되어 췬완선으로 변경되고, 쿤통선은 야우마테이에서 타절했으나, 대신 [[1989년]] 이스턴하버 터널 개통과 동시에 [[쿤통역]]을 넘어 이스턴하버 터널과 나란히 놓인 선로를 따라 바다를 건너는 [[람틴역]]-[[쿼리베이역]]간 구간을 개통함으로서 초창기 이후로 다시 한번 바다를 건너는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파일:MTR_Map_1990s.jpg|width=540]]|| ||<:> {{{#ffffff ▵ 쿼리베이역과 람틴역 개통 후의 쿤통선. 뚱충선과 공항선이 있는 것으로 보아 1998년과 2001년 사이로 추정된다.}}}|| 하지만 쿼리베이역은 [[홍콩섬선]]과의 평면환승이 안 되었다. 이로 인해 혼잡도가 올라갔고, 뉴스에서도 수차례 언급될 정도로 쿼리베이역은 말 그대로 터져나갔다. 이로 인해 운영사인 [[MTR(기업)|MTR]]은 혼잡도 완화를 목적으로 [[2001년]]에 [[노스포인트역]]까지 끌어와서 평면환승을 가능하게 했다.[* 물론 그 이전부터 계획하기는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모로 오래되기도 했고, 그 탓에 고질적인 문제였던 혼잡도에 비해 턱없이 비좁은 일부 역의 승강장[* 주로 도로 한가운데에 설치된 지상구간의 고가역들의 문제였다.] 등 사실상 이 혼잡도 해결 문제가 해결방법이 거의 없다 판단했는지, 이스턴하버 터널 구간을 새 노선인 [[정관오선]]으로 치환하고, 대신 쿤통선은 [[람틴역]]에서 [[야우통역]]으로 빠진 뒤 [[티우켕렝역]]에서 종착하게 함으로서 종점 두 역을 정관오선과 병행하는 현재의 구조가 되었다. 이 이후로도 연결은 되어 있는데, 실제로 2023년 9월 7일 밤새 내린 폭우로 [[웡타이신역]]이 침수되며 운행계통을 두개로 쪼갰는데, 초이훙 - 티우켕렝 구간 일부 열차를 정관오선 포람 방면으로 직결해서 운행하는 모양. 실제로 이에 대비한 운행패턴도 열차 출입문 상단 전자노선도 및 디스플레이에 표출되게끔 준비되어 있다. 쿤통선은 [[구룡반도]] 구간만 지나간다. 선형이 쪽으로 뻗는 직선이 아닌 순환선이 될듯 말듯한 반원현과 같은 구조인데, 이는 쿤통선 계획을 세울 당시 [[영국령 홍콩]]을 통치하는 [[영국]] 중앙정부에서 [[홍콩 섬]]과 [[구룡반도]] '''신구룡'''이라 부르던 [[신계(홍콩)|신계]] 남부[* 췬완, 콰이충, 칭이 섬, 샤틴 등 빨간 택시가 영업하는 신계 남쪽 지역들과 구 [[카이탁 국제공항]]이 있던 구룡반도 외곽 바운더리 스트리트 이북을 이르는 명칭이다. 이 지역들은 도심용 택시가 진입하며 도심의 연장으로 보았다.]는 어떻게든 [[식민지]]로 유지하려 했기 때문이다. 사실 [[신계(홍콩)|신계]]는 99년 [[조차지]]라서 [[1997년]] [[중국]]에 돌려줘야 했지만[* 이 "[[중국]]"도 [[대만]]에 있는 [[중화민국]]인지 [[1949년]] [[10월 1일]] 건국된 [[중화인민공화국]]인지를 놓고 [[영국]] 정치권 내에서 논쟁이 상당했다. "중화인민공화국과 협상한다"는 결정이 나온 것은 [[1973년]]이었다.] [[홍콩 섬]]과 [[구룡반도]] 그리고 신구룡만큼은 어떻게든 가지려고 애를 썼다. 그 덕에 최초 [[MTR|홍콩 지하철]]을 만들 때에는 [[신계(홍콩)|신계]]로 [[지하철]]을 보내는 것을 매우 꺼렸고, 되도록이면 [[홍콩 섬]]과 [[구룡반도]] 그리고 신계 남부 신구룡만 지하철을 놓고자 했다. [[신계(홍콩)|신계]]로 들어가는 [[MTR|홍콩 지하철]] 계획이 나온 것은 [[중영공동선언]]으로 [[1997년]] [[홍콩 반환|홍콩 '''전체의 반환'''을 결정]]하고 난 이후에나 나왔다. 초안이 논의되던 [[1980년]]엔 신계 남부로 신구룡이라 주장하던 샤틴까지만 [[동철선]]이 들어가도록 계획하였으며 [[1983년]] 샤틴까지만 동철선이 구광철도라는 이름으로 개통하였고 샤틴 이북은 [[1984년]] [[중영공동선언]] 직후에 영유권이 해결되자 [[1985년]]에야 연장했다. 당초 [[MTR|홍콩 지하철]]을 놓은 목적도 신계 자체를 커버하려는 것 보다 [[홍콩 섬]]과 빅토리아 하버를 사이에 두고 바로 맟닿아 있으면서도 먼 듯한 [[구룡반도]]를 연결하는 것이었으며[* 홍콩은 [[스타페리]] 요금을 고작 몇 달러 소액을 올렸다가 중국계 좌익 주민들이 67 폭동을 일으켜 고초를 겪은 바 있다. 그땐 해저터널이 없어 페리로만 바다를 건널 수 있었기 때문에 이리저리 불편했다. 영국은 홍콩을 지배하고 나서 [[영국인]]이 사는 [[홍콩 섬]]을 주로 개발했고, 동시에 홍콩에 유입된 [[중국인]]들은 홍콩 섬에 들어서지 못하고 [[구룡반도]]에 거주했는데 영국령 홍콩 정부는 이러한 인종별 거주 분리를 조장했다.], 이에 따라 [[1979년]]과 [[1980년]]에 최초로 개통한 노선은 (구)쿤통선[* 쿤통 - 야우마테이 간] 구간과 앞서 언급한 [[홍콩 섬]] - [[구룡반도]] 간 교통난을 해결하기 위해 부랴부랴 지은 [[해저터널]] 노선을 합친 셈이었다. 교통난 해결 목적을 달성한 뒤 이 크로스하버 터널 구간은 [[1982년]]에 [[췬완선]]으로 분리 편입되고, 별도 계획 수정 없이 [[야우마테이역]]~[[몽콕역]] 구간은 췬완선과 쿤통선이 공유하게 된다. 어떻게 보면 병용 구간은 오히려 방향별 환승이 편하기에 현재 홍콩 MTR의 혼잡도를 생각하면 신의 한 수인 셈. 그러나 영국령 홍콩 정부는 침사추이-완차이 간 도로 터널인 크로스하버 터널과 침사추이-애드미럴티 간 철도터널 빼고는 구룡반도와 홍콩 섬 간 육상교통수단을 확충하지 않았다. 그 덕에 쿤통선 추가 연장이 이루어진 [[1989년]] 이전까지 지하철 해저터널은 단 한개뿐이었다. 이 때문에 제국주의 시절마냥 백인들이 사는 [[홍콩 섬]]과 중국인들이 사는 [[구룡반도]]/신구룡을 분리하려 하느냐는 비판을 받았다. 제대로 된 해결책인 이스턴터널이나 [[뚱충선]] 개통 등 추가 구간을 뚫은 건 홍콩 주권반환이 확정되고 나서 민심 수습책이 필요한 [[1980년대]] 말과 [[1990년대]]의 일이었다. 이스턴터널은 [[1989년]]에 개통되었고 웨스턴터널은 란타우 섬 첵랍콕에 신공항이 생긴 반환 후 [[1998년]]에 개통되었다. 그리하여 이 노선은 사실상 [[신계(홍콩)|신계]] 중심지로 가지 않는 노선이 되었다. [[티우켕렝역]]은 [[신계(홍콩)|신계]]에 있지만 이건 [[1997년]] [[홍콩 반환]] 이후에 [[정관오선]] 환승을 위해 연장된 것이고 [[왐포아역]]부터 [[야우통역]]까지는 순도 100% [[구룡반도]]만을, 특히 구룡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만을 지나가는 노선이다. 노선 건설 당시 [[영국령 홍콩]] 정부에서는 '''구룡선'''이라는 노선명도 검토했었다. 이유는 구룡-홍콩 간 연결을 뜻하는 것과 동시에 [[홍콩 트램]]이 없던 [[구룡반도]] 지역에도 도시철도 서비스를 공급하는 의도 두 가지였다. 그러나 막상 개통 후 생각보다 새 교통수단이던 [[지하철]]에 홍콩인들이 빨리 친숙해지고, 노선 추가건설 및 연장 요구가 빗발치자 [[홍콩섬선]]도 추가로 개통되었다. 노선이 [[구룡반도]] 택지지구를 쭉 지나간다. 섹깁메이, 록푸, 자운산[* [[웡타이신역]]과 [[다이아몬드힐역]] 근처를 원래 전통적으로 자운산이라 불렀다. 옛날 [[홍콩 영화]]에 흔히 나오는 지명인 자운산이 바로 웡타이신 일대를 일컫는 말로 홍콩 기성세대들은 지금도 이쪽을 자운산이라 부른다. [[광동어]]로는 Tsz Wan Shan.], 초이훙[* 한국인들에게 요즘 들어 여행지로 각광받는 초이훙 아파트단지가 이 곳이다.] 등 [[구룡반도]] 택지개발지구를 모두 지나가고 동쪽의 거주지 겸 상업지구로 동구룡 최대 번화가 쿤통으로 가며 더 나아가 [[1998년]] 개발된 신계 사이쿵구의 정관오 신도시로도 연결되고, 서쪽으로는 몽콕과 야우마테이로 가는지라 이용객이 비교적 많은 편이기는 하나, [[정관오선]]을 제외한 MTR의 주요 도시철도 노선인 [[췬완선]]과 [[홍콩섬선]]의 일일 이용객이 각각 약 백만명에 달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이용객 수치가 한참 적은 60만 명 대이다. 그럼에도 꾸준한 수요가 있는 것은 이 노선이 흝고 지나가는 지역들에 오래 자리한 섹깁메이나 자운산 같은 베드타운들 덕이라고 볼 수 있다. 애초에 거의 주거지역만을 지나가니, 출퇴근 인구를 제외한 이용객의 수가 많지 않은 것이 놀라운 일이 아닌 셈이. 그래도 적은 수로 보기에는 그런 것이, 역 수가 약 두배에 달하는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이용객이 40만명 정도임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적다 뿐이지 이쪽도 이용객이 상당히 많다. --즉, 췬완선을 타는 사람이 그만큼 무시무시하게 많다는 소리다.-- 쿤통선 일대는 중국인들이 주로 거주하여 인근에서 중국 색채를 느낄 수 있다. 특히 자운산이나 섹깁메이 등에는 영화에서 흔히 봐 왔던 성냥갑 같은 낡은 복도식 [[아파트]]가 즐비하여 매우 좋은 볼거리를 제공해준다.[* [[성룡]]의 폴리스 스토리 1편에 나오는 버스 추격씬이 나오는 판자촌 같은 곳이 섹깁메이 단지이다. 당시에는 판자촌과 아파트가 섞여있는 곳으로 [[베트남 전쟁]] 종전 후 넘어온 베트남 화교 [[보트피플]] 출신 피난민들이 몰려 살았던 곳이었으나 현재는 싹 밀려 재개발되어 사라졌다. 난민들은 모두 정식으로 홍콩 시민권을 얻어 정규 택지지구에 입주했고 판자촌은 홍콩 주권반환을 앞두고 [[구룡성채]]를 밀어버릴 때 같이 철거해 없애버렸다.] 초이훙 아파트단지는 한국인들에게 갑자기 선호되는 관광지가 되었는데 이 초이훙 역시 [[1970년대]]식 복도형 아파트이며 무지개를 뜻하는 이름답게 아파트 외벽을 무지개색으로 예쁘게 칠해놨다. 그 외 카이탁으로도 까우룽베이를 통해 갈 수 있고, 악명높던 [[구룡성채]]도 이 노선 역세권이었는데 [[록푸역]]과 가까웠다. 현재는 공원이 되어 사라졌지만 여전히 록푸역에서 내려 구룡성채 터인 구룡채성공원으로 갈 수 있다. [[까우룽베이역]]부터 [[쿤통역]]까지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금정구]] 구간처럼 주택가를 고가로 흝고 가는데, 낮이나 밤이나 지금은 없어진 [[구룡성채]] 못지 않게 즐비하게 들어선 건물들이 장관이다. 그러나 초이훙 아파트, 구룡채성공원, 몽콕, 야우마테이 등을 빼면 한국인이 잘 안가는 곳들이 대부분이라 이 노선은 주로 홍콩인들이 이용하고, 한국인들은 집이 자운산이나 정관오 쪽인 장기거주자이거나 쿤통에 볼 일 있는 비즈니스 목적 방문객, 초이훙 아파트단지 등을 보러가는 사람 정도뿐이다. 거기다 이 지상구간은 T8 이상의 강풍 혹은 태풍이 불면 즉시 운행이 중단되는고로 여러모로 취약하다. == 노선 및 역 목록 == [[파일:MTR_Kwun_Tong_Line_Geograpical_Map.png]] [youtube(_cpIvDMqTp8)] |||||||||||| {{{#ffffff MTR 쿤통선 역 목록}}} || || 한국어 역명 || 중국어 역명 || 영어 역명 || 승강장 || 환승노선 || 주변 관광지, 비고 || || [[왐포아역|왐포아]] || 黃埔 || Whampoa || || || 왐포아 가든[br]홍함 페리선착장[* 현재 [[노스포인트역]] 앞인 노스포인트 부두와 센트럴 스타페리 부두로 가는 페리가 운행중이다, 노스포인트 페리는 신세기페리, 센트럴 페리는 [[리카싱]]의 청콩그룹 자회사인 CKS에서 운항한다.] || || [[호만틴역|호만틴]] || 何文田 || Ho Man Tin || || {{{#a74c00 ●}}} [[튄마선]] || || || [[야우마테이역|야우마테이]] || 油麻地 || Yau Ma Tei || ||<|3> {{{#d80f1f ●}}} [[췬완선]] || || || [[몽콕역|몽콕]] || 旺角 || Mong Kok || || 몽콕 || || [[프린스에드워드역|프린스에드워드]] || 太子 || Prince Edward || || || || [[섹깁메이역|섹깁메이]] || 石硤尾 || Shek Kip Mei || || || || || [[까우룽통역|까우룽통]] || 九龍塘 || Kowloon Tong || || {{{#99ccff ●}}} [[동철선]] || 비컨힐 || || [[록푸역|록푸]] || 樂富站 || Lok Fu || || || [[구룡성채|구룡채성공원]] || || [[웡타이신역|웡타이신]] || 黃大仙站 || Wong Tai Sin || || || 웡타이신 사원 || || [[다이아몬드힐역|다이아몬드힐]] || 鑽石山站 || Diamond Hill || || {{{#a74c00 ●}}} [[튄마선]] || 난리안 가든, 치린 수도원 || || [[초이훙역|초이훙]] || 彩虹 || Choi Hung || || || || || [[까우룽베이역|까우룽베이]] || 九龍灣 || Kowloon Bay || || || 까우룽베이 국제무역전시장[* 홍콩 [[코믹월드]]가 이곳에서 열린다. 역까지 무료 셔틀을 운행중이니 참조] || || [[응아우타우콕역|응아우타우콕]] || 牛頭角 || Ngau Tau Kok || || || [* [[홍콩 카이탁 국제공항]]에 그나마 제일 가까웠던 MTR 역. 튄마선이 생기면 [[카이탁역]]이 생기며 그땐 [[다이아몬드힐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진다.] || || [[쿤통역|쿤통]] || 觀塘 || Kwun Tong || || || || || [[람틴역|람틴]] || 藍田 || Lam Tin || || || [* [[정관오선]] 개통 전까지 이 역에서 야우통 방면이 아닌 {{{#0072b2 '''노스포인트 방면'''}}}으로 열차가 다녔다. 그 연결선은 지금도 멀쩡히 살아 있다.] || || [[야우통역|야우통]] || 油塘 || Yau Tong || ||<|2> {{{#763688 ●}}} [[정관오선]] || || || [[티우켕렝역|티우켕렝]] || 調景嶺 || Tiu Keng Leng || || 빅토리아만 동부 || == 개통 연혁 == * [[1979년]] [[10월 1일]] 섹깁메이(石硤尾) ↔ 쿤통(觀塘) 구간 개통 [* [[https://youtu.be/IejjR0Oq7bQ|개통식 영상]]] * [[1979년]] [[12월 16일]] 조던(佐敦) ↔ 침사추이(尖沙咀) 구간 개통[* 섹깁메이 ↔ 쿤통 구간과는 직통.] * [[1979년]] [[12월 22일]] 워털루역(Waterloo)[* [[야우마테이역]]] 개통 * [[1979년]] [[12월 31일]] 아가일역(Argyle)[* [[몽콕역]]] 개통 * [[1980년]] [[2월 12일]] 침사추이(尖沙咀) ↔ 채터(Chater)[* [[센트럴역(홍콩)|센트럴역]]]구간 및 해저터널 개통 * [[1982년]] [[4월 26일]] 워털루(Waterloo) ↔ 채터(Chater) 구간 [[췬완선]]으로 분리[* 이후의 [[췬완선]] 개통연혁은 [[췬완선#s-4|해당 문서 개통연혁 문단 참조.]]] * [[1982년]] [[5월 4일]] [[MTR 동철선|구광동철]] [[까우룽통역]] 개통과 동시에 환승 개시[* 단, 운영사가 달랐기에 무료환승이 아니라 [[도쿄 지하철]] 처럼 환승게이트가 별도로 있었고 추가운임을 내는 형식이었다.] * [[1982년]] [[5월 10일]] 프린스에드워드(太子) 환승 승강장 개장[* [[프린스에드워드역]]은 개통 첫 7일간은 출구나 개찰구, 대합실 없이 [[췬완선]]과의 환승 승강장 목적으로만 이용되었다.] * [[1982년]] [[5월 17일]] 프린스에드워드역(太子) 정식 개통 * [[1985년]] [[5월 31일]] [[홍콩섬선]] 개업과 동시에 일부 역의 역명 변경[* 아가일역(Argyle) > 몽콕(旺角), 워털루역(Waterloo) > 야우마테이(油麻地)로 각각 역명 변경] * [[1989년]] [[8월 6일]] 쿤통(觀塘) ↔ 쿼리베이(鰂魚涌) 구간 및 해저터널 개통 * [[1989년]] [[10월 1일]] 람틴역(藍田) 개통 * [[2001년]] [[9월 27일]] 쿼리베이(鰂魚涌) ↔ 노스포인트(北角) 구간 개통 * [[2002년]] [[8월 4일]] 람틴(藍田) ↔ 야우통(油塘) 구간 개통 및 노스포인트(北角) ↔ 야우통(油塘) 구간 [[MTR 정관오선|정관오선]]으로 분리[* 이후의 [[정관오선]] 개통연혁은 [[정관오선#s-4|해당 문서 개통연혁 문단 참조.]]] * [[2002년]] [[8월 18일]] 야우통(油塘) ↔ 티우켕렝(調景嶺) 구간 [[MTR 정관오선|정관오선]]과 같이 개통 * [[2007년]] [[12월 1일]] [[MTR 동철선|구광동철]]이 MTR 산하에 편입되면서 까우룽통역 환승 게이트 폐지, 무료환승이 가능해짐 * [[2016년]] [[10월 23일]] 야우마테이(油麻地) ↔ 왐포아(黃埔) 구간 개통 == 운행 차량 == [[1979년]] [[홍콩 지하철]] 첫 개통 당시 쿤통선으로 운행하던 야우마테이 - 센트럴 구간 시절부터 운행하던 메트로-카멜 EMU 직류형 차량[* 통칭 '''M형''' 차량. '''M'''etro-Cammell에서 따왔다. ]이 있으며, [[2012년]]부로 운행을 개시한 CNR-창춘 EMU 차량[* 통칭 '''C형''' 차량. 생산지 [[창춘시]]의 영문 표기 '''C'''hangchun 에서 유래. ]이 있다. 차후에 [[2017년]]부터 CRRC-칭다오 시팡에서 제작된 차량이 투입되어[* 통칭 '''Q형'''. 생산지인 [[칭다오시]]의 영문 표기 '''Q'''ingdao 에서 따 왔다.] 현재 운행중인 모든 M형 전동차를 [[2023년]]까지 대차할 예정이며, [[2020년]] 이후부터의 투입이 예상된다. * [[MTR 메트로카멜 직류형 전동차]](M형): 2027년까지 전량 퇴역 예정 * [[MTR CNR-창춘 전동차]](C형) * [[MTR CRRC 쓰팡 전동차]](Q형): 2022년 11월 27일 운행 개시. 2029년까지 반입예정. * --[[MTR 로템-미쓰비시 전동차]](K형)-- 정관오선으로 환원[* 본래대로라면 정관오선으로 배속될 예정이었으나 신호체계 부조화 및 관리 문제로 도입 후 약 7년간 쿤통선에서 운행하였다.] == 여담 == === 개념환승 === 노선의 역 중 네곳에서 평면환승이 가능한데, 바로 췬완선과의 환승역인 [[프린스에드워드역]]과 [[몽콕역]], 그리고 [[정관오선]]과의 환승역인 [[야우통역]]과 [[티우켕렝역]] 되시겠다. ||<:>|| ||<:>{{{#ffffff '''프린스에드워드역'''}}}|| || ||<|2><:>{{{#ffffff 위층 승강장}}}||<:>[[몽콕역]] →||<:>{{{#ffffff 췬완선}}}||<:>→ [[삼수이포역]]|| ||<|2><:>[[몽콕역]] ←||<:>{{{#ffffff 쿤통선}}}||<:>← [[섹깁메이역]]|| ||<|2><:>{{{#ffffff 아래층 승강장}}}||<:>{{{#ffffff 췬완선}}}||<:>← [[삼수이포역]]|| ||<:>[[몽콕역]] →||<:>{{{#ffffff 쿤통선}}}||<:>→ [[섹깁메이역]]|| [[프린스에드워드역]]에서는 [[췬완선]] [[삼수이포역]]/[[췬완역]] 방면 및 쿤통선 [[몽콕역]]/[[왐포아역]] 방면 열차끼리, 그리고 [[췬완선]] [[몽콕역]]/[[센트럴역(홍콩)|센트럴역]] 방면 및 쿤통선 [[섹깁메이역]]/[[티우켕렝역]] 방면 열차끼리 평면환승이 가능하다. '''즉, 반대 방향끼리의 평면환승이 가능하다.''' ||<:>|| ||<:>{{{#ffffff '''몽콕역'''}}}|| || ||<|2><:>{{{#ffffff 위층 승강장}}}||<|2><:>[[야우마테이역]] →||<:>{{{#ffffff 췬완선}}}||<|2><:>→ [[프린스에드워드역]]|| ||<:>{{{#ffffff 쿤통선}}}|| ||<|2><:>{{{#ffffff 아래층 승강장}}}||<|2><:>[[야우마테이역]] ←||<:>{{{#ffffff 췬완선}}}||<|2><:>← [[프린스에드워드역]]|| ||<:>{{{#ffffff 쿤통선}}}|| [[몽콕역]]에서는 프린스에드워드역과 반대로 '''같은 방향끼리 평면환승이 가능하다.''' 정작 안내방송 상으로는 같은 방향끼리의 환승은 [[야우마테이역]]에서 가능하다고 안내하나 평면환승은 가능하지 않다. 미리 알아두자. 그래도 바로 상하층 환승 구조라 환승에 큰 지장은 없다. ||<:>|| ||<:>{{{#ffffff '''야우통역'''}}}|| || ||<|2><:>{{{#ffffff 위층 승강장}}}||<:>[[람틴역]] ←||<:>{{{#ffffff 쿤통선}}}||<:>← [[티우켕렝역]]|| ||<:>[[쿼리베이역]] →||<:>{{{#ffffff 정관오선}}}||<|2><:>→ [[티우켕렝역]]|| ||<|2><:>{{{#ffffff 아래층 승강장}}}||<:>[[람틴역]] →||<:>{{{#ffffff 쿤통선}}}|| ||<:>[[쿼리베이역]] ←||<:>{{{#ffffff 정관오선}}}||<:>← [[티우켕렝역]]|| [[야우통역]]에서는 쿤통선 [[티우켕렝역]] 방면 및 [[정관오선]] [[쿼리베이역]]/[[노스포인트역]] 방면 열차끼리, 그리고 쿤통선 [[람틴역]]/[[왐포아역]] 방면 및 [[정관오선]] [[티우켕렝역]]/[[정관오역]] 방면 열차끼리 환승이 가능하다. '''즉, 반대 방향끼리의 평면환승이 가능하다.''' ||<:>|| ||<:>{{{#ffffff '''티우켕렝역'''}}}|| || ||<|2><:>{{{#ffffff 위층 승강장}}}||<|2><:>[[야우통역]] ←||<:>{{{#ffffff 쿤통선}}}||<:> ''종착역''|| ||<|2><:>{{{#ffffff 정관오선}}}||<:>← [[정관오역]]|| ||<|2><:>{{{#ffffff 아래층 승강장}}}||<|2><:>[[야우통역]] →||<:>→ [[정관오역]]|| ||<:>{{{#ffffff 쿤통선}}}||<:> ''종착역''|| [[티우켕렝역]]에서는 쿤통선 종착 승강장에서 [[정관오선]] [[정관오역]] 방면 열차로 바로 환승이 가능하며, 쿤통선 [[호만틴역]]/[[왐포아역]]행 열차와 [[정관오선]] [[노스포인트역]] 방면 열차끼리 환승이 가능하다. '''즉, 같은 방향끼리의 평면환승이 가능하다.''' === 연장 === 사실상 연장의 가능성이 매우 낮은 노선이다. 일단 동쪽 종점인 [[티우켕렝역]]의 동쪽으로 이미 [[정관오선]]이 들어섰고 유일하게 개발중인 아파트단지 로하스파크마저 2009년에 [[로하스파크역]]이 정관오선 지선으로 개통하면서 굳이 이 노선을 연장할 이유가 없어졌다. 그나마 [[MTR 동철선|동철선]]과 [[MTR 튄마선|튄마선]]의 연장에 대비하여 왐포아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건설하려 했던 경전철 계획을 쿤통선으로 변경하여 [[야우마테이역]] ~ [[왐포아역]]으로 연장한것이 전부이다. 그러나 왐포아역의 건설이 확정된 이후로는 왐포아에서 해저터널을 건너 [[MTR 홍콩섬선|홍콩섬선]]의 역 중 하나와 연계되도록 연장하자는 이야기가 꽤 자주 나왔다[* 자료마다 다르나 [[코즈웨이베이역]], [[포트리스힐역]], [[노스포인트역]] 등 여러 가능성을 점쳤지만 실현되는 일은 없었다.]. 안 그래도 [[췬완선]]의 [[침사추이역]]과 [[홍콩 섬]] [[애드미럴티역(홍콩)|애드미럴티역]] 사이 구간이 구룡반도 - 홍콩섬 간 이동 수요를 반 가까이를 책임지는지라 혼잡도가 무시무시한데다, [[MTR 정관오선|정관오선]]은 동부 끝자락이라 빅토리아 하버 횡단 수요를 분산하는데에는 턱없이 부족해서 새 노선의 건설에 관한 이야기는 내부에서도 수 차례 나왔었다. 일단 추진하는 쪽에서는 공사비 충당도 가능하고 해협 폭이 좁은 노스포인트로 노선을 접속시키면 된다고는 주장하고 있고, 웹사이트도 있다. 다만, [[왐포아역]]부터 이미 주변에 위치한 쇼핑몰들이 지하 부지를 싹 잡아먹고 있어서 있는 땅 없는 땅 모아서 단선 승강장도 간신히 만든데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복층 승강장으로 건설하자는 이야기도 있다. 실제로 홍콩섬의 [[완차이역]] 등 일부 역들의 선례가 있다.], 결정타로 [[송나라]] 시대 발굴된 유물들이 잔뜩 묻혀있는 곳이 홍함 일대라 이것도 문제라면 문제다. 이미 쿤통선 연장구간을 포함한 튄마선 공사지역에서 송나라 시대 유물이 끝도 없이 발굴되어 공사가 2년 가까이 늦춰진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이 지역에서 왜 송대 유물이 대거 나오는지 이유는 [[애산 전투]] 항목 참조. 또한 현실성과 별개로 현재 MTR에서는 이미 동철선을 연장하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기에 이러한 제안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인지라, 당분간은 검토되지 않을 모양. [[분류:MTR 쿤통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