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QGR-q9_3x2E)]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자 명의는 '''[[항문|Anal]] Spyder'''(…). 다소 익살적인 명의인데 실체는 바로 [[우에노 케이이치]]. 장르는 TRIBAL HOUSE. 작곡가의 평소 작곡방향(팝, 드럼 앤 베이스)에서 약간 어긋나는 계열의 악곡이다. 2008년 11월에 [[코나미]] 내부 레이블인 [[beatnation Records]]를 통해 발매된 [[우에노 케이이치]]의 앨범 'Rewind!'의 마지막 트랙에 I.Q=ZERO라는 믹스명으로 풀버젼이 수록되었다. '''8분 40초'''라는 길이를 자랑하며, 게임판보다 좀 더 미니멀하게 바뀐 느낌. == [[beatmania IIDX]] == || 장르명 ||<-3> TRIBAL HOUSE || [[BPM]] ||<-2> 125 || || 전광판 표기 ||<-6><#454545> '''{{{#FF5A00 MACHO GANG}}}''' || ||<-7>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2> {{{#blue 노멀}}} ||<-2> {{{#orange 하이퍼}}} ||<-2> {{{#red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blue 2}}} || {{{#blue 191}}} || {{{#orange 7}}} || {{{#orange 538}}} || {{{#red 10}}} || {{{#red 837}}} || || [[더블 플레이]] || {{{#blue 3}}} || {{{#blue 262}}} || {{{#orange 11}}} || {{{#orange 836}}} || {{{#red 11}}} || {{{#red 846}}}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substream ~ 3rd, 9th ~ * 가정용판 수록 : 3rd, 9th * [[단위인정]] 수록 * Another 7(SPA) : 9단 (9th) 이 곡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BGA]]와 곡의 [[싱크로율]]이 굉장히 높다'''는 점이다. 위의 동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공 튀기는 소리, 뚜껑 여는 소리, 케이블 뽑았다 끼우는 소리, 징 소리 등등의 생활 속의(?) 여러 사운드가 조합되어 비트를 이루는데, BGA도 거기에 맞춰 제작되어 있다. 가장 큰 포인트는 땅파는 [[토끼]]와 '''[[아헤가오|메롱장갑]]'''(…). 초창기 수록시에만 나온 레이어 중에는 징 치는 샘플링에 맞춰서 뜬금없이 이상한 중국풍 캐릭터가 나온다거나 군복 입은 좀 웃기게 생긴 흑인(?) 디폴메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작화는 [[GOLI]]로 추정됨.] BGA가 나중에 리뉴얼되면서 [[비트매니아]] 3rdMIX의 Believe Again이란 곡의 BGA에 등장했던 마리라는 캐릭터의 그래픽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초기 수록시부터 있던 흑인(?)과 중국인 캐릭터 레이어 장면은 후일 삭제되었다. === 싱글 플레이 === [youtube(JQoq6Q1sxgI)] SPA 플레이 영상[* 위 영상의 [[BGA]]는 캐릭터가 추가된 리뉴얼 버전이다. 초기의 BGA를 보고 싶다면 [[http://www.youtube.com/watch?v=8PsqRO_zQfM|여기]]를 클릭해서 감상할 수 있다.] 싱글 노멀 채보는 오랫동안 난이도 1을 지켜왔었는데, 다른 난이도 1 채보에 비해 (효과음 때문에) 스크래치가 많이 사용되었고 박자도 어려웠다. 그래서 [[비트매니아 IIDX 19 Lincle|19 Lincle]]에서 2로 승격. 하지만 케이블 뺐다 끼웠다 하는 구간 박자가 하이퍼와 똑같은 데다가 저레벨에서 안 나오는 인접 동시치기까지 나와서 2로 볼만한 채보는 아니다. 싱글 어나더 채보는 substream 당시 최고난이도 채보였으며, 잦은 스크래치와 연타가 압박적으로, 특히 초반에 더한 구성으로 노멀클리어 난이도는 10레벨에서 중하위권이지만, 하드클리어 난이도는 10레벨 최상위이다. 9th Style에 부활했을때 [[단위인정]] 9단에 잠깐 얼굴을 비치기도 했다. === 더블 플레이 === [youtube(MnfWORTJ4x4)] DPH 플레이 영상 [youtube(vnNidY_pFt4)] DPA 플레이 영상 더블 하이퍼와 어나더는 노트수도 10개밖에 차이가 안 날 정도로 둘의 차이는 미미하며[* 정확히는 어나더 채보에서 21번 마디에 1개, 48번 마디에 9개가 더 많다.], 역시 잦은 연타와 스크래치로 고난이도 채보이다. 단순한 고난이도로 웃어넘길것이 아닌게 당시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을뿐이지 [[넘사벽]]급 난이도에 가까웠다. 당장 같은 substream을 초출곡으로 두고 있는 [[THE EARTH LIGHT]] DPH가 지금으로서는 비공식 10.5로 인정받는걸 감안하면 그 갭은 더 컸다고 볼수 있다.[* 더 자세히보면 당시 수록곡의 상대적 DP 고난이도곡들을 후대의 비공식 평가로는 8.0에서 10.5까지 한곡씩 분포되어 있어서 그 범위대에 있는 수록보면간의 난이도 갭은 크지 않았다. 그나마도 이와 동급으로 평가받는 [[LUV TO ME]](DISCO MIX)의 DPA는 4th에서 추가가 된것.] 연타도 연타지만 구작특유의 무리배치가 절창(특히 38~41소절같은곳). 지금도 DPH, DPA는 '''비공식 난이도표 기준으로 11.8'''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전에는 하이퍼쪽이 어나더보다 0.2 낮았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무의미한 차이로 인해 2021년 3월 상향합의된김에 둘다 11.8이 된듯하다.] 엄청난 도약 스크래치와 [[무리 스크래치]] 때문인지 DPA는 웬만한 12.2보다도 판정 뽑기가 힘들며, 내로라 하는 12.3을 A 맞는 유저들도 이 곡만큼은 B에 머무는 유저도 있다.[* 다만 [[NEMESIS]]나 [[Cheer Train]]같은 무리 스크 본좌들은 제외한다.] 또한, 이 곡이 나온지 약 23년이 지났지만 RESIDENT 기준 DPH는 DP ☆11 레벨중 가장 낮은 최저 클리어 레이트('''8%''')로, 웬만한 12.3 중상급과 맞먹는 클리어 레이트를 자랑한다. 이런데도 처음 현행 난이도 체계로 바뀐 HAPPY SKY에선 '''10레벨'''을 부여받았고, GOLD에서야 11레벨로 승격되었다. == 댄스 댄스 레볼루션 == [youtube(pQJxqKSal3k)] Club Ver. 연동곡으로 이식되고, 이후 삭제되었다가 해외의 Classroom Edition에도 이식되었다. [[분류:beatmania IIDX substream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