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식품, rd1=마시멜로, other2=이외 다른 뜻, rd2=마시멜로(동음이의어))] ||<-2>
[[파일:external/marshmellomusic.com/marshmello-logo-small-trans.png|width=12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시멜로바이바이.jpg|width=100%]]}}}|| || '''이름''' ||마시멜로[br]Marshmello[* 맨 앞의 m을 대문자로 쓰지 않았으나, 현재는 대문자 표기중이며 음식 [[마시멜로]]인 marshmallow와 영어 철자가 다르다.]|| || '''정체''' ||크리스토퍼 컴스톡[br]Christopher Comstock|| ||<|2> '''출생''' ||[[1992년]] [[5월 19일]] ([age(1992-05-19)]세)||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프로듀서]], [[DJ]], [[가수]][* Alone, You & Me와 Joytime II의 노래를 본인이 불렀고 Slushii의 싱글 There x2에서 피처링을 맡았다.], 유튜버|| || '''신체''' ||180cm[* 5ft 11in]|| || '''장르'''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일렉트로 하우스]], [[퓨처 베이스]], [[퓨처 하우스]], [[트랩(음악)|트랩]], [[덥스텝]], [[저지 클럽]]|| || '''소속''' ||[[OWSLA]], Joytime Collective[* 데뷔 앨범인 Joytime을 낼 때, 직접 만든 레이블.]|| || '''팬덤''' ||Mellogang(멜로갱)|| || '''링크''' ||[[https://www.instagram.com/marshmell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twitter.com/marshmellomusic|[[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4&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4&theme=dark]]]] [[https://www.facebook.com/marshmellomusic|[[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www.threads.net/@marshmellowmusic|[[파일:Threads 아이콘.svg|width=24]]]] [[https://www.tiktok.com/@marshmellomusic|[[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EdvpU2pFRCVqU6yIPyTpM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com/@cookingwithmarshmello?si=7ZvXtSPsR0baJeT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요리쇼츠 업로드용 채널 ~~채널소개에 본업 셰프 부업 DJ로 되어있다...~~] [[https://open.spotify.com/artist/64KEffDW9EtZ1y2vBYgq8T|[[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3]]]] [[https://www.marshmellomusic.com| [[파일:marshmellomusic.jpg|width=23]]]]|| || '''주요 커리어''' ||[[WWE 24/7 챔피언십|WWE 24/7 챔피언]] 1회|| [목차] [clearfix] == 개요 ==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 출신의 디제이, 프로듀서. 데뷔 당시부터 톡톡 튀는 신디사이저 음색과 베이스라인으로 신예 아티스트임에도 불구하고 [[Jack Ü]]나 [[Zedd]] 등 거물급 아티스트들의 서포팅을 받았고 이들의 곡을 리믹스하며 인지도를 쌓아갔으며 [[Monstercat]]을 통해 발표한 싱글 Alone이 초대박을 터뜨려 인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현재 [[EDM]]씬의 대중적인 정체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뮤지션으로 단순히 프로듀싱과 디제잉 활동 뿐만 아니라 장르를 구분하지 않는 수 많은 콜라보, 그리고 [[EDM]]씬 내에서도 보기 드물 정도의 매우 활발한 [[셀러브리티]]적인 활동으로 [[EDM]]씬 아티스트 중에서도 인지도가 매우 높다. 하지만 오히려 음악적 성과보다 이런 과할 정도의 상업적 마케팅이 지금의 자리를 만들어 준 것이라는 평이 존재할 정도로 리스너들 사이에서도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편이다.[* 이런 마시멜로의 활동에 대해 가장 크게 반감을 가지고 있는 뮤지션이 [[deadmau5]]로 이에 대한 내용은 여담 항목 참조.] == 신비주의 == 기본적으로 [[신비주의]]를 추구하여 정체를 드러내지 않고 활동하고 있으며 직접적으로 공개한 적은 없으나 프로필에서 적힌 것처럼 Dotcom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 중인 크리스 컴스톡으로 추정되고 있다. 크리스로 추정되고 있는 이유는 과거 [[Skrillex]]가 마시멜로의 생일 파티에서 동영상을 찍고 [[인스타그램]]에 올렸는데 그 날짜가 Dotcom의 생일인 5월 19일과 [[http://www.youredm.com/2016/05/21/marshmellos-identity-can-no-longer-questioned/|같았기]] [[http://fistintheair.com/2015/06/29/dotcom-marshmellow-identity-know-me-skrillex-katie-couric-interview/|때문이다]].[* 링크의 내용을 확인하면, 스크릴렉스가 미국의 뉴스 캐스터인 케이티 커릭과 인터뷰를 진행하던 중 크리스에게 전화가 왔는데 그것을 본 커릭이 스크릴렉스의 휴대폰을 보고 크리스에게 전화가 왔다고 하자 자신의 휴대폰을 건내 받은 스크릴렉스가 'Oh, '''Marshmello''''라고 외쳐버린 것.] 뿐만 아니라 Dotcom의 목소리와 Marshmello의 목소리를 비교해서 들었을 때 매우 비슷하다는 점과 둘 모두 똑같은 문신을 하고있다는 점 때문에 특히 유력하다고 보는 편이다. 사실 마시멜로 본인 또한 이렇게 알려진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https://youtu.be/VPb1YAXb_wY|이 동영상]]에서는 Marshmello is dotcom의 저작권 침해 신고로 더 이상 볼 수 없다라고 뜨기도 하며, 확실한 증거는 아니지만 또 다른 증거로는 Dotcom이 신곡 프리뷰를 [[페이스북]]에 올렸는데, 가장 먼저 댓글을 단 사람이 '''마시멜로'''였기도 했고[* [[파일:external/fistintheair.com/Screen-Shot-2015-06-29-at-5.46.39-PM.png]]], 한 팬이 Dotcom을 태그한후 크리스 콤스톡의 사진을 올리며 사랑한다고 올렸는데, Marshmello가 좋아요를 눌러주기도 했다. 또 다른 증거로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서 marshmello를 검색하면 marshmello의 노래중 Anne-Marie와 함께 부른 FRIENDS의 작사,작곡가가 Chris Comstock으로 등록되어 있고, 애플 뮤직에서 Marshmello의 노래 중 Ritual의 가사 맨 밑을 보면 작사가 중에 한 명이 Christopher Comstock으로 되어있다. --또 다른 증거로는, 구글에서 크리스 컴스톡이라고 검색하면 마시멜로가 대놓고 뜬다-- [youtube(AWLW8KpHBHo)] 2016년 [[Electric Daisy Carnival|EDC]] 공연 도중 마시멜로 가면을 벗으면서 드디어 대중들에 정체를 공개하는 줄 알았는데.... 생뚱맞게 가면 안에서 [[Tiesto]]가 등장하며 그냥 깜짝 이벤트였던 걸로 드러났다. 9월 27일 마시멜로가 인스타그램에서 가면을 쓴 마시멜로의 사진과 dotcom의 사진을 합성해서 'Hmmmmmmmm' 이라고 업로드 했다. 사실상 마시멜로가 Dotcom이라고 커밍아웃한 셈. 사실 그냥 훼이크 용으로 했다고 할 수도 있지만 지금까지의 정황들을 보면 dotcom이 아닐 리가 없다고 팬들은 확신하는 중. [youtube(xll1OiSNJYw)] 그리고 2018.1.17일 (마시멜로의 특별발표)라는 이름으로 동영상 하나를 게시했다. 이 사람의 정체는 다름아닌 [[윌 페럴]]. 사실상 이 영상은 정체 공개나 사람들을 속이는 목적보다는 투어 광고쪽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몸매부터 다르긴 하다.-- 이후에도 계속 [[티에스토]]나 [[숀 멘데스]], [[알레소]] 등 기타 아티스트들이 훼이크를 주기 위해 마시멜로의 시그니처 헬멧과 의상을 입고 있다가 헬멧을 벗어서 공개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정체가 드러나기 전 일부사람은 혹시 얼굴에 무슨 문제가 있어서(장애가 있다거나 다쳤다거나) 헬멧을 쓰는게 아닌가 했지만 본인으로 추정되는 Dotcom의 얼굴은 멀쩡한데다 잘생겼다. 애초에 이런 오브젝트 헤드형 마스크 DJ스타일의 선구자격인 [[다프트 펑크]]도 멀쩡한 얼굴이지만 그냥 부끄러워서 쓰고 나오던게 어그로가 잘 끌렸기 때문에 유지해오던 것을 감안하면 마쉬멜로도 조금이라도 더 화제가 되기 때문에 컨셉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 음반 == [include(틀:마시멜로)] === 앨범 === ||
'''{{{#white 발매 연도일}}}''' || '''{{{#white 앨범 분류}}}''' || '''{{{#white 앨범명 }}}''' || || 2016.01.08 || 1집 || Joytime || || 2018.06.22 || 2집 || Joytime II || || 2019.02.02 || 믹스 앨범 || Marshmello Fortnite Extended Set || || 2019.04.11 || EP || Roll The Dice || || 2019.07.03 || 3집 || Joytime III || || 2021.06.11 || 비주얼 앨범 || Shockwave || === Shockwave === ||<-3>
'''{{{#white Shockwave}}}''' || ||<-3>{{{#!wiki style="margin: -4px -10px" [[파일:Marshmello-Shockwave-album-art-billboard-1240-1623442903-compressed.jpg|width=300]]}}} || || '''{{{#fff 트랙}}}''' || '''{{{#fff 제목}}}''' || '''{{{#fff 길이}}}''' || || '''1''' || Fairytale || 2:35 || || '''2''' || Supernovacane || 2:59 || || '''3''' || Jiggle It || 2:50 || || '''4''' || Back It Up || 2:40 || || '''5''' || VIBR8 || 2:59 || || '''6''' || Bad Bitches || 2:32 || || '''7''' || Back In Time || 2:40 || || '''8''' || Hitta || 2:50 || || '''9''' || House Party || 3:25 || || '''10''' || Candy Kid || 2:09 || || '''11''' || Pushin Stacks || 3:34 || || '''12''' || Shockwave || 3:01 || 2021년 6월 11일에 발매한 비주얼 앨범이다. === 싱글 === * 싱글 앨범으로 발매된 음원들만 표에 정리함. ||
'''{{{#white 발매 연도}}}''' || '''{{{#white 곡명}}}''' || '''{{{#white 앨범}}}''' || || 2015 ||Keep It Mello (feat. Omar LinX)||<|2> Joytime || ||<|6> 2016 ||Want U 2 (Marshmello & Slushii Remix)|| ||Colour|| 미정 || ||[[Alone(Marshmello)|Alone]] || Monstercat 027 - Cataclysm[* 발매사인 [[Monstercat]]의 컴필레이션 앨범] || ||Magic[* [[Jauz]]와 콜라보]|| 미정 || ||Freal Luv (feat. [[찬열]] & [[Tinashe]])[* [[파 이스트 무브먼트]]와 콜라보]|| Identity[* [[파 이스트 무브먼트]]의 앨범] || ||Ritual (feat. Wrabel)||<|6> 미정 || ||<|5> 2017 ||Love U|| ||Silence (feat. [[Khaild]])|| ||[[Wolves]] [* [[셀레나 고메즈]]와 콜라보]|| ||Moving On|| ||You & Me || ||<|6> 2018 ||[[FRIENDS]] 빌보드 11위[* [[앤마리]]와 콜라보]|| Speak Your Mind[* [[앤마리]]의 앨범] || ||Happier '''빌보드 2위'''[* [[바스틸]]과 콜라보]|| 미정 || ||Everyday [* [[로직(래퍼)|로직]]과 콜라보]|| Bobby Tarantino II[* [[로직(래퍼)|로직]]의 앨범] || ||Spotlight [* [[Lil Peep]]과 콜라보]|| 미정 || ||Tell Me||<|2> Joytime II || ||Check This Out || ||<|6> 2019 ||Sell Out[* SVDDEN DEATH과 콜라보] ||<|3> 미정 || ||Here With Me (feat. [[CHVRCHES]]) || ||Light It Up (feat. [[Tyga]], [[Chris Brown]]) || ||Rescues Me (feat. A Day To Remember) || Joytime III || ||One Thing Right[* Kane Brown과 콜라보] || 미정 || ||Room To Fall[* Flux Pavilion과 콜라보] (Feat. ELOHIM)|| Joytime III || ||<|5> 2020 ||Be kind[* [[Halsey]]와 콜라보] ||<|5> 미정 || ||[[Come & Go]] '''빌보드 2위 핫샷데뷔''' || ||hate the other side 빌보드 10위 || ||OK Not To Be OK[* [[Demi Lovato]]와 콜라보] || ||Too Much (Feat. Usher) || === 리믹스 === 리믹스에서 꽤나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 스크릴렉스, 제드, [[아비치]], [[앨런 워커]], 캘빈 해리스등의 유명 아티스트는 물론 대중음악에도 관심을 드러내고 있는 중이다. [[Vicetone]]처럼 게임인 리그 오브 레전드 음악에도 참여한다던가... [youtube(_s7rwesgVRQ)] [[Alan Walker]]의 Sing Me To Sleep 리믹스. 앨런 워커 측에서 원곡의 mv를 편집해서 새로 mv를 만들어줬다. [youtube(f9zvK8tMmiE)] [[Skrillex]] & [[Diplo]]의 Where Are Ü Now 리믹스. [youtube(9WIX-z7X8zg)] [[Zedd]]의 Beautiful Now 리믹스. [youtube(LsRqHzZfc3Y)] [[Calvin Harris]] & [[Ellie Goulding]]의 Outside 리믹스. [youtube(HIoXpIMFLjw)] [[아비치]]의 Waiting For Love 리믹스. [youtube(IZNlCoZFaoE)] [[Adele|아델]]의 Hello 리믹스. 이건 공식 페이스북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지만 스포티파이 팔로우를 해야하므로 한국에서는 불가능하다. [youtube(4kAU0QZG9HE)] [[아리아나 그란데]]의 One Last Time 리믹스. 이 곡도 구하기가 어렵다. 위 영상은 공식 영상이 아니다. [youtube(BQX9x6P5w7k)] [[리그 오브 레전드]]의 리그에서 쓰였던 bgm인 Flash Funk을 리믹스한 곡. Warsongs 앨범에 수록되었는데, 평가가 꽤나 좋다. 이 외에도 다수의 리믹스가 존재하며 미공개곡을 셋리스트에 자주 끼워넣는 등 왕성하게 작업하고 있다. == [[포트나이트]] X 마시멜로 콜라보 == || [[파일:Marshmello.jpg|width=440]] || [[파일:마쉬멜로 이벤트.jpg|width=440]] || * '''[[포트나이트/배틀로얄/치장 아이템|치장 아이템]]''' 2019년 2월 1일 [[포트나이트]]와 콜라보를 하였다. 스킨[* 1500v벅스 한화로 약 14,990원 정도이다], 글라이더, 이모트, 곡괭이, 스프레이 등 아이템을 내보였다. 2월 4일이후로 몇년간 판매를 하지않아 멜로갱들이 안타까워했지만 2021년 5월 30일과 2022년 5월 29일 갑작스럽게 재출시 되었다. || [youtube(NBsCzN-jfvA, width=600, height=330)] || [[파일:마시멜로 공연 표지.jpg|width=270]] || ||<-2>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공백-1.png|width=865]]}}} || * '''인게임 [[콘서트]]''': 미국 기준으로 2019년 2월 3일 오후 2시[* 우리나라는 2월 4일 새벽 4시경이다.]에 마시멜로의 [[모션 캡처]]를 활용하여 실시간 가상 공연을 했다. == [[코카콜라]] X 마시멜로 콜라보 == 코카콜라 제로 슈거에 마시멜로 디자인이 들어간 한정판을 2022년 7월 11일 한국에 한정판으로 선보인다. 흰색 디자인에 마시멜로 헬멧 디자인이 들어간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다. == 여담 == * 마시멜로 활동의 컨셉과 헬멧 디자인 등등 많은 부분에서 [[deadmau5]]에서 영향을 받았을 정도로 그의 열성적인 팬이었지만 정작 데드마우스 본인은 대놓고 혐오 표현을 숨기지 않을 정도로 매우 싫어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데뷔 초부터 트위터로 그를 멘션하면서 팬을 자처했던 마시멜로가 [[2016년]], '''Alone''' 뮤직비디오에 Joel[* [[데드마우스]]의 본명이 조엘이다.]이라는 애완용 쥐를 넣는 트롤링적 마케팅을 시도했던 것이 그 시작이며 당시에 덷마쪽에서의 반응은 없었으나, 이후 덷마가 트위터를 통해, 같은 해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백스테이지에서 dotcom 시절은 온데간데 없이 본인을 졸졸 따라다니면서 그저 사진을 함께 찍으려 했다고 비난했고 마시멜로는 그저 평소 존경심과 함께 인사 한번 하려고 했던 것이 다라고 반박하면서 말싸움이 붙여진 것으로 크게 알려지게 되었다. 당시 [[Skrillex]]의 히피스러운 마인드 때문에 고작 몇 마디 부른 [[저스틴 비버]]를 버스 태워주면서 [[그래미 어워드]]에서 상까지 받게 한 그를 공개적으로 비난했을 정도로 지나친 상업적 마케팅을 매우 싫어했던 데드마우스는 이러한 마시멜로의 행보에 대해 트위터로 공개적인 비난을 멈추지 않았으며 마시멜로 또한 무지성적인 혐오를 멈추라며 날을 세웠다. 또한 두 명 모두와 친분이 있으며 절친이었다가 트위터로 전에 크게 설전을 벌여 사이가 많이 틀어졌던 [[Skrillex]]가 덷마에게 직접 불량배처럼 굴지 말라고 얘기할 정도로 싸움이 격화되었다. 이미 자가복제급으로 음악스타일이 비슷해 비판의 여론이 있었던 리스너들은 마시멜로를 비난하는 여론 반과, 당시 데드마우스 별명 자체가 키보드워리어일 정도로 가리지 않고 시비를 걸어댈 정도로 매우 신경질적이어서 제발 적당히 좀 하라는 여론 반으로 갈라져서 싸우기도 했다. 이러한 싸움의 뒷배경에는 당시 [[EDM]]씬이 질적으로 수준이 떨어지는 [[빅 룸]]밖에 나오지 않는 씬과 [[고스트 프로듀싱]] 등 씬 내 거대한 논란이 연이어 터지고 있던 상황이라 프로듀서의 자질과 실력을 적인 면에서 매우 민감했던 시기였고 덷마는 이미 실력적으로 널리 인정받은 사람이라는 것 또한 영향이 컸다. 이러한 수년간의 불화는 결국 [[2018년]] 정작 덷마 본인의 [[deadmau5#s-4.2.3|실언]]으로 인해 정신과 치료와 함께 트위터로 누군가는 비난하는 행위를 더 이상 하지 않겠다는 사과문으로 인해 종결되었고 이후 [[2021년]] 12월, 마시멜로의 인터뷰를 통해서 더 이상 싸우지도 않고 예전의 불화는 과거일 뿐, 지금도 덷마에게 악의적인 감정이 없다며 그의 실력과 영향력을 존중하는 뜻을 내비쳤다. 반대로 데드마우스 쪽은 마시멜로 만큼이나 공개적인 비난을 가했던 [[Martin Garrix]]와는 직접 인스타그램을 통해 화해했음을 밝혔던 것과 다르게 마시멜로에 대한 언급은 해당 사건 이후로 아예 없는 상황이다. *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인 [[https://instagram.com/fatherkels?igshid=40zdi5d0jzve|kelsey calemine]]과 연애 중이다. * Keep It Mello 뮤직비디오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헬멧 안에 조명이 들어있어서, 자체 발광이 가능하다! * 자신의 개인 인스타그램이 있는데, 보통 공연이 끝나고 한 컷, 또는 기타 유머 영상들이 올라온다. 일주일에 한두 번씩은 올라올 정도로 자주 업로드된다. 특히 [[https://instagram.com/p/BOIAdR_gdmf/|3살짜리 애가 흰색 복장에 마시멜로 헬멧을 쓰고 코스프레하는 영상]]은 마시멜로의 팬이라면 꼭 한 번 보도록 하자. 사진을 찍는데, 그가 사진을 찍어 주는 듯. Monstercat 레이블에서 활동하며 친분을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marshmello의 대부분 뮤비에 Slushii가 출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등짝에 커다랗게 Slushii라고 쓰여 있는 셔츠를 입은 사람이다. * 옛날부터 자신의 노래에 보컬춉, 음성 변조를 상당히 많이 사용해왔다. 가사는 하나도 없고 보컬춉만 들어있는 노래도 상당히 많다. [* 사실 마시멜로가 하는 [[퓨처 베이스]] 장르 자체가 보컬춉을 메인으로 사용하는 편이다.] * 마시멜로의 뮤직비디오에는 마시멜로의 가족들도 등장하는데, 죄다 마시멜로 가면을 쓰고 있다. 다만 엄마 마시멜로의 가면에는 립스틱이 칠해져 있고, 할아버지 마시멜로의 가면은 녹이 슬고 회색 머리카락이 달려있는 등 가면의 생김새가 약간씩 다르다. * 공식 유튜브 채널 중 'how to' 라는 각종 기술을 익히고 해내는 방법을 알려주는 컨텐츠가 존재한다. 주제가 매우 광범위하다. 자신의 노래에 맞춰 드럼을 치는 법, 보드를 타는 법, 브레이크 댄스를 추는 법, 마시멜로 캐릭터 카툰을 그리는 법... 평균 1분의 짧은 분량으로 채널에 정기적으로 업로드했지만, 대부분의 영상 조회수가 100만을 채 넘지 못했다. 마시멜로의 구독자가 약 5540만명임을 감안하면 매우 적은 수치. * 신발 덕후 기질도 있는 듯 하다. 이지부스트, 나이키 에어포스 sf 1, 아디다스 Y-3, 에어조던 5 등 고가의 신발들을 다수 보유중.--옷이 맨날 똑같으니 신발이라도 바꿔서 신는 것 같다-- --근데 신발도 다 흰색이다-- * 뮤비를 보면 조금 [[너드]] 컨셉을 유지하다가 음악을 틀면 바로 인기쟁이가 되는 스토리가 많다. Alone이나 Find Me 등. * '''팬들을 정말 아낀다!''' [[https://twitter.com/marshmellomusic/status/952127142740901889|평소 자신의 팬들에 대한 태도를 알 수 있는 marshmello의 트윗]]. 한 유저가 [[https://twitter.com/marshmellomusic/status/896489721936740353|트위터]]에 marshmello는 타 DJ들에 비해 자신의 팬덤층을 잘 챙기는 편이라고 트윗을 했다. 그러자 돈과 명성만을 좇고 자신을 그러한 자리에 있게 해준 사람들을 잊어버리는 것이 이 업계의 문제라고 지적하며, 그의 팬덤인 mellogang은 가족이나 다름없다고 답글을 달아주었다. 이 외에도 한 팬이 아버지와 헤어지게 되었다는 트윗을 올렸는데, 그에 대해 위로하는 답글을 남겨준 적도 있다. [[https://twitter.com/marshmellomusic/status/952126606293663744|링크]] * 그의 공식 유튜브엔 "마시멜로와 요리하기" 라는 콘텐츠가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 영상 내내 장난을 꽤나 많이 친다. 팬들은 이를 '놀줄 아는 놈'이라고 하기도 한다. 다른 컨텐츠로는 "마시멜로와 게임하기"가 있다. 게임하는 내내 본인은 아무말 없이 진행을 하는 대신, 리액션이 가득해서 보면 볼수록 귀엽다.~~실력은 뭐... 멜로 귀여움에 집중하자~~ 그래도 늘 활발히 활동하는것을 보면 본인도 재밌어 하는 모양. * [[포트나이트]]를 상당히 즐겨한다, 주로 [[닌자(인터넷 방송인)|Ninja]]와 듀오를 돌리며 포트나이트 Pro Am 대회에서 Ninja와 함께 우승까지 하였다. * 2022년 3월 기준 유튜브 구독자 수가 5500만명에 달하였으며 아티스트 구독자 순위 4위에 해당한다.[* 1위는 블랙핑크, 2위는 저스틴 비버, 3위는 방탄소년단] * [[Cheetah Mobile]]의 모바일 게임 [[롤링 스카이]]와 콜라보를 했는지 35 스테이지로 marshmello의 Alone을 배경음으로 사용한 스테이지가 출시되었다. 다만 공교롭게도 이 게임의 29 스테이지로 [[Alan Walker]]의 [[Alone(Alan Walker)|동명의 곡]]이 사용된 스테이지가 있었던 지라 스테이지명이 Alone II라고 표기되었다. 다만 현재는 삭제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Alone(Marshmello)|Alone II]] 참조. * [[바스틸]]과 협업해서 히트친 Happier[* 빌보드 Hot 100 2위까지 찍었다.]가 Arty[* 러시아 출신 DJ, 프로듀서]로부터 표절로 고소당했다. [[https://youtu.be/6G6V-CIIvBE|비교 영상]] * 미국판 [[출발 드림팀]]인 [[American Ninja Warrior]]에서 1단계를 클리어하는 영상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_XMRXK8TFg|링크]] 이 외에도 스케이트 보드 킥플립, 프리스타일 모터크로스, 농구, 축구 등 다양한 스포츠에 도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체력이 꽤나 좋은 것으로 추정된다. * Slushii, Skrillex와는 매우 친한사이. Moving On 뮤직비디오에도 같이 출연했다고 속은 사람들이 많지만 뮤직비디오에 나온 건 모두 대역이다. --근데 대역이 너무 본체랑 닮았다. 속을 만하다.-- 뮤직비디오에 대역이 연기한 인물들은 Slushii, Skrillex 외에도 Ookay, Sikdope라는 DJ 역시 Marshmello와 친분이 있으며 그 외에도 Jauz,[[Alesso]][* 2019년 7월에 Moe Shalizi가 운영하는 회사에 입사했다.],[[808 Mafia]]의 프로듀서 겸 CEO [[Southside]], 2021년 [[XXL Freshman Class]]에 뽑힌 Morray 역시 Marshmello와 친분이 있다. Ookay와 Slushii, Jauz, Sikdope, [[Alesso]],[[Southside]], Marshmello, Morray 모두 매니저 Moe Shalizi가 관리하는 아티스트들이기도 하다. * The box라는 곡으로 빌보드 1위를 차지한 래퍼, Roddy Ricch와도 친한사이이며 구독까지 했다. Project dream이라는 곡도 같이 제작하셨다. 이 곡 이후로 마쉬멜로가 만드는 힙합 음원에는 'Mello made it right'이라는 시그니쳐 사운드가 들어간다. * 2019년 10월4일 세계적인 미국 프로레슬링 단체 [[WWE 스맥다운]]에서 당시 [[WWE 24/7 챔피언십|24/7챔피언]]인 여성 레슬러 [[카멜라]]로부터 ~~어깨밀치기로~~[[WWE 24/7 챔피언십|24/7챔피언]]에 등극하였다.[* WWE에 소속된 선수 이외에도 선수가 아닌 외부인들도 획득한 기록이있는데 최초 외부인 챔피언은 방송인 랍스톤을 시작으로 농구선수 [[에네스 칸터]] 정치인 [[글렌 제이콥스]]등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jCFdaLx-G8|링크]] 이후에 챔피언벨트를 가지고 준비해둔 차를 타고 집으로 가려던중 자신과 똑같은 가면을쓴 [[알 트루스|한사람으로부터]] 퇴로를 저지당하다니 또 한명의 [[카멜라|누군가로부터]] 롤업을 당해 타이틀을 도로 뺏기게 되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5dEtvk6gKTU|링크]] * 코스계에서도 상당히 인기가 많다. 어떤 트윗분이 해당 코스프레를 했는데 남녀노소 상관없이 주변사람들이 상당히 많이 알아줬고 인사까지 해주고 사진도 많이 찍혔다고 한다. 한국에서도 인기가 얼마나 많은지를 알수있는 사례다. ~~EDM 페스티벌에 가면 드럼통부터 천쪼가리 뒤집어 쓴 사람 등 마시멜로 코스프레를 지겹도록 볼 수 있다.~~ * 아직 빌보드 1위는 없으나 [[주스월드]] 사후 앨범 수록곡 [[Come & Go]] 가 2위 핫 샷 데뷔를 하며 다시 1위에 도전 중 이다. * [[주스월드]]와 작업한 곡이 8~9개는 더 있다고 한다 * --그가 쓰고 있는 마시멜로 가면은 코로나 방역 마스크의 홍보대사가 되었다.-- * 대한민국 유투버 [[83부부]]의 등장인물 '이 남자'가 마스멜로 가면을 착용하고 있다. * 요리 인스타그램이 있다. 가끔 마시멜로를 사용한 요리를 하기도한다. --동족포식-- == 둘러보기 == [include(틀:몬스터캣 아티스트)] [[분류:일렉트로닉 뮤지션]][[분류:미국의 DJ]][[분류:필라델피아 출신 인물]][[분류:1992년 출생]][[분류:2015년 데뷔]][[분류:부캐]][[분류:미국의 남성 유튜버]][[분류:퓨처 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