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영국의 축구 심판,rd1=마이크 딘(축구 심판))] ||<-2> '''{{{+2 MIKE DE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ike-dean-birthday-xxl.jpg|width=100%]]}}} || || '''본명''' ||마이클 조지 딘[br](Michael George Dean) || || '''별명''' ||SynthGod, Vador || ||<|2> '''출생''' ||[[1965년]] [[3월 1일]] ([age(1965-03-01)]세)|| ||[[미국]] [[텍사스]] [[휴스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음악 프로듀서]], [[엔지니어|오디오 엔지니어]] || || '''장르''' ||[[힙합 음악|힙합]], [[팝 음악|팝]][* 힙합과 팝 작업물이 많지만, [[R&B]], [[헤비 메탈]] 등의 [[록 음악]]과 영화 스코어링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한다.] || || '''악기''' ||[[기타]], [[키보드]][* [[신디사이저]] 연주에 정평이 나 있어, 상술한대로 SynthGod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 || '''소속''' ||M.W.A.[* 본인이 설립한 [[레이블]]이다.] {{{-2 (2017년~ )}}}[br][[GOOD 뮤직|GOOD]][* 프로듀서로서 소속되어 있었으나, 칸예의 유대인 비하 발언으로 인한 [[보이콧]] 때문에 현재 계약 여부가 불분명하다.]|| || '''링크''' ||[[https://instagram.com/therealmikedea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herealmikedean)]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이크 딘은 [[미국]]의 [[음악 프로듀서]]이자 오디오 엔지니어이다. 주로 [[힙합 음악]] 분야에서 활동한다. 90년대 부터 [[투팍]], [[UGK]], [[테크 나인]] 등 많은 래퍼들의 히트곡을 프로듀싱 해왔으며, 당시 [[808 베이스]] 기반 [[남부 힙합]] 사운드를 만들어내는 대표적인 프로듀서 중 한명이었다. 2010년대부터는 [[칸예 웨스트]], [[트래비스 스캇]], [[미고스]], [[더 위켄드]], [[키드 커디]], [[비욘세]] 등의 음반을 프로듀싱하는 등 전성기를 맞으며 근 25년 동안 꾸준하게 힙합 음악계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프로듀서이다. 힙합뿐만 아니라 타 장르에서도 발이 넓으며, 신스 및 기타 라이브도 훌륭하게 소화해 낸다. == 특징 == 대중에게는 아름다운 [[신디사이저]] 사운드를 다루는 프로듀서로 각인되어 있지만, 업계에서는 레코딩과 믹싱 엔지니어링으로도 매우 유명하다. 예로 고객 뮤지션이 1차적인 베이스라인과 [[멜로디]]를 짜내는 창의적인 부분에 가까운 일을 한 뒤 마이크 딘은 이를 넘겨 받아 최상의 퀄리티로 가공하는 데에 도가 튼 것이다. 정말로 다양한 앨범에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그 중에선 음악 팬들과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는 앨범도 많으며, 그만큼 믹싱과 신스를 다루어 앨범의 완성도에 기여하는 정도가 높다. 카녜의 곡 중에서도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Devil In a New Dress'는 의외로 카녜가 아닌 마이크 딘이 프로듀싱한 곡이며,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해당 앨범]]에 굉장한 애착을 갖고 있다.[* So Appalled, Hell Of a Life, Blame Game의 트랙에 프로듀서진으로 이름을 올리며 아름다운 신스의 정수 그 자체를 보여주었다. 한 인터뷰에서도 가장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로 해당 앨범을 망설이지 않고 뽑았을 정도이다.] 그 외에도 트래비스 스캇의 THE SCOTTS 아웃트로, 카녜 웨스트의 Power와 Saint Pablo의 아웃트로가 딘에 의해서 완성된 것이다. == 정규 앨범 == * 4:20(2020)[* 꽤나 실험적인 [[IDM]] 음반이다. 장르에 연연하지 않았는지 애플 뮤직에는 'IDM/익스페리멘탈'로 분류되어 있다.] * 4:22 (2021) * Smoke State 42222 (2022) * 4:23 (2023)[* 2022년부터 투어와 싱글 등의 각종 행보를 함께하고 있는 [[The Weeknd]]가 공동 프로듀서 및 보컬 게스트로서 참여한 앨범.] == [[그래미 어워드|수상 경력]] == || 연도 || 작업물 || 필드 || 수상 || || [[2005년]] || [[The College Dropout]] || 제너럴 || X || || [[2006년]] || [[Gold Digger]] || 제너럴 || X || || || [[Late Registration]] || 제너럴 || X || || || [[Late Registration]] || 장르 || O || || [[2008년]] || [[Graduation]] || 제너럴 || X || || || [[Graduation]] || 장르 || O || || || [[Good Life]] || 장르 || O || || [[2012년]] ||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MBDTF]] || 장르 || O || || [[2013년]] || [[Niggas In Paris|Ni**as In Paris]] || 장르 || O || || || Mercy || 장르 || X || || [[2014년]] || [[New Slaves]] || 장르 || X || || [[2015년]] || [[Bound 2]] || 장르 || X || || [[2016년]] || All Day || 장르 || X || || || [[Beauty Behind The Madness]] || 장르 || X || || [[2017년]] || [[Lemonade]] || 제너럴 || X || || || [[Purpose]] || 제너럴 || X || || || [[Famous]] || 장르 || X || || || [[Ultralight Beam]] || 장르 || X || || [[2019년]] || [[SICKO MODE]] || 장르 || X || || [[2021년]] || [[JESUS IS KING]] || 장르 || O || || [[2022년]] || [[Jail]] || 장르 || O || || || [[Donda]] || 제너럴 || X || || [[2023년]] || [[RENAISSANCE(비욘세)|RENAISSANCE]] || 제너럴 || X || * 2023년 기준으로 23번[* 제너럴 9회 / 장르 14회] 노미네이트 되었으며, 7번 수상했다. Jesus Is King 제외 전부 랩 분야 수상이며, 전부 칸예와의 협업이다. * 2016년, [[Beauty Behind The Madness]] 전 까지는 전부 [[칸예 웨스트]] 작업물에 참여하여 노미네이트되었다. 그와는 음악적으로 매우 긴밀한 사이로 알려져 있는데, 그의 데뷔 음반인 [[The College Dropout]] 시절부터 거의 모든 음반에 프로듀서로서 참여해왔으며 칸예를 거치며 일약 스타덤에 오른다. [[레이블]] 역시 카녜의 [[GOOD 뮤직]]이다. == 여담 == * 일부 주에서 [[대마초]]가 합법인 나라인 [[미국]]의 국적을 가지고 있는 탓인지라 대마초를 굉장히 즐겨 피운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의 OST에도 원작곡가인 [[세라 섀크너]]에 의해 영입되어 참여하였다.[[https://variety.com/2019/music/news/call-of-duty-modern-warfare-music-score-sarah-schachner-mike-dean-1203390653/|#]] 총 4곡[* Know Your Enemy, Danger Close, Threat Assessment, Collateral]을 세라 섀크너와 같이 작업하였으며, 세라 섀크너가 그의 팬이라서 공동작업이 성사될 수 있었다고 한다. 세라 섀크너의 인터뷰에 따르면 싱글플레이어 곡들이 게임 스토리와 가장 연관되기 때문에 가장 많은 시간을 들여서 작곡하고, 멀티플레이어 곡들을 마지막에 작곡하는데 이때쯤이면 작업량이 많이 쌓여서 피곤하고, 영감이 잘 떠오르지 않는다고 한다. 멀티플레이어 곡들을 작곡하는 도중 새로운 분위기가 필요했는데 아직 작업중인 곡들이 남아 있었고, 타악기 세션이나 다른 악기를 추가할까 생각하다가 마이크 딘에게 맡기는 게 좋을 거 같아서 맡겼다고 한다. 그래서 그가 참여한 곡들은 이 게임의 다른 OST들과 분위기가 좀 다른데, 힙합 프로듀서라서 그런지 세라 섀크너의 오케스트라 선율은 유지하면서 비트와 신디사이저가 더 강하게 들어가 강렬한 전자음과 오케스트라가 조화된 느낌을 준다. *최근 [[더 위켄드]]의 유튜브 커뮤니티에서 그와 찍은 사진이 올라왔다. 아마 같이 작업을 할 듯. [[분류:미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힙합 프로듀서]][[분류:미국의 음악가]][[분류:1965년 출생]][[분류:휴스턴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