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기관포, rd1=콜트 Mk.12, other2=양용포, rd2=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2>
{{{#White '''{{{+3 Mk.12 SPR}}}'''[br]''Mark 12 Special Purpose Rif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k12mod1 0.jpg|width=100%]]}}}|| || '''종류''' ||[[지정사수소총|DMR]]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미 육군|[[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width=23]]]][[미 공군|[[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width=23]]]][[미 해군|[[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width=23]]]][[미 해병대|[[파일:미합중국 해병대 마크.svg|width=23]]]][[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height=23]]]][br][[2001년]]~[[2017년]] || || '''개발''' ||NSWC 크레인[br][[미 육군]] [[미합중국 육군 특수작전부대|제5특전단]][br]미 육군 사격술훈련부대 || || '''개발년도''' ||[[1998년]]~[[1999년]] || || '''생산''' ||NSWC 크레인 || || '''생산년도''' ||[[2001년]]~[[2011년]]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White '''기종'''}}} || || '''원형''' ||[[M16 소총|M16]][br][[M4 카빈|M4]] || || '''파생형''' ||Mk.12 Mod.0~1[br]Mk.12 Mod.H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5.56×45mm NATO]] || || '''급탄''' ||20, 30발 [[STANAG 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직동식[br]노리쇠 회전식 || || '''총열길이''' ||457mm || || '''전장''' ||952mm || || '''중량''' ||4.5kg || || '''유효사거리''' ||549m ||}}} || [목차] [clearfix] == 개요 == Mk.12 SPR(Special Purpose Rifle, 특수목적 소총)은 [[미군]]의 제식 [[지정사수소총|DMR]]이다. == 상세 == === 역사 === [[파일:mk12mod0_sfg 0.jpg|width=580]] 1999년 [[미 해군]] 해상전연구소 직속의 크레인(NSWC Crane) 부문에서는 [[미 육군]] [[미합중국 육군 특수작전부대|제5특전단]]과 미 육군 사격술훈련부대의 협업을 통해 [[M16 소총|M16]] 및 [[M4 카빈|M4]] [[돌격소총]] 기반의 [[지정사수소총|지정사수소총(SPR)]]을 개발하여 2001년과 2002년 사이에 각기 다른 외형의 Mk.12 Mod.0과 Mk.12 Mod.1의 제식명으로 실전 투입시켰다. [[파일:mk12mod1_usmc 0.jpg|width=580]] 2007년에는 비슷한 태생을 가진 [[SDM-R#s-3.1|SAM-R]]을 운용 중이던 [[미 해병대]]에서도 제2원정군을 중심으로 Mk.12 Mod.1이 소량 도입한 적이 있었지만, 2017년 현재는 주요 운용처인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운용처에서는 본격적인 [[지정사수소총|DMR]]인 [[M110 SASS|M110]] 계열로 대체한 것으로 보인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k262mod0 0.jpg|width=100%]]}}} || || Mk.262 Mod.1 || [[파일:mk12mod1_sfg 0.jpg|width=580]] 기본적으로는 [[M16A1]]과 [[M4 카빈|M4A1]]의 총몸을 그대로 유용하면서도 다양한 제조사의 최고급 내외부 부품들이 조합된 개조형 기종이며, 특히 [[소음기]] 사용을 염두에 두고 동시에 개발된 Mk.262 계열의 저격용 탄약으로 인해 유효사거리와 [[대인저지력]] 면에서도 향상이 이루어졌다. == 종류 == || || [[파일:mk12mod0 0.jpg|width=100%]] || [[파일:mk12mod1 0.jpg|width=100%]] || [[파일:mk12modh 2.jpg|width=100%]] || || 제식명 || '''Mk.12 Mod.0''' || '''Mk.12 Mod.1''' || '''Mk.12 Mod.H''' || || 운용처 ||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USSOCOM]] || USSOCOM[br][[미 해병대|USMC]] || USSOCOM || || 연도 || 2001년~현재 || 2001년~현재 || 불명~현재 || || 재고번호 || 1005-01-504-3275 || 1005-01-504-3276 || 불명 || || 윗총몸 || [[콜트(총기회사)|콜트]]/디마코 M4A1 || 콜트/디마코 M4A1 || 콜트/디마코 M4A1 || || 아랫총몸 || 콜트/[[제네럴 모터스|GM-HM]] M16A1 || 콜트/GM-HM M16A1 || 콜트/GM-HM M16A1 || || [[개머리판]] || 콜트 A1~2[br]콜트 M4 3세대[br]LMT L7LA2BA || 콜트 A1~2[br]콜트 M4 3세대[br]LMT L7LA2BA || 콜트 M4 3세대[br]LMT L7LA2BA[br]에이스 SOCOM || || [[총열]] || 더글라스 배럴 18인치 || 더글라스 배럴 18인치 || 노브스키 16인치 || || [[총열덮개]] || PRI 1~3세대 ||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KAC]] M4 매치 FF RAS || PRI 3세대 || || [[소염기]] || OPS 12th 모델 SPR || OPS 12th 모델 SPR || OPS 12th 모델 SPR || || 부착대 || ARMS #38 SPR MOD || 없음 || PRI 레키 레일 || === [[네이비 씰]] [[정찰|정찰용]] 소총 === [[파일:m727-recce_seal 0.jpg|width=580]] 1990년대 초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높은 명중률과 유효사거리를 가지면서도 [[CQB|근접전투]]에서도 쓰이는 [[CAR-15|단축형 AR-15]] 형태로,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 [[네이비 씰]]이 주된 운용처였기 때문에 네이비 씰 정찰용 소총(SEAL Recon Rifle)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있으며 보다 짧게 줄인 속어인 레키(Recce, RECCE)로 불리기도 한다. [[파일:external/firearmsworld.net/jeffgurwitch-b.jpg|width=580]] 이는 정식 [[SOPMOD|개조 사업]]과는 별도로 시행되었기 때문에 시기에 따라 [[총열덮개]] 및 총몸 등이 제각각 다른 모습을 보이지만, 적어도 배율을 갖춘 [[망원 조준경]]이 부착된다는 점은 동일하다. 이러한 [[지정사수소총|준저격형]]으로의 전환 시도는 [[총기 액세서리|보조장비]]를 달리하는 것으로도 파생형으로 인정받는 [[SDM-R]], [[M27 IAR#s-3.3|M38]] 등처럼 여러 정식 기종을 낳기도 했다. === Mk.12 Mod.0 === [[파일:mk12modh_unknown 0a.jpg|width=580]] [[미 육군]] [[미합중국 육군 특수작전부대|제5특전단]]이 제시한 초기형 중 하나인 SPR에 가장 가까운 형태로, [[http://armsmounts.com/|암즈(Atlantic Research Marketing Systems, ARMS)]] 사의 #38 SPR MOD 부착대와 [[https://www.precisionreflex.com/|프리시젼 리플렉스(Precision Reflex Inc, PRI)]] 사의 1~3세대 원통형 [[총열덮개]]를 통해 식별이 가능하며, 또한 이는 2001년부터 [[미 육군]] 특전단과 [[제75레인저연대]]에서 운용되고 있다. === Mk.12 Mod.1 === [[파일:mk12mod1_usmc 1c.jpg|width=580]] [[미 해군]] 해상전연구소 직속의 크레인(NSWC Crane) 부문이 별도로 제시한 초기형인 SPR/A와 SPR/B에서 발전된 형태로,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나이츠(KAC)]] 사의 M4 매치 FF RAS [[총열덮개]]를 통해 식별이 가능하며, 또한 이는 2001년부터 [[미 해군]] [[네이비 씰]]과 [[미 공군]] 특수전술대대를 포함하여 2007년 [[미 해병대]]에서도 도입되었다. === Mk.12 Mod.H === [[파일:mk12modh_unknown 2.jpg|width=580]] [[미 육군]] [[미합중국 육군 특수작전부대|제5특전단]] 출신인 스티브 홀랜드(Steve Holland)[* [[프리플로팅 배럴|유동 총열]] 등을 포함한 부품 교체와 경기(Match grade) 등급의 [[탄약]]을 통해 사거리 및 명중률을 끌어올리기 위한 본 SPR 사업의 시초를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6.8mm#6.8×43mm Remington SPC|6.8mm SPC]] 탄약 개발까지 관여하였다.[[https://ko-kr.facebook.com/geisseleautomatics/photos/the-geissele-crew-with-msg-steve-holland-ret-mrholland-is-the-father-of-the-mk12/10153844877095233/|1]], [[https://www.onesixthwarriors.com/threads/custom-mk-12-mod-h-holland-spr-rifle.819012/|2]], [[https://www.thetruthaboutguns.com/mk-12-mod-h-holland-rifle/|3]]] [[상사(계급)|상사]]가 직접 고안한 [[정찰|정찰용]] 소총(RECCE) 형태로, [[https://www.noveske.com/|노베스키(Noveske)]] 사의 16인치 [[총열]]과 프리시젼 리플렉스(PRI) 사의 레키 레일 부착대를 통해 식별이 가능하며, 이는 [[미합중국 육군 특수작전부대]]에서만 운용된다. [[파일:mk12modh_sfg 0.jpg|width=580]] 2021년 [[미합중국 육군특수작전사령부|미 육군특수작전사령부]] 국제저격수대회(2021 USASOC International Sniper Competition)에 [[https://www.lqlite.com/lq_flis.aspx?NSN=1240-01-681-3209|SU-294/PVS]] 분대용 가변배율조준경(Squad-Variable Power Scope)이 부착된 모습을 비추어 아직도 현용 상태에 있음을 알렸다. 특이하게도 해당 사수는 부무장으로 제식이 아닌 [[FN 에르스탈|FN 아메리카]] 사의 [[https://fnamerica.com/products/pistols/fn-509-tactical/|FN 509 Tactical FDE]]를 장비했다.[[https://www.dvidshub.net/image/6582391/2021-international-sniper-competition|참조]] === 다니엘 디펜스 Mk.12 === [[파일:external/files.harrispublications.com/twnd15-mk12-lead-682x383.1444157303.jpg|width=580]] SOPMOD 2단계에서 채택된 총열덮개 제조사로 잘 알려진 [[다니엘 디펜스]]에서 제작한 Mk.12는 2014년 SHOTSHOW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맥풀]] 사의 탄창을 제외한 자사의 12인치 DDM4 총옆덮개 등을 활용해 민수용으로 시판 중이며 따로 군경기관에 채택된 이력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 출처 == === [[웹사이트]] === * [[https://en.wikipedia.org/wiki/Mk_12_Special_Purpose_Rifle]] * [[https://ja.wikipedia.org/wiki/M16%E8%87%AA%E5%8B%95%E5%B0%8F%E9%8A%83#AR-15]] * [[http://firearmsworld.net/usa/m16/m4/mk12spr.htm]] * [[http://www.sadefensejournal.com/wp/?p=3386]] * [[https://www.highbeam.com/doc/1P3-1369181071.html]] * [[http://www.ar15.com/forums/t_3_118/520524_.html&r=6245380&qte=1]] == 등장매체 == === [[영화]] === * [[다이하드 4.0]] [[파일:LFDH-Mk12SPR-3.jpg|width=500]] 랜드(시릴 라파엘리 분)가 Mk.12 Mod.0을 사용한다. * [[론 서바이버]] [[파일:800px-Lone65.jpg|width=500]] 마커스 러트렐([[마크 월버그]] 분)과 매튜 액셀슨([[벤 포스터]] 분)이 Mk.12 Mod.1을 사용한다. * [[아메리칸 스나이퍼]] [[파일:external/www.imfdb.org/AmericanSniper_Mk12_%281%29.jpg|width=500]] 크리스 카일([[브래들리 쿠퍼]] 분)이 Mk.12 Mod.1을 사용한다. === [[게임]] === * [[ARMA|ARMA 시리즈]] * [[ARMA: 암드 어썰트]] - Mk.12 Mod.0으로 등장한다. * [[ARMA 2]] - Mk.12 Mod.0으로 등장한다. * [[스나이퍼: 고스트 워리어]] Mk.12 Mod.1로 등장한다. * [[아메리카스 아미]] - 게임 역사상 최초로 등장한 Mk 12 SPR이다. Mk 12 Mod 0 버전으로 등장한다. [[소음기]] 장착 이외의 장점은 별로 없는 관계로 인기는 별로 없는 편이다. * [[Surviv.io]] - 희귀한 무기로 등장. 광클하면 연사속도가 생각보다 높이서 자주 쓰게 될 무기. * [[소녀전선]] - Mk.12 Mod.0이 4성급 라이플로 등장, 출시전 수치가 지나치게 높았던 탓에 조정받았지만 4성다운 성능으로 미개장 M14의 상위호환격 인형으로 자리잡았다. 진형버프가 [[Px4 스톰(소녀전선)|Px4 스톰]]과 [[웰로드 MkII(소녀전선)|웰로드]]를 함께 운용하기 매우 좋은 P형에 최적화 되어 있어 활용 여지는 충분히 남아 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Mk 12(소녀전선)]] 문서 참고바람. * [[Ring of Elysium]] - 5.56mm 탄약을 쓰는 저격소총으로 등장한다.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 2020년 7월 7일 신규 업데이트에서, [[PUBG: BATTLEGROUNDS]]은 정확히 1년 후인 2021년 7월 7일에 출시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Mk12(PUBG: BATTLEGROUNDS)]] 참고.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 M4를 개조하여 구현할 수 있다. == 관련 문서 == * [[SDM-R]]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include(틀:스토너 계열 총기)] [각주] [[분류:저격소총]][[분류:반자동 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미군/화기]][[분류:AR-15]][[분류:2001년 출시]][[분류:2011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