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k.20 Mod.0}}}'''[br]''Launcher, Grenade, Mk 20 Mod 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k20mod0_profile 0.jpg|width=100%]]}}}|| || '''종류''' ||[[유탄발사기]] || ||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62년]]~현재 || || '''개발''' ||[[루이빌]] [[미합중국 해군]][[https://en.wikipedia.org/wiki/Naval_Ordnance_Station_Louisville|병기창]] || || '''개발년도''' ||[[1967년]] || || '''생산''' ||루이빌 미합중국 해군병기창 || || '''생산년도''' ||[[1968년]]~[[1971년]] || ||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br][[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23]] [[미얀마]] || || '''사용된 전쟁''' ||[[베트남 전쟁]] || ||<-2> {{{#White '''제원'''}}} || || '''탄약''' ||[[40×46mm]] || || '''급탄''' ||[[탄띠|탄띠식]] || || '''작동방식''' ||[[https://en.wikipedia.org/wiki/Blow_forward|블로우 포워드]] || || '''전장''' ||685.8mm || || '''중량''' ||11.8kg || || '''발사속도''' ||분당 250~275발 || || '''최대사거리''' ||4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Mk.20은 [[루이빌]] [[미합중국 해군]]병기창(NOSL)에서 개발된 [[미군]]의 [[40mm]] [[유탄발사기]]이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k20mod0_usn 0.jpg|width=100%]]}}} || || '''[[https://www.history.navy.mil/our-collections/photography/numerical-list-of-images/nhhc-series/nh-series/USN-1146000/USN-1146263.html|1970년]] [[네이비 씰]] [[https://en.wikipedia.org/wiki/Strike_Assault_Boat|강습돌격정]]의 Mk.20 Mod.0''' || 이는 운용이 불편하고 발사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수동식 [[Mk.18 유탄발사기|Mk.18 Mod.0]]의 개선 수요에 따른 것으로, 1967년 당시 [[https://en.wikipedia.org/wiki/Naval_Ordnance_Station_Louisville|NOSL]]([[루이빌]] [[미합중국 해군]][[조병창|병기창]], Naval Ordnance Station Louisville)에서 성능 시험이 한창 진행 중인 [[https://modernfirearms.net/en/grenade-launchers/u-s-a-grenade-launchers/mk-19-eng/|초기]] 단계의 [[Mk.19 고속유탄기관총|Mk.19]] 다음으로 개발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k20mod0_knu 0.jpg|width=100%]]}}} || || '''[[https://www.reddit.com/r/ForgottenWeapons/comments/nvk3tq/mk20_mod_0_grenade_launcher_used_by_knu_myanmar/|카렌]] [[카렌 민족해방군|민족해방군]]의 Mk.20 Mod.0''' || 1971년까지 1,080정이 생산되어 [[브라운 워터 네이비|연안 초계]] 등의 교전 거리가 짧은 [[보트|소형정]]의 무장으로 쓰이다가 대대적인 설계 변경으로 신뢰성이 높아지고 생산 단가가 절감된 Mk.19 Mod.1로 대체되었으며, 일부 수량은 [[베트남 인민군]]에게 [[노획]]되어 [[베트남]] [[호찌민 시]]의 [[https://en.wikipedia.org/wiki/War_Remnants_Museum|전쟁기념박물관]]에 [[https://en.wikipedia.org/wiki/Mk_20_Mod_0_grenade_launcher#/media/File:Mk_18_Mod_0_&_Mk_20_Mod_0_Grenade_Launchers_at_War_Remnants_Museum_(Ho_Chi_Minh_City).jpg|전시]]되거나 [[미얀마]]의 [[카렌 민족해방군]]에게도 흘러들어 계속 운용되고 있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k20mod0_drawing 0.jpg|width=100%]]}}} || || '''Mk.20 Mod.0의 내부 모습''' || [[스프링]]으로 둘러싸인 [[포신]]의 왕복을 이용하는 [[https://en.wikipedia.org/wiki/Blow_forward|블로우 포워드]] 방식으로 작동하여 분당 250발 가량의 자동 및 반자동 발사가 가능하다. [[40×46mm]] 저속 [[유탄]]을 사용하는 만큼 [[보병]] 전용의 휴대형 개조도 고려될 정도로 [[반동]]이 낮은 대신 유효사거리는 400m 밖에 되지 않아 [[중화기]]로 쓰이기에는 여러모로 화력이 부족했다. == 출처 == * [[https://guns.fandom.com/wiki/Mk_20_Mod_0_grenade_launcher]] * [[https://modernfirearms.net/en/grenade-launchers/u-s-a-grenade-launchers/mk-20-2/]] * [[https://en.wikipedia.org/wiki/Mk_20_Mod_0_grenade_launcher]] * [[https://www.eugeneleeslover.com/USNAVY/COASTAL-RIVERINE-CRAFT-ARMAMENT.html]] * [[https://en.topwar.ru/147594-avtomaticheskij-granatomet-mk-20-mod-0-ssha.html]] * [[http://pewpewpew.work/usa/gl/mk20/mk20.htm]] *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3431820A]]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베트남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유탄발사기]][[분류:보병 무기/현대전]]